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교신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수석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 KICT ․ hanim.kim@kict.re.kr)



액정, 2차원소재, 나노복합소재, 난연제, 가스 차폐 코팅
Liquid crystals, 2D-nanomaterials, Nanocomposites, Flame retardant, Gas barrier

1. 서 론

점차 가볍고 기능적인 소재를 활용하는 건설 기술 트렌드의 변화로 건축구조물 내 고분자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연질 폴리우레탄 폼(Flexible polyurethane foam, PU)은 우수한 단열성, 낮은 밀도, 내화학성으로 인해 건축재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U의 화학적 특성상 가연성이 높아 대형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발화 시 많은 양의 유독가스 및 연소열을 방출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Levchik and Weil, 2004; Singh and Jain, 2008). 이에 관련 분야에서는 화재 안전성이 강화된 건축·건축자재 개발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적절한 난연화는 고분자 건축자재 발화 및 화염 확산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고분자의 난연화 방법은 할로겐류 등 기체상의 난연제를 벌크 매트릭스 내에 기계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며, 이는 가장 저렴하고 빠른 혼합 방법이다(Morgan and Wilkie, 2006; Stapleton et al., 2011). 그러나 할로겐 첨가제는 실내 공기 중에 부유되어 환경 및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연소 시 유독가스를 생성할 수 있어 최근에는 점차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Stapleton et al., 2011).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은 무기계 난연성 첨가제의 경우, 충분한 성능 발현을 위해 요구되는 질량 비율이 높아서 고분자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고분자 종류에 따른 상용성의 한계로 그 활용이 제한될 수 있다(Morgan and Wilkie, 2006). 이러한 기존 난연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연성 건축자재 표면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코팅 기술이 개발되었다(Yang et al., 2019; Malucelli, 2016; Liang et al., 2013). 표면 코팅 방법은 다양한 고분자 소재에 범용적 적용이 가능하며, 마이크론 이하 두께의 박막으로 적용될 경우 자재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내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성능의 난연화가 가능한 코팅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Yang et al., 2019; Malucelli, 2016; Liang et al., 2013; Wang et al., 2017). 이 중에서 졸겔(Sol-Gel) 코팅은 가수분해 및 축합의 2단계 습식 화학공정을 통해 무기 또는 유·무기 복합소재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Yang et al., 2019; Malucelli, 2016). 이 방법은 난연성 유·무기 복합소재를 수백 나노미터 수준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불규칙한 표면 지형을 갖는 기판에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균일한 코팅 두께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 문제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또 다른 난연성 복합소재 코팅 기술로써 Layer-by-Layer (LBL)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었다(Yang et al., 2019; Liang et al., 2013). 이 기술은 기능성 나노소재를 기판 표면에 차례로 적층하여, 기판의 종류나 형태에 상관없이 표면에 정밀하고 균일한 층상구조의 나노코팅을 제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충분한 코팅층 두께 확보에 다중 증착이 필요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건설·건축 분야와 같이 대규모 생산이 필요한 분야에는 기술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난연코팅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능과 경제성이 확보된 소재를 활용하고, 단순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인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기존의 건축자재에도 즉각적인 적용이 가능한 실효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유래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고분자 건축자재에 효과적으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의 친환경 난연복합소재 코팅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산화 그래핀 (Graphene oxide, 이하 GO)와 같은 2차원 나노소재는 특정 농도범위의 용액상에서 2차원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기정렬되는 특성을 보이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3차원 형태의 겔 네트워크 구조체를 기능성 나노복합소재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골격 구조체(scaffold)로써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2차원 소재를 활용한 난연복합소재 코팅 기술을 소개하고, 해당 기술이 적용된 고분자 건축자재의 물성 변화와 관련하여 연구된 결과를 정리하였다. 또한, 기존 건축분야에 사용되던 난연성 첨가제의 친환경적 대안으로써 활용하기 위한 본 기술의 활용 가능성 및 향후 기술 개발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 본 론

