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 (Pusan National University ․ yw2282@naver.com)
  2. 정회원 ․ 교신저자 ․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명예교수 (Corresponding Author ․ Pusan National University ․ jkkim45@pusan.ac.kr)
  3. 정회원 ․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수료생 (Pusan National University ․ seh6679@gmail.com)



입체개발, 철도시설부지, 도시경쟁력, 지표개발, 토지활용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Reilway facility site, Urban competitiveness, Surface development, Land utilization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905년에 개통된 부산시 내 경부선은 구포역, 부산진역을 시작으로 1921년 사상역, 1932년 부전역(간이역으로 서면역으로 영업 개시를 했으며, 1943년 부전역으로 명칭 변경)이 생겼고, 서울, 호남, 충청 등의 내륙으로 통하는 주요 길목이 되고 있다. 그러한 경부선으로 대량의 물류이동이 용이해지면서 부산의 도시 발전에 크게 기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부산시 도시공간의 구조적 내부상황은 철도로 양분화 된 지역이 오랫동안 단절로 쇠퇴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 철도시설로 인한 가용 토지의 부족, 지역 양극화로 인한 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 철도시설 지하화 사업이다. 철도시설의 지하화는 기존 철로가 지하로 내려가면서, 기존의 철로 자리에 유휴부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유휴부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단절되었던 부지간에 연결로 교류가 가능케 하고, 주변 지역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본 등에서도 철도시설부지를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Kim et al., 2017).

유휴부지의 활용은 단절되거나 쇠퇴된 지역의 재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곧 도시경쟁력 제고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기차역사 주변은 업무, 상업, 문화, 교통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화 되어 있어 경제적 이익이 극대화 되는 공간으로, 그 지역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도시의 경쟁력까지 이끌 수 있다(Kim et al.,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도 시설의 지하화로 발생한 각 권역별 유휴부지에 대해 토지의 입체적 활용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2 연구의 목표 및 방법

본 연구는 3년간의 연속 연구의 3년차 연구로, 부산시 경부선 철도시설 부지의 입체개발로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 1차 연구(Shin et al., 2022) 는 부산시 경부선 철도 입체개발에 대한 사업 분석과 각 권역별 특징들을 조사하고, 각 권역별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가용토지 활용에 대해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연구(Keum et al., 2023)에서는 철도부지의 입체 개발 유형에 대해 정리・분석하고 가용토지의 입체적 활용방안에 대해 지상과 지하를 구분하여 선호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반영하여 입체개발의 현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3차 본 연구에서는 앞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부산 경부선 철도부지의 각 시설의 입체적 배치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예상되는 도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도시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 연구 및 지표와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지표를 도출하고 연구 대상지 범위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마련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도시경쟁력 정의 및 의의

도시경쟁력에 대한 연구는 국가경쟁력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국가경쟁력은 인적자원, 자본, 기술이 결합되어 안보력 강화, 고용창출의 활성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의 결과를 보여준다(Callon, 1996). 이러한 개념이 국가에서 도시로 경쟁력 비교의 범주가 한 단계 내려오게 되는데, 21세기에 들어와서 정보화와 글로벌화로 도시들은 더 이상 국가의 일부분이 아닌 각 도시들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주요 도시들과 직접적으로 비교・평가되어 지고 있다(Song, 2021). 국립국어원에서 설명하길 도시경쟁력은 ‘한 도시가 다른 도시들과 경쟁할 만한 힘이나 강점’으로 입주한 기업이나 기관(경제), 교통, 문화, 환경 등 다양한 평가 요소를 기준으로 산정되고 있다. 도시경쟁력은 도시가 갖고 있는 경제적・비경제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양적・질적 성장과 발전을 통한 도시성장이 가속화 및 도시발전을 가능하게 한다(Lee, 1995). 이에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도시마케팅, 도시브랜딩 등과 접목하여 각 도시의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각 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구축하여 도시가 가진 가치와 힘을 내세우고자 하고 있다.

