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환경공학과 석사과정 (Member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kjpark@a.ut.ac.kr)
  2.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조사기획실 선임연구원 (Korea Institute of Hydrological Survey · kykim@kihs.re.kr)
  3.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환경공학전공 학사과정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chan1940017@gmail.com)
  4. 정회원 · 교신저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환경공학전공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 Member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jmpark1@ut.ac.kr)



ECOSTRESS, 원격탐사, 지표면 온도, 증발산
ECOSTRESS, Remote sensing, Land surface temperature, Evapotranspiration

1. 서 론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는 수문학 및 기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LST는 수문 및 기상 모델의 입력 자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토양수분(Soil Moisture), 증발산(Evapotranspiration; ET)과 같은 수문인자의 추정, 나아가 열섬현상과 가뭄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Baek and Choi, 2012). ET는 지표면이나 수표면에서 발생하는 증발(Evaporation)과 식생의 기공을 통해 발생하는 증산(Transpiration)으로 구분된다. ET는 수문, 에너지 및 탄소순환을 연결하는 육상 생태계의 핵심 구성요소로 작용하며, 연 강수량의 약 66 %를 대기로 환원시킬 정도로 수문순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Wang and Dickinson, 2012; Yang et al., 2023). 따라서, LST와 ET의 시·공간적 변화를 정량화하는 것은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LST와 ET의 관측은 지점 기반 관측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LST는 종관기상관측(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과 농업기상관측(Automated Agricultural Observation System; AAOS)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ET의 관측에는 증발접시(Evaporation pan), 라이시미터(Lysimeter),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Eddy covariance flux tower) 등 다양한 관측 기기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직접적으로 LST 또는 ET를 관측하기 때문에 해당 지점에서 정확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미계측 지역에서 자료를 수득하는 데 제한적이며, 불균형한 관측소 밀도로 인해 정확한 공간분포를 모의하는 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원격탐사를 활용한 수문기상인자의 추정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탐사는 물체와의 직접 접촉없이 LST 및 ET를 추정하기 때문에 지점 관측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정확도는 낮지만, 공간분포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원격탐사를 활용한 LST의 추정은 미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와 미 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의 Landsat 시리즈, 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NASA와 NOAA가 공동으로 운용하는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유럽 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의 Sentinel-2/3, 마지막으로 국내 위성인 천리안 위성 2A호(GEO-KOMPSAT-2A)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원격탐사 기반 ET의 추정에는 NASA의 MODIS와 Landsat을 포함한 다양한 위성(센서)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원격탐사 기반 LST 및 ET의 추정, 검증과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Jee et al.(2016)은 2013~2014년에 관측된 Landsat 8 위성 자료로부터 LST를 산출하고, 이를 지점 기반 LST를 통해 보정하여 보정 전/후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보정 과정을 통해 Landsat 8 기반 LST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가 0.88에서 0.98로 개선되었다. Park and Kim(2021)은 Landsat 8 Level 1 및 Level 2 LST 추정치를 ASOS 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Level 1 및 Level 2의 R은 각각 0.96, 0.97로,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각각 5.25℃, 4.03℃로 나타났다. Baik et al.(2022)은 천리안 위성 2A호와 MODIS, 그리고 FengYun-4A 기반 LST 산출물을 ASOS 및 AAOS 관측 자료와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천리안 위성 2A호 기반 LST가 가장 낮은 편차(-3.14℃)와 RMSE (4.85℃)를 나타내었다. Sur et al.(2012)은 MODIS 산출물과 Penman-Monteith (PM) 방정식을 활용해 증발산을 산정하고, 설마천과 청미천 플럭스 타워 자료와 비교를 통해 각각 R이 0.69, 0.74로 나타났다. Baik et al.(2016)은 MODIS 산출물을 활용하여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MS-PT) 알고리즘 기반 실제증발산량(Actual ET; AET)을 산정하고, 정확성 검증을 위해 설마천과 청미천 플럭스 타워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MS-PT 기반 AET는 청미천(0.72~0.81) 및 설마천(0.67~0.78)에서 높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나타내었다.

MODIS, Landsat 등 현재까지 LST와 ET의 관측을 위해 활용된 센서는 각각 시공간해상도에 따른 제약이 존재한다. MODIS 산출물은 낮은 공간해상도(LST: 1 km, ET: 500 m)로 인해 지형적 특징과 공간적 분포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하였다. Landsat 산출물은 30 m의 높은 공간해상도로 자료를 제공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해상도(16일)로 인해 급격히 변화하는 수문·기상현상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0 m 공간해상도와 1~5일의 시간해상도로 LST 및 ET 추정 자료를 제공하는 NASA의 ECOsystem Spaceborne Thermal Radiometer Experiment on Space Station (ECOSTRESS) 영상 자료를 국내 지점 관측 LST 및 ET 자료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2. 연구지역

한반도는 전체 면적의 약 70 %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림청 산림 기본통계에 의하면 2020년 기준 국내 산지의 37 %는 침엽수, 32 %는 활엽수, 26 %는 혼합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에서는 식생의 생육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보인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연 강수량의 평균은 1,225 mm로 나타났으며, 이 중 약 50 %는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Baik et al., 2019). 같은 기간 연평균 기온은 13℃, 103개 ASOS에서 관측한 연평균 지면 온도는 15.3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7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추정된 ECOSTRESS LST 및 ET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환경부 산하 홍수통제소 및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운영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 13개소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검증 지점으로 선정한 13개 지점의 플럭스 타워는 한반도의 대표적 토지 피복 유형인 혼합림(Mixed Forest)과 논지(Rice paddy)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럭스 타워에 대한 지리적 위치는 Fig. 1, 공간정보 및 자료의 특징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Fig. 1.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Study Sites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1.png
Table 1. Site Information of Flux Tower in This Study (https://www.hrfco.go.kr/)

No.