2.1 자연 모사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기반 친환경 난연코팅 기술

환경친화적이면서도 고성능의 난연화가 가능한 코팅기술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Yang et al., 2019; Malucelli, 2016) 그 중 천연 단백질 전구물질을 모사한 무독성 고분자인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이하 PDA)를 난연성 코팅소재로써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Cho et al., 2015). PDA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기능기로부터 기인한 공기 중 산소 라디칼을 소모하는 radical scavanger 효과를 고분자에 부여하여 상당한 열 산화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수소결합 특성을 가지므로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PDA는 가연성 고분자의 화재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난연성 나노코팅 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PDA를 형성하는 전구체인 도파민 (Dopamine) 수용액 내 PU폼의 침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코팅 두께 및 난연성능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Fig. 1(a), (b)). 그러나, PDA가 충분한 난연 특성을 발현하기 위한 코팅 두께에 도달하기 위한 증착 시간이 매우 길어 산업적 응용이나 대규모 생산에는 제한적인 방법이다. 이에 따라 PDA 코팅 증착효율을 제어된 방식으로 가속화 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이 모색되었다.

Fig. 1. (a) Photographs of PDA-coated PU Foams with Controlled PDA Deposition Time. (b) Controlled Mass of PDA on PU Foams as a Function of Coating Time. (C) Burning Behavior of Uncoated (Left) and PDA-coated (Right) PU Foams. Reproduced from Cho et al., 2015 with Permission, Copyright 2015 by American Chemical Society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1.png

2.2 자연유래 2차원 나노소재의 액정성을 활용한 친환경 난연성 나노복합소재 코팅기술

PDA의 코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연에서 유래한 2차원 나노소재를 PDA 코팅의 골격 구조체로 활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이하 GO)는 천연물질인 흑연 (graphene)의 박리 및 산화 과정을 통해 얻어진 단일층상구조의 나노소재로서, 약 1 nm의 두께 및 1000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나노물질이다(Fig. 2(a)). GO는 표면의 풍부한 산소 기능기를 포함하고 있어 물을 포함한 극성 용매에 쉽게 분산될 수 있으며, 본연의 2차원 평면적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농도 구배에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군집 거동을 보이는 액정성을 발현하게 된다(Fig. 2(b), (c)) (Kim et al., 2011). 이러한 액정성으로 인하여, GO는 특정 농도 범위에서 나노시트 간 물리적 상호 작용을 통해 3차원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로부터 물리적 젤과 유사한 점탄성적 레올로지 특성을 발현하게 되어 기판에 균일한 도포가 가능해진다(Kim et al., 2011; Kumar et al., 2014).

GO 용액이 도포된 기판을 즉시 도파민 수용액에 침지하게 되면, GO가 형성하는 3차원 겔 형태의 코팅 골격구조체 내부로 도파민 단량체가 빠르게 침투하게 되고, 이후 GO 표면에서 중합반응을 일으켜 각 GO 입자 표면에 PDA가 나노미트 두께로 증착되게 된다(Fig. 3(a)-(d)) (Kim et al., 2018). 이를 건조시키면, 결과적으로 기판 표면에 PDA와 GO가 균일하게 적층된 층상구조의 PDA/GO 나노복합체 코팅층이 얻어지게 된다(Fig. 3(d)). 이러한 코팅 메카니즘은 3차원의 다공성 PU폼 표면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Fig. 3(e)). 실제 PDA/GO 코팅층은 PU폼 전 표면에 뭉침이나 결함없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코팅 과정에서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구조를 자발적으로 형성하려는 GO의 자기정렬특성 및 PDA의 강한 표면부착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Kim et al., 2018).