2.2 입체개발과 도시경쟁력 관계

입체개발이란 토지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공간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용도를 상하로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Lee, 2005). 이와 관련한 선행사례로는 입체도로, 입체철도, 입체공원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이 도시에 입체적 유휴공간을 창조하여 다층적 공간 활용을 통해 도시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개발방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부산과 같이 철도로 이분화 된 공간의 단절, 양극화 문제에 대해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입체개발과 도시경쟁력이 추구하는 공통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이며, 매력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가 직면한 문제에 대응하고자 함에 있다.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전략으로서 입체개발은 제한된 도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녹지 공간을 보존하고, 집약적 경제 활동 공간 조성을 통한 경제적 활성화, 도시의 접근성과 연결성 강화, 물리적・사회적 환경 개선을 통한 도시의 매력도 증가 등 도시경쟁력에 직접적 보완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Keum et al., 2023).

3. 분석의 틀

3.1 분석의 틀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부산시 경부선 철도부지가 지하화 된다는 전체하에 지하화 사업으로 인해 생기는 유휴부지의 입체적 활용과 그로 인한 경쟁력 제고를 파악해 보고자 함이다. 그래서 1차 연구에서 도출된 가용토지 활용법 조사 결과와 2차 연구에서 도출된 권역별 입체개발 유형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로 적합한 입체개발 유형에 필요시설을 직접 배치하고, 이에 대한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대상지에 적합한 수정된 지표를 활용하여 대상지에 대한 경쟁력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Table 1).

Table 1. Analysis Process
../../Resources/KSCE/Ksce.2024.44.4.0587/tb1.png
Table 2. Mori Memorial Foundation's Urban Competitiveness Index

Categories

Indicators

Economy

Nominal GDP

GDP per Capita

GDP Growth Rate

Economic Freedom

Stock Market Capitalization

World's Top 500 Companies

Total Employment

Employees in Business Support Services

Wage Level

Availability of Skilled Human Resources

Variety of Workplace Options

Corporate Tax Rate

Political, Economic and Business Risk

Research and Development

Number of Researchers

World's Top Universities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Number of Patents

Winners of Prizes in Science and Technology

Number of Startups

Cultural Interaction

Number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Number of Cultural Events

Cultural Content Export Value

Art Market Environment

Tourist Attractions

Proximity to World Heritage Sites

Nightlife Options

Number of Theaters

Number of Museums

Number of Stadiums

Number of Hotel Rooms

Number of Luxury Hotel Rooms

Attractiveness of Shopping Options

Attractiveness of Dining Options

Number of Foreign Residents

Number of Foreign Visitors

Livability

Total Unemployment Rate

Total Working Hours per Capita

Workstyle Flexibility

Housing Rent

Price Level

Number of Murders

Economic Risk of Natural Disaster

Life Expectancy

Social Freedom and Equality

Risk to Mental Health

Number of Medical Doctors

ICT Readiness

Number of Retail Shops

Number of Restaurants

Environment

Commitment to Climate Action

Renewable Energy Rate

Waste Recycle Rate

CO2 Emissions per Capita

Air Quality

Comfort Level of Temperature

Water Quality

Urban Greenery

Satisfaction with Urban Cleanliness

Accessibility

Cities with Direct International Flights

International Freight Flows

Number of Air Passengers

Number of Arrivals and Departures at Airports

Station Density

Public Transportation Use

Travel Time to Airports

Commuting Time

Average Driving Speed

Ease of Mobility by Taxi or Bicycle

3.2 도시경쟁력 기존 평가지표

도시경쟁력을 평가하는 지표들을 도출함에 있어 연구하는 대상의 여건에 맞춰 적절성 및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도시경쟁력 평가 연구에서 어떠한 지표들이 보편적으로 활용되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평가한 사례들을 참조하여 본 연구에 맞는 도시경쟁력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Goeonggi Research Institute(2006)은 매력·경제·생활기반의 3가지의 큰 카테고리 내 서울 및 수도권과 북경, 상해,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동북아시아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1인당 평균 집의 크기, 인구 10,000명 당 의사 수, 고용률, GDP 심지어 생활기반의 접근성에 있어서는 공항 화물 취급 규모와 같은 범주가 큰 17개의 지표가 이용되었다.

Daejeon Sejong Institute(2023)은 경제적·인구통계학적·정주환경적 측면 세 가지로 구분하여 국내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나의 대도시의 경쟁력을 평가를 위한 지표로 지방세, 비고용률, 개인 소득수준 등의 7개의 경제적 지표와, 전체 밀도, 학생이나 외국인 수 등의 7개의 인구통계학적 지표, 의사수, 공원수, 도서관수, 대학교수와 같은 정주환경적 측면에서 13개의 지표를 활용하였는데, 이들의 지표들은 대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한 수준의 지표이다.