Site name

Latitude [°N]

Longitude [°E]

Data period

Dataset

1

Paju (SMK)

37.94

126.95

2018.07~2022.12

LST, ETinst, ETdaily

2

Yeoju (CFK)

37.16

127.65

2018.07~2022.12

LST, ETinst, ETdaily

3

Pyeongchang

37.36

128.50

2019.01~2022.12

ETdaily

4

Jecheon

37.11

128.01

2021.01~2022.12

ETdaily

5

Inje

38.16

128.25

2018.01~2022.05

ETdaily

6

Hongcheon

37.70

128.03

2019.01~2022.12

ETdaily

7

Cheorwon

38.15

127.35

2021.01~2022.12

ETdaily

8

Yeongdong

36.21

127.80

2019.01~2022.12

ETdaily

9

Gongju

36.36

127.05

2018.01~2022.12

ETdaily

10

Jangheung

34.55

126.90

2019.01~2022.12

ETdaily

11

Muan

34.85

126.54

2019.02~2022.12

ETdaily

12

Gochang

35.35

126.68

2019.01~2022.12

ETdaily

13

Anseong

37.02

127.21

2022.01~2022.12

ETdaily

SMK: Seolmacheon site; CFK: Cheongmicheon Farmland site

3. 연구자료

3.1 ECOsystem Spaceborne Thermal Radiometer Experiment on Space Station (ECOSTRESS)

ECOSTRESS mission은 전 지구적 수문 및 탄소순환의 모니터링과 작물별 수분 스트레스 산정을 통한 가뭄의 모니터링을 위해 시작되었다(Fisher et al., 2020). ECOSTRESS는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et Propolusion Laboratory; JPL)에서 개발하여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에 탑재한 다중 파장 복사계이다. ECOSTRESS는 정해진 시각에 적도를 통과하는 극궤도 위성(MODIS, Landsat 등)과 달리 ISS에 탑재되어 하루 중 다른 시간에 ~52°N과 ~52°S에서 관측 인자의 추정값을 산정한다. ECOSTRESS 산출물의 시간해상도는 위도에 따라 1~5일로 나타나며, 기존 MODIS 기반 자료에 비해 높은 공간해상도로 LST 및 ET (70 m)를 포함한 다양한 산출물을 제공한다.

3.1.1 ECOSTRESS LST

ECOSTRESS LST (DOI: 10.5067/ECOSTRESS/ECO2LSTE. 001)는 다섯 개의 열적외선 밴드(8.29, 8.78, 9.20, 10.49, 12.09 μm)에서 관측한 radiance를 복사 전달(radiative transfer) 기반 Temperature Emissivity Separation (TES) 알고리즘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고, NASA Global Modeling and Assimilation Office (GMAO)에서 산정한 연직 방향 대기 정보를 통해 보정한 LST와 방사율을 함께 제공한다. Hulley and Hook(2018)에 따르면 ECOSTRESS LST는 전반적으로 모든 토지 피복에서 1 K 미만의 불확실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구름에 의해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Quality Control을 활용하여 방사율 및 LST 정확도를 기준으로 양질의 데이터만을 선별하였다(Liu et al., 2021). 이와 동시에, 플럭스 타워를 포함하는 픽셀의 데이터를 수득할 수 없는 영상 자료를 제외하였을 때 파주시 설마리 관측소(Seolmacheon site; SMK)는 76.8 %, 여주시 관한리 관측소(Cheongmicheon Farmland site; CFK)는 77.4 %를 배제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자료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활용한 LST 및 ET 영상 자료의 평균 시간해상도는 각각 22.64일, 33.26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활용한 ECOSTRESS 자료는 NASA Earthdata (https://www.earthdata.nasa.gov)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3.1.2 ECOSTRESS ET

ECOSTRESS ET는 Priestley-Taylor Jet Propulsion Lab (PT-JPL) 알고리즘과 Disaggregated Atmospheric-Land Exchange Inverse Model (Anderson et al., 2013)에 의해 추정한 ET 영상 자료를 제공하며, 본 연구에서는 PT-JPL 알고리즘으로 추정된 ET (DOI: 10.5067/ECOSTRESS/ECO3ETPTJPL.001)를 활용하였다(Fisher et al., 2008).