Fig. 2. (a) Chemical Structure of GO. (b) Self-alignment of GO Upon Drying Process. (c) Concentration-dependent LC Behavior of GO in Aqueous Media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2.png
Fig. 3. (a) Scheme of the PDA/GO Nanocomposite Coating. (b-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Showing Structural Formation of LC Phase-assisted PDA/GO Coating. (e) Morphology of PDA/GO Coated PU Foam. Reproduced from Kim et al., 2018 with Permission, Copyright 2018 by John Wiley & Sons, Inc.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3.png

2.3 친환경 난연성 나노복합소재가 코팅된 고분자 건축자재의 기계적 물성평가

PDA/GO 코팅이 적용된 PU폼이 본연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건축자재로써의 활용되기 위해서는, 코팅 후에도 PU폼 고유의 물성이 보존되어야 한다. 이에 PDA/GO가 코팅되기 전 후의 PU폼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순환 압축 시험이 수행되었다(Kim et al., 2018). 코팅되지 않은 PU폼의 경우 압축이 해제된 후 곡선은 초기 지점으로 돌아가며 영구적인 구조 변형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 PDA/GO가 코팅된 PU폼의 경우 40회의 순환 변형공정 후 9 % 미만의 미미한 변형이 확인되었으나 탄성적인 형상 회복 특성은 유지되었다(Fig. 4(b) 내 inset 그래프 참조). 대부분의 고체상 무기계 난연 첨가제가 PU폼에 기계적으로 혼입될 때, 일반적으로 수십 wt% 수준으로 다량 첨가됨에 따라 PU폼의 기계적 물성을 감소시키는 것과 달리, PDA/GO 코팅의 경우는 코팅 내 모든 구성물질이 기계적으로 유연한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팅이 나노미터 수준의 박막으로 도포되기 때문에 크게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Cho et al., 2015; Kim et al., 2018).

Fig. 4. Mechanical Properties of PU Foam (a) before and (b) after PDA/GO Coating Measured by Compression-recovery Process(Kim et al., 2011). Reproduced fromKim et al., 2018 with Permission, Copyright 2018by John Wiley & Sons, Inc.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4.png

2.4 친환경 난연성 나노복합소재가 코팅된 고분자 건축자재의 연소특성 평가

PDA/GO 코팅의 난연 성능은 개방 화염실험 및 콘 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 시험법을 통해 평가되었다(Fig. 5) (Kim et al., 2018). Fig. 5(a)와 같이, 코팅되지 않은 PU폼의 경우 발화와 즉시 열분해 되어 용융 현상이 관찰되는 반면에, PDA/GO가 코팅된 PU폼의 경우에는 화염 접촉 후 발화 시간 및 화염 확산 속도가 확연히 저하되는 현상을 보였다(Fig. 5(b)). 이러한 PDA/GO 코팅이 부여하는 난연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콘 칼로리미터 시험법이 수행되었다(Fig. 5(c)). 콘 칼로리미터 시험법은 시편에 입사되는 복사열 유속(Radiant heat flux)에 대한 시료의 산소소모율(Oxygen consumption rate)을 근거로 하여 시편의 점화시간, 시편 단위 면적당 열방출율(Heat Release Rate, HRR) 등을 측정하여 난연성능을 정량화하는 시험법이다. PDA/GO 코팅 전후의 PU폼의 연소거동을 콘카칼로리미터 시험법으로 비교하였을 때, 코팅되지 않은 순수 PU폼의 경우 점화 후 40초 부근에서 급격한 열분해가 이루어지며 779.2 KW/m2의 최대 열방출률(P-HRR)을 보이는 반면, PDA/GO가 코팅된 PU폼의 경우(2.5/2.5 wt%의 코팅질량 포함), P-HRR 값이 273.2 KW/m2로 65 % 이상 크게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Fig. 5(c), 빨강곡선). 이와 같이 PDA/GO가 부여하는 고성능의 난연 특성은 PDA가 제공하는 radical scavanging 효과, 그리고 PDA 및 GO 각 물질 고유의 공액 구조로부터 기인한 효과적인 char 형성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Cho et al., 2015; Kim et al., 2018).