일본 모리기념재단은 전 세계 주요도시에 대해 경제, 연구 및 개발, 문화적 상호작용, 리버빌리티, 환경, 접근성 등 6개 카테고리 기준으로 Global Power City Index(GPCI)를 측정하여 도시경쟁력 순위를 비교하고 있다. 2023년 기준 1위는 런던, 2위는 뉴욕, 서울은 8위로 선정되었다. 이는 각 나라별 대도시간 비교라 지표의 범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된 도시경쟁력 평가지표들은 국내의 도시 간 비교 연구 또는 국가별 대도시 간 비교를 위함이었으며, 도시경쟁력의 개념이 광의적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대상지 및 지표들의 규모와 분석의 단위 또한 크고 광범위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시 내 경부선 철도 지하화에 따른 주요 철도역의 주변지역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선행 연구들에 비해 대상지가 협소하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도시경쟁력 지표를 활용하되 지역적 여건과 특성에 맞춰 대상지의 범위를 줄이고, 역 주변 단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지표의 범주를 줄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3.3 연구대상지 도시경쟁력 평가지표 도출

권역별로 1, 2차년도에 주민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대분류 카테고리를 도출하였다. 1, 2차년도에서 도출된 입체개발 대분류인 주거, 상업·업무, 문화·복지, 공원, 도로·주차로 재구분하여 정리하고, 각 부문별 세부 평가지표들은 국지적 공간의 도시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로만 활용하기로 하였다. 국지적 범위를 평가하기에 기존 선행자료들의 지표는 해상도가 너무 크며, 통계적으로 구득할 수 있는 공간 단위가 맞지 않고, 또한 아직 사업의 실체가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계적 데이터를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선행지표를 적극 활용하되 통계 데이터 대신, 주관적 질문으로 바꾸어 지역 경쟁력에 대한 효과를 예측해 볼 수 있다(Table 3 참고).

Table 3. Indicators to Evaluate Spatial Competitiveness(Using Urban Competitiveness Indicators) according to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Categories

Indicators

Modified Detailed Indicators

Residential

Population density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area?

Housing supply rate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housing supply rate in this area?

Commercial & Business

The number of businesse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businesses?

The number of employee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employees?

Employment rate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employment rate?

Culture & Welfare

The number of hospital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hospitals?

The number of movie theater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movie theaters?

The number of librarie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libraries?

Park

Park area per person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area of the park per person?

Green space area for the entire region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area of green space area for the entire region?

Road & Parking

Road extension rate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road extension rate?

Parking space per person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parking area per capita?

The number of vehicles

Will the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of the railway site increase the number of vehicles in the area?

4. 권역별 입체개발 방법 및 평가

4.1 권역별 입체개발 유형 및 시설배치

본 절에서는 앞선 1차 연구에서 도출된 가용토지 활용방안 조사 결과 및 2차 연구에서 도출된 권역별 입체개발 유형을 종합하여 각 대상지 권역에 적합한 입체개발 유형에 필요한 시설을 직접 배치하였다. 연구 결과, 네 권역 모두 철도 및 주차공간을 지하화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지상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유형이 도출되었다.

먼저 구포의 경우 지상공간을 문화·복지 및 주거시설, 공원으로의 활용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이를 반영하여 현재 주거시설이 위치한 지역에 주상복합의 주거시설 및 문화·복지시설을 배치하고였다. 또한 지하공간에 일부 상업시설을 배치하고, 구포역 주변 낙동강 주변으로 수변공원을 조성하여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사상의 경우 주거, 상업·업무, 문화·복지, 공원, 도로 및 주차 등 모든 시설이 고르게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철도 및 주차공간을 지하화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에 도로를 확장하고, 공원, 주거 등 각종 시설을 배치하였다.

가야의 경우 주거시설 및 공원으로의 활용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이에 주변에 위치한 부산시민공원과 연계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 및 공공시설을 지상에 배치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로 인한 단절된 양 공간을 지하로 연결하고 상업시설을 배치하여 연결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부산진은 사상과 마찬가지로 부족한 시설에 대한 응답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고, 공원으로의 활용 방안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에 주차공간 및 상업시설을 배치하고, 역사를 공원화하여 지역의 어메니티를 강화하였다.