PT-JPL 알고리즘의 핵심은 Penman 방정식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Priestley-Taylor (PT) 식이다. PT 식은 습한 지역에서 공기 동역학항이 에너지 수지항의 약 0.26배라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에너지 수지 항에 상수 α(1.26)를 곱해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T; PET)을 산정하였다. 이후, Fisher et al.(2008)는 PET에 생태생리학적 요인(ecophysiological constraint)을 추가로 고려하여 토양 증발(ETs; Eq. (2)), 캐노피 증산(ETc; Eq. (3)), 차단에 의한 증발(ETi; Eq. (4))을 산정하고 Eq. (1)을 활용하여 AET를 산정하였다. ET 산정에 사용되는 변수 정보는 Table 2에 정리되어 있으며, 세부 사항은 Fisher et al.(200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able 2. List of Parameters Utilized for Calculating ECOSTRESS ET(Fisher et al., 2008)

Notation

Description

VPD

Vapor pressure deficit

RH

Relative humidity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SAVI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fAPAR

Absorbed PAR

fIPAR

Intercepted PAR

Tmax

Maximum air temperature

Topt

Optimum temperature linked to plant phenology (℃)

Slope of the saturation-to-vapour pressure curve

γ

Psychrometric constant (0.066 kPa/℃)

Rn (Rnc,Rns)

Net radiation (W/m2) ('c' for canopy and 's' for soil)

fg

Green canopy fraction (fAPAR/fIPAR) [Zhang et al., 2005]

fM

Plant moisture constraint [Potter et al., 1993]

fwet

Relative surface wetness (RH4) [Stone et al., 1977]

fT

Plant temperature constraint [June et al., 2004; Potter et al., 1993]

fSM

Soil moisture constraint (RHVPD) [Fisher et al., 2008]

G

Soil heat flux (W/m2)

(1)
$AET = ET_{s}+ ET_{c}+ ET_{i}$
(2)
$ET_{s}=(f_{wet}+ f_{SM}(1-f_{wet}))\times\alpha\dfrac{\triangle}{\triangle +\gamma}(R_{ns}-G)$
(3)
$ET_{c}=(1-f_{wet})f_{g}f_{T}f_{M}\alpha\dfrac{\triangle}{\triangle +\gamma}R_{nc}$
(4)
$ET_{i}= f_{wet}\alpha\dfrac{\triangle}{\triangle +\gamma}R_{nc}$

본 연구에서는 ECOSTRESS ET 산출물 중 일평균 ET 추정치(ETdaily) 및 관측 순간의 ET 추정치(ETinst)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ECOSTRESS 추정 자료는 NASA Earthdata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3.2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MODIS는 NASA의 지구 전역 장기 관측 계획(Earth Observing System)의 목적으로 발사한 지구 관측 센서이다. MODIS는 1999년 12월 발사된 Terra 위성과 2002년 5월에 발사된 Aqua 위성에 탑재되어 지구 전역을 일 1~2회 관측하고 있다. Terra와 Aqua 위성은 각각 지상 관측과 해양 관측의 목적으로 지구의 북극과 남극 상공을 통과하는 극궤도 광학 위성이며, 각 지역의 오전 10시 30분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Terra 위성이, 오후 1시 30분에 남쪽에서 북쪽으로 Aqua 위성이 상공을 통과하며 지구 현상을 관측한다.

MODIS LST (DOI: 10.5067/MODIS/MOD11A1.061)는 MODIS 센서의 36개 밴드 중 31(10.78~11.28 µm), 32(11.77~ 12.27 µm) 열적외 밴드(Thermal InfeaRed)의 값을 이용하여 분리대기창 방법을 기반으로 추정한다. 분리대기창 방법은 Mcmillin(1975)에 의해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산출에 활용되어 왔으나, Price(1984)는 LST의 산출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리대기창 방법은 각 토지 피복별 방사율과 LST의 선형적인 비례관계를 가정하고, 대기 연직 방향의 수증기 양에 따른 감쇠 효과를 고려하여 LST를 산정한다. 또한, MODIS LST의 분석 과정에서 식생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ODIS Leaf Area Index (LAI; DOI: 10.5067/MODIS/MCD15A2H.006)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였다.

MODIS 8-day ET (DOI: 10.5067/MODIS/MOD16A2.061)는 PM 방정식을 기반으로 토지 피복, Leaf Area Index (LAI), Albedo, Fraction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등 원격탐사 자료와 기상학적 입력 자료를 통해 추정한다(Mu et al., 2013). NASA Earthdata의 MOD16A2.061 자료는 Total ET, Average Latent heat flux, Total PET, Average Potential Latent heat flux로 구분하여 제공하며, 본 연구에 활용한 Total ET (8-day ET)는 8일 간 ET의 합으로 계산한다. 본 연구에 활용한 MODIS 추정 자료는 NASA Earthdata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3.3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 (Eddy Covariance Flux Tower)

본 연구에 활용한 지점 관측 자료는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SMK 및 CFK를 포함하여 총 13개소의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를 통해 수득하였다. 플럭스 타워에서는 정밀 기기를 활용하여 순복사량(Net Radiation), 잠열 플럭스(Latent heat flux; LE), 그리고 LST 등 다양한 수문기상인자 측정 자료를 30분 간격으로 생산 및 제공한다. 플럭스 타워의 원시 자료를 Level 0, EddyPro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친 자료를 Level 1 (L1)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 과정에서는 L1 자료의 결측 구간에 대한 Gap-Filling을 시행하고, 품질관리 과정을 거쳐 도출된 Level 2 자료를 활용하였다(Kim et al., 2016).