Fig. 5. Flammability of (a) Uncoated and (b) PDA/GO Coated PU Foam. (c) Cone Calorimetry Results of Uncoated (Black) and PDA/GO Coated(Red) PU Foam. Reproduced fromKim et al., 2018 with Permission, Copyright 2018by John Wiley & Sons, Inc.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5.png

2.5 친환경 난연성 나노복합소재 코팅의 가스 차폐 특성

건축구조물에서의 화재 발생 시, 가장 큰 인명피해의 원인은 고분자 등의 가연성 건축자재가 연소 시 발생시키는 유독가스에 의함이다. 따라서 화염 확산 억제와 더불어 유독성의 가스상 연소생성물의 발생 및 확산을 저감하기 위한 표면 가스 차폐 성능을 부여하는 것도 건축자재의 효과적인 난연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PDA/GO 코팅층의 가스 차폐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He 가스를 이용한 가스투과 실험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Fig. 6). PDA/GO가 1:1 질량 비율로 다공성 나일론 기판(약 0.1 μm 기공크기)에 60 μm 두께로 코팅된 샘플의 He 투과율을 측정하였을 때, 약 0.079 barrer의 He 투과율을 보였다. 이러한 PDA/GO의 He 투과 차폐 수치는 기존에 연구된 고분자-나노필러 혼합 또는 코팅 시스템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보고된 최고 성능과 견줄 만큼의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Fig. 6(c)Table 1 참조). PDA/GO의 경우 GO의 2차원 구조 및 자기정렬 특성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주기적으로 적층된 나노쉬트 형태로 최종 코팅 구조가 안정화되는데(Fig. 6(a), (b)),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가스 분자가 코팅층을 통과하는 동안 여러 번 투과 경로를 바꾸게 되는 torturing path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나노소재 층간의 상호작용으로 가스 분자의 이동을 더욱 어렵게 만들며(Fig. 6(a)) (Kim et al., 2019; Kim et al., 2024), 결과적으로 PDA/GO 코팅층은 매우 우수한 가스 차폐 특성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PDA/GO가 부여할 수 있는 가스 차폐 특성은, 코팅 하부에 존재하는 가연성 소재의 연소 시 발생할 수 있는 유독성 연소물질 및 연소열의 방출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연성 건축자재의 효과적인 난연화 전략이 될 수 있다.

Fig. 6. (a-b) Gas Barrier Properties off PDA/GO Coating Resulted from Its Stacked Lamellar Structure. (c) Comparison of He Permeability with Conventional Polymer/Nanofiller Composite-based Gas Barrier Systems(Kim et al., 2019;Kim et al., 2024;Kim and Macosko, 2009;Kaveh et al., 2014;Yucel et al., 2014;Picard et al., 2011;Villaluenga et al., 2007)
../../Resources/KSCE/Ksce.2024.44.2.0183/fig6.png
Table 1. Gas Barrier Properties of Polymer-nanofiller Flame Retardant System

Polymer Matrix

Filler

Gas

He Permeability

(Barrer)

Reference no.

Polycarbonate (PC)

Graphene

He

8.8

Kim and Macosko, 2009

Polyurethane (PU)

GO

He

0.97

Kaveh et al., 2014

Poly(1,4 phenylene sulfide) (PAI)

Nanoclay

He

232

Yucel et al., 2014

Polylactic acid (PLA)

Nanoclay

He

9.05

Picard et al., 2011

Polypropylene (PP)

Nanoclay

He

3

Villaluenga et al., 2007

Polycaprolactone (PCL)

Nanoclay

He

1.12

Gain et al., 2005

PS (Substrate)

PEI/PAA/Nanoclay (Coating)

He

0.06

Tzeng et al., 2015

Macroporous Nylon (Substrate)

PDA/GO (Coating)