도출된 권역별 적합 입체개발 유형 및 필요시설에 대한 배치를 종합하여 위 내용에 따라 현황과 유형에 따른 시설 배치를 Table 4와 같이 도출되었다.

Table 4. Multi-dimensional Developmnet Facility Layout by Region
../../Resources/KSCE/Ksce.2024.44.4.0587/tb4.png

4.2 권역별 입체개발 시설배치에 대한 평가

본 절에서는 도시경쟁력 지표를 연구 대상지 범위에 맞도록 조정한 Table 3의 지표를 이용하여 각 권역별 입체개발 유형 및 시설배치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1,2차년도에서의 권역별 필요한 시설 및 입체개발 방식은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에, 이에 대한 평가는 도시계획 관련 전문가들로 대상을 정하였다. 또한 실체가 없는 대상이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효과를 예측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전문가 50인을 대상으로 각 권역별 입체개발 시설배치에 대해 5점 척도로 조사를 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 Fig. 1과 같다.

Fig. 1. Evaluation of Regional Competitiveness for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Facility Layout by Region
../../Resources/KSCE/Ksce.2024.44.4.0587/fig1.png

권역별로 입체개발 시설배치 유형이 달라 지표별 차이가 조금 있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입체개발로 인해 지역의 경쟁력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입체개발로 인해 권역별로 지역의 부족한 주차 공간과 녹지 공간 문제에 공통적으로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5. 결 론

부산 경부선의 도심 철도는 도심을 단절시키고, 공간을 왜곡하고 발전을 저해해왔다. 과거에는 부산과 다른 도시와의 철도운송을 이어주는 대동맥 역할을 해왔지만, 이제는 고속철도와 부산신항이 건설되면서 그 역할이 많이 감소되었다. 이에 도심단절을 극복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 경부선의 지하화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Lee, 2018).

철도부지의 지하화로 상당한 가용부지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용부지에 대한 활용 방안 중 토지의 입체적 활용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최근 많은 공간에 적용이 되어 오고 있고, 수도권에서도 추진중에 있다. 한정된 공간에 있어 지역의 필요시설에 대한 입체적 배치는 그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NRF-2021R1A2C1007196).

References

1 
"Callon, J. D. (1996). Competitive Advantage Throng Information Technology, New York, McGraw-Hill, p. 25 (in USA)."URL
2 
"Daejeon Sejong Institute (2023). “Development of Daejeon-type city competitiveness index and trend analysis” (in Korean)."URL
3 
"Gu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2006). A Study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 metropolitan region’s competitiveness in North-east (in Korean)."URL
4 
"Kim, P. S. and Kim, J. N. (2012). “The effects of urban com- petitiveness on the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Downtown of Seoul.” Journal of the KRSA, Vol. 28, No. 2, pp. 79-93."URL
5 
"Keum, Y. G. and Kim, J. G. (2023).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type and plan for railway facility site - Focus on the Gyeongbu Line railway multi-dimensional project in Busan.”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3, No. 4, pp. 525-533, https://doi.org/10.12652/Ksce.2023. 43.4.0525 (in Korean)."DOI
6 
"Kim, D. K., Kim, S. J., Song, J. E. and Jang, Y. H. (2017). “Flexible land use plan to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Krihs (in Korean)."URL
7 
"Lee, M. H. (2005). “Necessity of three-dimentsonal city planning and review of legel basis.” Measures to legislate three- dimensional urban planning (Korea Land and Urban Planning Society workshop), pp. 3-16 (in Korean)."URL
8 
"Lee, S. K. (2018). “Busan’s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solved by underground reilroad.” BDI Policy Focus, Vol. 336 (in Korean)."URL
9 
"Lee, Y. Y. (1995). “Municipal science & technology policy to strengthen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8, pp. 7-35 (in Korean)."URL
10 
"Shin, E. H., Kim, J. G., Kang, Y. W., Keum, Y. G. and Kwon, Y. S. (2022). “Multi-dimensional urilization of a railway facility site and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he multi-dimensional project of the Gyeongbu Line.”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42, No. 6, pp. 879-885, https://doi.org/10.12652/Ksce.2022.42.6.0879 (in Korean)."DOI
11 
"Song, S. Y. (2021). A Study on Developing Competitive City Branding Policies: by Comparing the Branding Polices of the Major Cities in Korea and the Worl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Ajou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