SMK와 CFK 데이터는 MODIS LST 및 ET, ECOSTRESS LST 및 ET의 비교·분석에, 나머지 11개 지점 플럭스 타워 데이터는 ECOSTRESS ET 데이터 중 ETdaily의 비교·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관측소 현황은 한국수문조사연보(https: //hrfco.go.kr/) 및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https://www.kihs.re.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연구방법

본 연구에 활용한 플럭스 타워와 ECOSTRESS, MODIS 자료는 상호 간 공간해상도가 상이하다. MODIS 자료의 경우 500 m 또는 1 km의 공간해상도를 가지기에 30~70 m 공간해상도를 나타내는 ECOSTRESS와 직접적인 비교·검증 과정을 수행한다면 이러한 센서의 특성에 따른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Park et al.(2017)에서는 SMK와 CFK에서 약 200 m 정도의 영향 반경원(footprint)을 가진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공간해상도 및 영향 반경원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isher et al.(2020)에 따라 플럭스 타워를 포함하는 픽셀을 중심으로 5×5 픽셀의 평균을 계산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MODIS 8-day ET는 8일간 누적값을 제공하기 때문에 플럭스 타워 기반 ET 자료 또한 MODIS 자료와 비교를 위해 8일간 관측한 값의 합을 활용하였다. ECOSTRESS LST와 ETinst는 영상 자료의 시간과 가장 가까운 시간에 관측된 플럭스 타워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ECOSTRESS 및 MODIS 기반 LST와 ET의 비교를 정량화하기 위해 MAE (Mean Absolute Error), RMSE, R과 IOA(Index of Agreement; Eq. (5))를 활용하였다.

(5)
$IOA = 1-\dfrac{\sum_{i=1}^{N}(S_{i}-O_{i})^{2}}{\sum_{i=1}^{N}(\left | S_{i}-\overline{S}\right | +\left | S_{i}-\overline{O}\right |)^{2}}$

여기서 N은 지점 자료와 같은 시간에 관측된 원격탐사 기반 자료의 개수, Si는 원격탐사 기반 자료 추정치, Oi는 지점 자료의 값, $\overline{S},\: \overline{O}$는 각각 원격탐사 및 지점 자료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MAE는 0의 값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 편차가 작은 것을 의미하며, RMSE는 0의 값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 불일치도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R과 IOA는 두 변수 간 선형적 상관성을 나타내기 위해 활용하였고, R은 절댓값이 1에 가까울수록, IOA는 1에 가까울수록 선형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5. 연구결과 및 고찰

5.1 원격탐사 기반 LST와 지점 기반 LST의 비교

본 절에서는 ECOSTRESS LST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플럭스 타워 LST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SMK와 CFK에서 ECOSTRESS LST와 플럭스 타워 LST, 그리고 MODIS LST와 플럭스 타워 LST를 각각 비교하였다(Fig. 2, Fig. 3).

전반적으로 ECOSTRESS LST와 MODIS LST는 사계절에 따라 주기성을 가지고 변동하였고, 시계열적 변동성 역시 플럭스 타워 관측 자료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MODIS LST와 플럭스 타워 LST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SMK에서 MAE, RMSE, R, IOA는 순서대로 4.98℃, 6.05℃, 0.90, 0.89로, CFK에서는 5.13℃, 6.09℃, 0.92, 0.91로 나타났다. ECOSTRESS LST와 플럭스 타워 LST의 통계적 분석 결과 MAE, RMSE, R, IOA는 SMK에서 순서대로 5.11℃, 6.69℃, 0.47, 0.81로, CFK에서는 4.96℃, 6.12℃ 0.73, 0.91로 나타났다. MODIS LST는 두 지점에서 전반적으로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고, ECOSTRESS LST는 여름에 과소 산정, 그 외 계절에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절적으로 MODIS LST는 봄에 MAE 및 RMSE가 크게 나타났으며, 봄과 가을에 R과 IOA가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CFK가 SMK보다 R 및 IOA가 높게 나타났다. ECOSTRESS LST는 봄과 여름에 높은 MAE와 RMSE를 보였고, SMK가 CFK보다 높은 MAE와 RMSE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을에는 통계치의 경향이 역전되어 CFK가 SMK보다 MAE 및 RMSE가 높게 나타났다(Table 3).

MODIS LST가 과대 산정되는 과정에서 식생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ODIS LAI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지점에서 봄과 여름에 걸쳐 LAI의 증가에 따라 지점 기반 LST와 MODIS LST 간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SMK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MK와 같이 식생의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식생 표면에서 증산작용으로 인한 Cooling effect로 인해 LST가 낮게 추정되었다(Pan et al., 2021). 또한, MODIS LST는 산정 과정에서 다양한 회귀 상수를 필요로 하며, 이는 토지 피복별로 구성된 Look-up table에 제시된 값을 활용한다(Wan et al., 2004). 이 값은 식생의 활력 및 생장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MODIS LST가 과대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Neteler, 2010).