He

0.079

This work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GO 및 PDA 등 인체 및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가연성 고분자 건축자재에 효과적으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친환경 난연 코팅 기술을 소개하였다. 자연 유래 2차원 소재인 GO의 농도 기반 자기 정렬 특성을 이용하여 PDA와 같은 항산화 기능 난연 코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코팅 골격 구조체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매우 균일하게 주기적으로 적층된 PDA/GO 나노복합체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PDA/GO 코팅은 3차원 다공성 구조인 PU폼 표면에 나노미터 수준의 박막 형태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U폼의 기계적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재에 효과적으로 내화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PDA/GO 코팅을 구성하는 층상 나노구조는 효과적인 가스 차폐 성능을 제공하며, 이는 코팅층 내부의 가연성 소재가 연소 시 발생시키는 유독성 연소 물질 및 연소열의 방출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성 2차원 소재를 활용한 난연성 나노복합소재 코팅 기술은 기존에 연구된 코팅 기술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건축자재에 친환경적·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기존에 이미 시공된 건축자재의 철거 및 교체 없이 즉각적으로 기술의 적용 및 효용을 기대할 수 있는 실효적인 기술이다. 또한, PDA/GO 코팅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자연에서 유래한 비독성 물질임을 고려할 때, 해당 기술은 기존의 유독성 난연 첨가제나 준불연성 건축자재를 사용하던 기존의 건축자재 난연화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실효적인 친환경 난연화 기술로서의 건축·건설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이러한 코팅 기술의 원리를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고난연성의 다양한 자연 유래 2차원 소재 및 천연자원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건축자재 난연화를 위한 발전 연구가 가까운 시일에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Research project (20230143-001, 20230348-001),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RF-2020R1C1C1003289) and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RF-2019R1A6A1A11055660). This paper complements the 2023 Convention paper.

