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설프로젝트는 다양하게 투입되는 자원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며, 외부 환경요인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한 공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다. 건설프로젝트 리스크는 불확실성의 결과로서 프로젝트 목적에 악영향을 주는 사건의 발생 가능성에의 노출로 정의될 수 있다(Al-Bahar, 1989). 건설 리스크는 미국의 PMI(미국 사업관리 협회) 등 프로젝트 관리 체계에 관한 전문 기관들에 의하여 관리 프로세스가 상당 부분 표준화되어있으며,
각 사업 특성을 반영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PMI, 2021).
다양한 건설 리스크 요인 중 공기지연 리스크는 공기 준수 및 공정계획의 합리화 측면에서 건설프로젝트의 성공과 밀접하다. 공기지연으로 인하여 준공일
내에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되지 못할 경우 시공자는 공사금액 증가, 발주처 클레임 등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무리한 공기단축은
건설공사의 질을 떨어뜨린다(Park, 2012).
건설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공기지연 리스크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었다. Kang et al.(2002)은 정치·사회적, 기획단계, 입찰단계, 계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인자로 구분하여 리스크 인자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건설공사 리스크 관리 시스템에서의
리스크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공사 리스크 저감을 위하여 계약문서 분석을 통한 계약단계에서의 공기지연 리스크가 분류되었으며(Lee,
2018; Yoon, 2017), 실제 공기지연 사례를 기반으로 요인과 사례를 연관하여 리스크 분류가 수행되었다(Choi, 2015; Kim, 2022; Yang, 2020). 건설프로젝트 전체공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 공사를 대상으로 공기 및 작업 지연요인의 항목 간 정량적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산정하고 리스크 평가 프로세스가 제안되었다(Lee et al., 2009; Yoon et al., 2008). Park(2012)은 공기지연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하여 공공과 민관의 공기산정 방식을 조사하여 절충안을 마련하였으며, Yoon(2020)은 적정 공기산정 시 비작업일을 정형화하여 반영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기온, 비, 눈, 바람, 미세먼지에 대한 비작업일을 산정하였다. Yu et al.(2017) 및 Ha et al.(2018)은 확률론적 추정 개념을 적용하여 건설 공사 현장 사고 및 인명피해 요인의 발생 빈도와 피해금액을 정량화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리스크를
예측하였으나, 비교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쉬운 피해금액을 활용하였다. Park et al.(2010)은 실적 공정표와 계획 공정표의 비교를 통해 외생 변수가 포함된 공기변화 확률분포를 도출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기 예측 모듈을 개발하였으나,
공기지연 리스크의 상세한 분류가 수행되지 못하였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한정되어있다.
대부분의 공기지연 리스크 연구는 이미 발생한 리스크의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개별 리스크 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으나, 리스크 요인의 영향정도를 정량화하여 시뮬레이션 기반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DB를 구축하는 등의 방안 마련은 미흡하다.
건설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의 기술들을 점차 확대, 적용하면서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개념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을 통해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설 리스크 분야에서는 건설 프로젝트의 결과물로써 발생되는
건설 문서를 텍스트 마이닝 함으로써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건설사고에 따른 인터넷 기사 및 사고 보고서를 Word2Vec 알고리즘,
빈도 분석 및 중심성 분석, 주성분 분석 및 군집분석 등을 통하여 사고 원인 및 특징을 도출하였다(Kang and Yi, 2018; Kim and Kim, 2019; Park and Kim, 2021). 이외에 해외건설프로젝트 지연사례를 분석하여 지연사유와 대책을 분석하였으며(Kim, 2022), 계약 문석 분석을 통해 입찰 리스크를 도출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Lee and Yi, 2017; Marzouk and Enaba, 2019; Son and Lee, 2019), 건설 프로젝트 감독일지 분석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를 정의하였다(Wang et al., 2020). 다만,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건설 리스크 요인 분석도 기존의 요인 도출 과정을 스마트화 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는데 활용되었을
뿐 공기지연 리스크 요인의 심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분석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공기지연 요소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비정형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정형데이터로 변환한 후 리스크 요인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건설 현장에서의 공정정보는 PMIS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상세한 건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사일지 등의 현장정보는 형식적인 수준으로 저장된 비정형 데이터로써 활용성이 낮다. 다만, 공사일지가 포함하는 비정형데이터에 다양한 리스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공사일지를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분석 가능한 정형데이터로 변환한 후 공기지연 리스크의 분류
및 도출 프로세스를 제안 및 적용하여 공기지연 리스크를 정량화하였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한국도로공사가 진행한 고속도로 공사 10개 공구의 공사일지 및 감독일지의 텍스트 정보를 대상으로 한다. 공사일지 및 감독일지는 당일 공사내역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 진행의 연속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장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이다. 공종분석 단계는 여러
공종 중 모든 건설 현장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토공단계를 선정하였다. 다양한 공기지연 리스크 요인 중 공기산정 시 비작업일로써 공사기간에 적용되는
기후요인 중(Yoon, 2020), 토공단계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우천 리스크를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Fig. 1에 전체 연구방법을 나타내었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이용하여 공사일지 중 당일공사내용을 WBS 기준으로 분류하여 토공 작업 내용을 추출하고, 우천을
중심으로 공기지연 이벤트가 나타난 공종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작업일과 우천으로 인한 공기지연 일수를 분석함으로써 우천으로 인한 공기지연의
발생확률과 심도(공기지연 일)를 정량화하였다.
Fig. 1. Flow Chart Showing the Research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