Fig. 2. Time Series of LST (℃) over (a) SMK, (b) CFK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2.png
Fig. 3. Scatterplot of ECOSTRESS based LST over (a) SMK, (b) CFK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3.png
Table 3. Seasonal Statistics of Satellite-based LSTs for SMK and CFK

MODIS LST & In-situ LST [℃]

SMK

MAM

JJA

SON

DJF

CFK

MAM

JJA

SON

DJF

MAE

8.33

5.13

3.46

3.34

MAE

7.79

4.15

4.08

4.14

RMSE

9.01

5.83

3.84

4.35

RMSE

8.51

4.85

4.58

5.08

R

0.76

0.45

0.92

0.37

R

0.81

0.48

0.91

0.18

IOA

0.60

0.48

0.89

0.47

IOA

0.64

0.55

0.88

0.40

ECOSTRESS LST & In-situ LST [℃]

SMK

MAM

JJA

SON

DJF

CFK

MAM

JJA

SON

DJF

MAE

6.45

5.51

2.94

-

MAE

5.05

5.01

4.79

-

RMSE

8.13

7.14

3.26

-

RMSE

6.99

5.92

5.51

-

R

0.48

0.16

0.80

-

R

0.80

0.45

0.76

-

IOA

0.75

0.45

0.88

-

IOA

0.83

0.61

0.77

-

ECOSTRESS LST는 TES 알고리즘에 의해 추정되며, 이 방법은 알베도가 낮은 물체(물, 눈, 식생 등)와 고온 다습한 대기 환경에서 오차가 발생한다(Kim, 2017). 따라서, 고온 다습한 여름에 두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비교적 강수량이 적고 동시에 식생 활력이 감소하는 가을에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ECOSTRESS LST 산정 과정에서 난류 발생에 따른 방사율의 불확실성에 의해 산지(SMK)가 논지(CFK)보다, 식생의 생장이 활발한 봄과 여름에 비교적 큰 오차를 나타내었다(Hulley and Hook, 2018).

5.2 원격탐사 기반 ET와 지점 기반 ET의 비교

ECOSTRESS ET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검증이 이루어진 MODIS 8-day ET를 ECOSTRESS ET와 함께 플럭스 타워 ET와 비교하였다. 먼저 MODIS 8-day ET와 ECOSTRESS ETinst를 SMK와 CFK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4Fig. 5에 나타내었다. MODIS 8-day ET는 전반적으로 지점 자료의 경향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IS 8-day ET와 플럭스 타워 ET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SMK에서 MAE, RMSE, R, IOA는 순서대로 8.59 mm/8 day, 11.20 mm/8 day, 0.81, 0.68, CFK에서는 6.74 mm/8 day, 9.16 mm/8 day, 0.67, 0.79로 나타났다.

Fig. 4. Time Series of MODIS 8-day ET (mm/8 day) and ECOSTRESS Daily ET (mm/day) over (a) SMK, (b) CFK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4.png

MODIS 8-day ET는 여름에 SMK에서 19.00~39.60 mm/ 8 day의 범위를 나타내며 지점 자료(8.30~25.50 mm/8 day)에 비해 과대 산정되었다. CFK에서도 마찬가지로 9.80~56.20 mm/ 8 day의 범위를 보이며 지점 자료(12.20~35.50 mm/8 day)에 비해 과대 산정되었다. 계절별 MODIS 8-day ET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SMK에서는 여름을 제외한 봄과 가을, 겨울에 R 값이 0.66 이상으로, CFK에서는 가을과 겨울에 R 값이 0.67 이상으로 나타났다. Ruhoff et al.(2013)에 따르면 MODIS 8-day ET는 광학 위성의 특성상 구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조한 계절에 추정값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고, 습한 계절에 상대적으로 오차가 증가한다. 따라서 건조한 가을과 겨울에 높은 R 값을 보였으며, 습한 여름에 상대적으로 오차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SMK에서 여름과 가을에 MAE와 RMSE가 높은 값을 보였으며, CFK에서는 봄과 여름에 MAE와 RMSE가 높게 나타났다. 단, CFK에서는 2021년과 2022년 봄에 과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MODIS 8-day ET 추정 과정에서 500 m 공간해상도로 인해 논지에 위치한 CFK 주변 관개(Irrigation)를 충분히 모의하지 못하기 때문에 4.80~14.80 mm/8 day의 범위를 보이며 지점 자료(4.70~29.20 mm/8 day)보다 과소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MOD16 알고리즘에 활용되는 다양한 입력 인자들의 불확실성이 MODIS 8-day ET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MOD16 알고리즘은 110 km의 공간해상도를 가진 GMAO 재분석 자료 기반 수문기상인자를 활용하여 ET를 계산한다. 이때 resampling 과정을 통해 1 km의 공간해상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MODIS 기반 LAI는 식생 생장기 또는 휴면기에 crop, savanna, grassland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간간히 발생한다(Fang et al., 2013). 이는 MOD16 알고리즘에 따른 ET에서 aerodynamic term을 계산할 때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다(Ruhoff et al., 2013).