References

1 
"Cho, J. H., Vasagar, V., Shanmuganathan, K., Jones, A. R., Nazarenko, S. and Ellison, C. J. (2015). “Bioinspired catecholic flame retardant nanocoating for flexible polyurethane foams.” Chemistry of Materials, ACS Publications, Vol. 27, No. 19, pp. 6784-6790, https://doi.org/10.1021/acs.chemmater.5b03013. "DOI
2 
"Gain, O., Espuche, E., Pollet, E., Alexandre, M. and Dubois, P. (2005). “Gas barrier properties of poly(ε-caprolactone)/clay nanocomposites: influence of the morphology and polymer/clay interactions.”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Wiley Periodicals, Vol. 43, No. 2, pp. 205-214, https://doi.org/10.1002/polb.20316."DOI
3 
"Kaveh, P., Mortezaei, M., Barikani, M. and Khanbabaei, G. (2014). “Low-temperature flexible polyurethane/graphene oxide nano- composites: effect of polyols and graphene oxide on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and gas permeability.” Polymer- Plastics Technology and Engineering, Taylor & Francis, Vol. 53, No. 3, pp. 278-289, https://doi.org/10.1080/03602559.2013.844241."DOI
4 
"Kim, H., Choi, W., Choi, S. E., Nomura, K., Kwark, J. W., Ellison, C. J. and Kim, D. W. (2024). “Tailored self-assembly of semi-transparent polymer/clay nanocomposites for gas-barrier applications assisted by aqueous liquid crystalline scaffold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Elsevier, Vol. 186, 108003, https://doi.org/10.1016/j.porgcoat.2023.108003. "DOI
5 
"Kim, H. and Macosko, C. W. (2009). “Processing-property relationships of polycarbonate/graphene composites.” Polymer, Elsevier, Vol. 50, No. 15, pp. 3797-3809, https://doi.org/10.1016/j.polymer.2009.05.038."DOI
6 
"Kim, J. E., Han, T. H., Lee, S. H., Kim, J. Y., Ahn, C. W., Yun, J. M. and Kim, S. O. (2011). “Graphene oxide liquid crystals.” Angewandte Chemie, GDCh, Vol. 50, No. 13, pp. 3043-3047, https://dx.doi.org/10.1002/anie.201004692. "DOI
7 
"Kim, D. W., Kim, H., Jin, M. L. and Ellison, C. J. (2019). “Impermeable gas barrier coating by facilitated diffusion of ethylenediamine through graphene oxide liquid crystals.” Carbon, Elsevier, Vol. 148, pp. 28-35, https://doi.org/10.1016/j.carbon.2019.03.039."DOI
8 
"Kim, H., Kim, D. W., Vasagar, V., Ha, H., Nazarenko, S. and Ellison, C. J. (2018). “Polydopamine-graphene oxide flame retardant nanocoatings applied via an aqueous liquid crystalline scaffold.”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Wiley-VCH, Vol. 28, No. 39, 1803172, https://doi.org/10.1002/adfm.201803172."DOI
9 
"Kumar, P., Maiti, U. N., Lee, K. E. and Kim, S. O. (2014). “Rheological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liquid crystal.” Carbon, Elsevier, Vol. 80, pp. 453-461, https://dx.doi.org/10.1016/j.carbon.2014.08.085."DOI
10 
"Levchik, S. V. and Weil, E. D. (2004). “Thermal decomposition, combustion and fire-retardancy of polyurethanes - a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Polymer International, Society of Chemical Industry, Vol. 53, No. 11, pp. 1585-1610, https://doi.org/10.1002/pi.1314."DOI
11 
"Liang, S., Neisius, N. M. and Gaan, S. (2013). “Recent developments i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ating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Elsevier, Vol. 76, No. 11, pp. 1642-1665, https://doi.org/10.1016/j.porgcoat.2013.07.014."DOI
12 
"Malucelli, G. (2016). “Surface-engineered fire protective coatings for fabrics through sol-gel and layer-by-layer methods: An overview.” Coatings, MDPI, Vol. 6, No. 3, 33, https://doi.org/10.3390/coatings6030033."DOI
13 
"Morgan, A. B. and Wilkie, C. A. (2006). Flame Retardant Polymer Nanocomposites,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URL
14 
"Picard, E., Espuche, E. and Fulchiron, R. (2011). “Effect of an organo-modified montmorillonite on PLA crystallization and gas barrier properties.” Applied Clay Science, Elsevier, Vol. 53, No. 1, pp. 58-65, https://doi.org/10.1016/j.clay.2011.04.023. "DOI
15 
"Singh, H. and Jain, A. K. (2008). “Ignition, combustion, toxicity, and fire retardancy of polyurethane foams: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Wiley Periodicals, Vol. 111, No. 2, pp. 1115-1143, https://doi.org/10.1002/app.29131."DOI
16 
"Stapleton, H. M., Klosterhaus, S., Keller, A., Ferguson, P. L., van Bergen, S., Cooper, E., Webster, T. F. and Blum, A. (2011). “Identification of flame retardants in polyurethane foam collected from baby product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45, No. 12, pp. 5323-5331, https://doi.org/10.1021/es2007462."DOI
17 
"Tzeng, P., Lugo, E. L., Mai, G. D., Wilhite, B. A. and Grunlan, J. C. (2015). “Super hydrogen and helium barrier with polyelectolyte nanobrick wall thin film.” Macromolecular Rapid Communi- cations, Wiley-VCH, Vol. 36, No. 1, pp. 96-101, https://doi.org/10.1002/marc.201400559."DOI
18 
"Villaluenga, J. P. G., Khayet, M., López-Manchado, M. A., Valentin, J. L., Seoane, B. and Mengual, J. I. (2007). “Gas transport properties of polypropylene/clay composite membranes.” European Polymer Journal, Elsevier, Vol. 43, No. 4, pp. 1132-1143, https://doi.org/10.1016/j.eurpolymj.2007.01.018."DOI
19 
"Wang, X., Kalali, E. N., Wan, J. T. and Wang, D. Y. (2017). “Carbon-family materials for flame retardant polymeric material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Elsevier, Vol. 69, pp. 22-46, https://doi.org/10.1016/j.progpolymsci.2017.02.001. "DOI
20 
"Yang, H., Yu, B., Song, P., Maluk, C. and Wang, H. (2019). “Surface-coating engineering for flame retardant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 critical review.”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Elsevier, Vol. 176, 107185, https://doi.org/10.1016/j.compositesb.2019.107185."DOI
21 
"Yucel, O., Yucel, O., Unsal, E., Harvey, J., Graham, M., Jones, D. H. and Cakmak, M. (2014). “Enhanced gas barrier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organoclay reinforced multi-layer poly(amide- imide) nanocomposite film.” Polymer, Elsevier, Vol. 55, No. 16, pp. 4091-4101, https://doi.org/10.1016/j.polymer.2014.06.058."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