Fig. 5. Scatterplot of ECOSTRESS based ETinst over (a) SMK, (b) CFK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5.png

ECOSTRESS ETinst와 플럭스 타워 ET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SMK에서 MAE, RMSE, R, IOA는 순서대로 9.69 mm/day, 10.98 mm/day, 0.40, 0.26으로, CFK에서는 5.96 mm/day, 7.76 mm/day, 0.42, 0.50으로 나타났다. ECOSTRESS ETinst는 Fig. 5에서 확인할 수 있듯, 전반적으로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MODIS와 비슷한 경향의 RMSE와 상대적으로 낮은 R, IOA를 통해 ECOSTRESS ETinst는 전반적으로 추정된 값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저하되며, 선형적 상관성과 일치성 역시 MODIS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ECOSTRESS ETinst와 플럭스 타워 ET 간의 R은 두 지점에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IOA는 CFK가 SMK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CFK의 일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Liang et al.(2022)에 따르면 ETinst는 전반적으로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오전(10시~12시)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활용한 ETinst 자료 중 SMK에서 28.75 %, CFK에서 33.80 %가 오전에 해당된다. SMK와 CFK에서 오전 시간 관측치를 대상으로 MAE를 계산하였을 때, 전체 시간(9.69 mm/day, 5.96 mm/day) 및 오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8.62 mm/day, 5.51 mm/day)보다 높은 12.43 mm/day, 7.10 mm/day로 나타났다. 이는 오전에 태양의 입사각이 낮아 주변 식생 및 지형적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그림자의 영향으로 발생한 순복사량의 불확실성이 원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Valdés-Uribe et al., 2023). 특히, 평지(논지)에 설치된 CFK보다 산림 지역의 계곡부에 설치된 SMK에서 지형 조건에 따른 그림자의 영향으로 인해 오차가 높아진 것으로 보여진다.

Table 4. Seasonal Statistics from ET for SMK and CFK

MODIS 8-day ET & In-situ 8-day ET [mm/8 day]

SMK

MAM

JJA

SON

DJF

CFK

MAM

JJA

SON

DJF

MAE

5.50

16.74

7.59

4.18

MAE

9.82

11.93

2.21

2.86

RMSE

7.02

18.46

9.16

4.30

RMSE

11.38

13.61

2.79

3.26

R

0.82

-0.11

0.72

0.66

R

0.09

0.38

0.94

0.67

IOA

0.74

0.29

0.57

0.25

IOA

0.42

0.45

0.93

0.59

ECOSTRESS ETinst & In-situ ET [mm/day]

SMK

MAM

JJA

SON

DJF

CFK

MAM

JJA

SON

DJF

MAE

7.31

12.14

7.07

-

MAE

1.86

8.88

4.47

-

RMSE

8.37

13.21

7.69

-

RMSE

2.79

10.26

5.18

-

R

0.12

0.38

0.88

-

R

0.53

0.30

0.39

-

IOA

0.28

0.20

0.37

-

IOA

0.73

0.41

0.24

-

마지막으로 ECOSTRESS ETdaily를 13개 지점에서 통계적 분석하였다(Fig. 6). 13개 관측소에서 MAE, RMSE, R, IOA의 평균은 순서대로 7.41 mm/day, 8.59 mm/day, 0.40, 0.25로 나타났으며, IOA는 모든 관측소에서 0.5 미만으로 일치성이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낮게 산정된 통계 결과는 ECOSTRESS와 지점 기반 일평균 자료의 산출 방법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ECOSTRESS ETdaily가 06~18시에 추정된 값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반면, 한국수문조사연보에서는 00시~24시에 관측한 값을 바탕으로 일평균한 ETdaily 자료만을 제공한다. 추후 30분 단위로 관측된 ET를 활용해 ECOSTRESS 추정 시간에 평균치를 계산하여 비교한다면, 더욱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Maps of ECOSTRESS ETdaily Statistics at 13 Eddy Covariance Flux Towers: (a) MAE, (b) RMSE, (c) R, (d) IOA
../../Resources/KSCE/Ksce.2024.44.5.0637/fig6.png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주로 지점 관측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LST와 ET의 관측 한계를 극복하고자 원격탐사 기법을 기반으로 한 ECOSTRESS 산출물(LST, ET)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2018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ECOSTRESS 산출물과 기존 검증이 이루어진 MODIS 기반 산출물을 연구지역 내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 13개소에서 관측된 자료와 비교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LST는 ECOSTRESS와 MODIS 모두 지점 자료와 유사한 시계열적 변동성을 나타내었으나 ECOSTRESS는 MO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오차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 단위로 LST 추정 자료를 제공하는 MODIS에 비해 ECOSTRESS는 평균 22.64일의 낮은 시간해상도로 인해 수득률이 저하되어 통계치가 유의미하게 도출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ET는 MODIS 8-day ET와 ECOSTRESS의 ETinst 및 ETdaily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MODIS 8-day ET는 지점 자료의 경향을 잘 모의하였으나, 낮은 공간해상도와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였다. ECOSTRESS의 ETinst는 오전(10~12시)에 낮은 태양 입사각에 따른 그림자의 영향으로 과대 산정 되었다. 마지막으로 ECOSTRESS의 ETdaily는 일평균 증발산량의 산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를 고려함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게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ECOSTRESS와 MODIS LST 및 ET는 다소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산출물은 지점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지점 자료의 경향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COSTRESS 산출물은 MODIS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통계치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관측 자료의 낮은 수득률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ECOSTRESS 산출물의 시간해상도와 수득률을 향상시켜 일별 및 월별 자료 수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수문기상 및 토지 피복에 따른 검·보정을 수행하여 고해상도 증발산량 및 가뭄지도를 개발한다면, 돌발·장기 가뭄에 대비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RS-2024- 00346383).

References

1 
"Anderson, M. C., Kustas, W. P., Hain, C. R., Cammalleri, C., Gao, F., Yilmaz, M., Mladenova, I., Otkin, J., Schull, M. and Houborg, R. (2013). “Mapping surface fluxes and moisture conditions from field to global scales using ALEXI/DisALEXI.” Remote Sensing of Energy Fluxes and Soil Moisture Content, pp. 207-232."URL
2 
"Baek, J. and Choi, M. (2012). “Availability of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the COMS in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8, pp. 755-765, https://doi.org/10.3741/JKWRA.2012.45.8.755 (in Korean)."DOI
3 
"Baik, J., Jeong, J., Park, J. and Choi, M. (2019). “A study on the analyzing of uncertainty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flux tower, satellite-based and reanalysis based datase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No. 1, pp. 11-19, https://doi.org/10.3741/JKWRA.2019.52.1.11 (in Korean)."DOI
4 
"Baik, J., Park, J. and Choi, M. (2016). “Assess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using MODIS produc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11, pp. 903-912, https://doi.org/10.3741/JKWRA.2016.49.11.903 (in Korean)."DOI
5 
"Baik, J., Park, J., Jun, C. and Lee, J. (2022). “Adequacy of the GK-2A AMI land surface temperature product according to geographic factors and compared with other satellite products (Modis and S-VIR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2, No. 3, pp. 15-23, https://doi.org/10.9798/kosham.2022.22.3.15 (in Korean)."DOI
6 
"Fang, H., Li, W. and Myneni, R. B. (2013). “The impact of potential land cover misclassification on MODIS leaf area index (LAI) estimation: A statistical perspective.” Remote Sensing, Vol. 5, No. 2, pp. 830-844, https://doi.org/10.3390/rs5020830."DOI
7 
"Fisher, J. B., Lee, B., Purdy, A. J., Halverson, G. H., Dohlen, M. B., Cawse-Nicholson, K., Wang, A., Anderson, R. G., Aragon, B., Arain, M. A., Baldocchi, D. D., Baker, J. M., Barral, H., Bernacchi, C. J., Bernhofer, C., Biraud, S. C., Bohrer, G., Brunsell, N., Cappelaere, B., Castro-Contreras, S., Chun, J., Conrad, B. J., Cremonese, E., Demarty, J., Desai, A. R., De Ligne, A., Foltýnová, L., Goulden, M. L., Griffis, T. J., Grünwald, T., Johnson, M. S., Kang, M., Kelbe, D., Kowalska, N., Lim, J.-H., Maïnassara, I., McCabe, M. F., Missik, J. E. C., Mohanty, B. P., Moore, C. E., Morillas, L., Morrison, R., Munger, J. W., Posse, G., Richardson, A. D., Russell, E. S., Ryu, Y., Sanchez-Azofeifa, A., Schmidt, M., Schwartz, E., Sharp, I., Šigut, L., Tang, Y., Hulley, G., Anderson, M., Hain, C., French, A., Wood, E. and Hook, S. (2020). “ECOSTRESS: NASA's next generation mission to measure evapotranspi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6, No. 4, e2019WR026058, https://doi.org/10.1029/2019WR026058."DOI
8 
"Fisher, J. B., Tu, K. P. and Baldocchi, D. D. (2008). “Global estimates of the land-atmosphere water flux based on monthly AVHRR and ISLSCP-II data, validated at 16 FLUXNET si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2, No. 3, pp. 901-919, https://doi.org/10.1016/j.rse.2007.06.025."DOI
9 
"Hulley, G. and Hook, S. E. (2018). “ECOsystem spaceborne thermal radiometer experiment on space station (ECOSTRESS): level-2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emissivity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ATBD).”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sadena, CA, USA."URL
10 
"June, T., Evans, J. R. and Farquhar, G. D. (2004). “A simple new equation for the reversible temperature dependence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 study on soybean leaf.” Functional Plant Biology, Vol. 31, No. 3, pp. 275-283, https://doi.org/10.1071/FP03250."DOI
11 
"Jee, J., Kim, B., Zo, I., Lee, K. and Choi, Y. (2016). “Retrieval of land surfacetemperature based on high resolution landsat 8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2, No. 2, pp. 171-183, https://doi.org/10.7780/kjrs.2016.32.2.9 (in Korean)."DOI
12 
"Kim, Y. (2017).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using infrared remote sensing data.”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15, No. 2, pp. 182-196 (in Korean)."URL
13 
"Kim, K., Baik, J., Lee, J., Lee, Y., Jung, S. and Choi, M. (2016). “An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gap-filling techniques for revising missing data of flux tower based evapotranspiration - FAO-PM, MDV, and Kalman Filt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6, pp. 95-107,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6.95 (in Korean)."DOI
14 
"Liang, L., Feng, Y., Wu, J., He, X., Liang, S., Jiang, X., Oliveira, G., Qiu, J. and Zeng, Z. (2022). “Evaluation of ECOSTRESS evapotranspiration estimates over heterogeneous landscapes in the continental US.” Journal of Hydrology, Vol. 613, 128470, https://doi.org/10.1016/j.jhydrol.2022.128470."DOI
15 
"Liu, N., Oishi, A. C., Miniat, C. F. and Bolstad, P. (2021). “An evaluation of ECOSTRESS products of a temperate montane humid forest in a complex terrain environ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265, No. 112662, https://doi.org/10.1016/j.rse.2021.112662."DOI
16 
"McMillin, Larry M. (1975). “Estim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 from two infrared window measurements with different absorp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80, No. 36, pp. 5113-5117, https://doi.org/10.1029/JC080i036p05113."DOI
17 
"Mu, Q., Zhao, M. and Running, S. W. (2013).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ET) product (NASA MOD16A2/A3).”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Collection, 5, 600."URL
18 
"Neteler, M. (2010). “Estimating daily land surface temperatures in mountainous environments by reconstructed MODIS LST data.” Remote Sensing, Vol. 2, No. 1, pp. 333-351, https://doi.org/10.3390/rs1020333."DOI
19 
"Price, J. C. (1984). “Land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the split window channels of the NOAA 7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89, No. D5, pp. 7231-7237, https://doi.org/10.1029/JD089iD05p07231."DOI
20 
"Park, J., Baik, J. and Choi, M. (2017). “Satellite-based crop coefficient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surface soil moisture and vegetation indices in Northeast Asia.” Catena, Vol. 156, pp. 305-314, https://doi.org/10.1016/j.catena.2017.04.013."DOI
21 
"Pan, Y., Gao, Y. and Li, S. (2021). “Impacts of land use/land cover distributions and vegetation amount on land surface temperature simulation in east China.” Earth and Space Science, Vol. 8, No. 5, e2020EA001544, https://doi.org/10.1029/2020EA001544."DOI
22 
"Park, S. and Kim, M. (2021). “Availability of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landsat 8 OLI/TIRS science produc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7, No. 3, pp. 463-473, https://doi.org/10.7780/kjrs.2021.37.3.8 (in Korean)."DOI
23 
"Potter, C. S., Randerson, J. T., Field, C. B., Matson, P. A., Vitousek, P. M., Mooney, H. A. and Klooster, S. A. (1993). “Terrestrial ecosystem production: A process model based on global satellite and surface data.”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Vol. 7, No. 4, pp. 811-841, https://doi.org/10.1029/93GB02725."DOI
24 
"Ruhoff, A. L., Paz, A. R., Aragao, L. E. O. C., Mu, Q., Malhi, Y., Collischonn, W., Rocha, H. R. and Running, S. W. (2013). “Assessment of the MODIS glob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using eddy covariance measurements and hydrological modelling in the Rio Grande basi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8, No. 8, pp. 1658-1676, https://doi.org/10.1080/02626667.2013.837578."DOI
25 
"Stone, P. H., Chow, S. and Quirr, W. J. (1977). “The July climate and a comparison of the January and July climates simulated by the GISS general circulation model.”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5, No. 2, pp. 170-194, https://doi.org/10.1175/1520-0493(1977)105<0170:TJCAAC>2.0.CO;2."DOI
26 
"Sur, C., Han, S., Lee, J. and Choi, M. (2012).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spatial evapotranspiration and validation of fluxtower measurements by eddy covariance method.”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4, pp. 435-448, https://doi.org/10.7780/kjrs.2012.28.4.7 (in Korean)."DOI
27 
"Valdés-Uribe, A., Hölscher, D. and Röll, A. (2023). “ECOSTRESS reveals the importance of topography and forest structure for evapotranspiration from a tropical forest region of the andes.” Remote Sensing, Vol. 15, No. 12, pp. 2985, https://doi.org/10.3390/rs15122985."DOI
28 
"Wang, K. and Dickinson, R. E. (2012). “A review of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Observation, modeling, climatology, and climatic variability.” Reviews of Geophysics, Vol. 50, No. 2, https://doi.org/10.1029/2011RG000373."DOI
29 
"Wan, Z., Zhang, Y., Zhang, Q. and Li, Z. L. (2004). “Quality assessment and validation of the MODIS global land surface temp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1, pp. 261-274, https://doi.org/10.1080/0143116031000116417."DOI
30 
"Yang, Y., Roderick, M. L., Guo, H., Miralles, D. G., Zhang, L., Fatichi, S., Luo, X., Zhang, Y., McVicar, T. R., Tu, Z., Keenan, T. F., Fisher, J. B., Gan, R., Zhang, X., Piao, S., Zhang, B. and Yang, D. (2023). “Evapotranspiration on a greening Earth.” Nature Reviews Earth & Environment, Vol. 4, No. 9, pp. 626-641, https://www.nature.com/articles/s43017-023-00464-3."URL
31 
"Zhang, Q., Xiao, X., Braswell, B. H., Linder, E., Aber, J. and Moore, B. (2005). “Estimating seasonal dynamics of bio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a deciduous forest using MODIS data and a radiative transfer model.”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99, pp. 357-371."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