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경북대학교 지능형건설자동화연구센터 연구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hojinho36@gmail.com)
  2.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hinys@knu.ac.kr)
  3. 종신회원 ․ 교신저자 ․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bskim65@knu.ac.kr)



입찰담합, 업역규제, 입찰경쟁, 종합·전문건설업체, 인식차이
Bid-rigging, Abolition of industry regulations, Bidding competition, General and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Perception gap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18년 12월에 건설산업기본법이 개정되어 종합·전문건설업 간의 칸막이식 업역규제(업무영역규제)가 폐지되었다(Park, 2019). 이로 인해 2022년부터는 종합·전문건설 업종 간의 업역 제한이 없어지고, 전문 건설업체가 종합공사 수주에 더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정책은 건설산업의 생산구조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주요한 영향으로는 첫째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다는 점(Park, 2019), 둘째로 업종 간의 경쟁과 하도급 수주 물량의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우려(Shin, 2016), 셋째로 경쟁이 강화되어 발주자에게 다양한 선택지가 생기지만 특정 업종에서 경험이 부족한 경우 입찰에서 밀릴 가능성(Kim, 2019; Kim et al., 2020)과 종합건설업체가 전문 영역으로 진출하면 입찰담합 우려가 커질 수 있는 문제(Kim, 2019; Kim and Ahn, 2020; Kim et al., 2020)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구조 개편을 효과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제와 감독이 필수적이며, 투명하고 공정한 시장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연구들은 건설업 입찰담합과 관련하여 입찰경쟁의 치열화로 인해 부당한 공동행위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Liu et al., 2022; Owusu et al., 2019; Rashidi et al., 2023; Shan et al., 2018; Soni and Smallwood, 2023; Wang et al., 2021; Wang et al., 2022). 특히 Gupta(2001)는 경기 침체 기간에 입찰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이로 인해 입찰담합이 증가한다고 언급하였다. 반면에 Wang et al.(2022)은 건설산업의 경기가 입찰담합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좋을수록 입찰담합도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업역규제 폐지로 인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하므로 입찰담합 우려도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건설업 업역규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폐지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효과를 놓고 논의하였으나, 입찰담합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 내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인 입찰담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문제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종합·전문 건설업체의 입찰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업역규제 폐지로 인한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이 과정은 Fig. 1에서 보이는 연구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입찰담합과 관련된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기반으로 설문 문항을 작성한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의 결과와 통찰력을 활용하여 설문 문항이 연구 목표와 일치하도록 구성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설문 데이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분석한다. 이 과정은 Table 3와 같이 Cronbach's α 값을 사용하여 신뢰성을 측정하고, 전문가 패널의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설정한 가설에 대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때 가설검증은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수행되며, 그 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의 응답 패턴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이 부분은 본 연구가 어떻게 건설산업 내 입찰담합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더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Fig. 1. Research Method
../../Resources/KSCE/Ksce.2024.44.1.0075/fig1.png

2. 선행연구 고찰 및 가설설정

2.1 건설업 업역규제 폐지

업역규제 폐지에 따른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다뤄지고 있다. Kim and Ahn(2020)는 업역규제 폐지가 건설산업 구조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 주장했다. 전문건설업체가 원도급자로서 직접 공사를 수행하면 경쟁이 촉진되고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Kim et al.(2020)은 업역규제 폐지로 인해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시장 진출보다 종합건설업체의 전문공사시장 진출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에, Kim(2019)은 업역 구조가 건설산업의 생산성 저하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Park(2019)는 업역 구조에서 벗어나 상호시장 진출이 허용되면 종합건설업계는 새로운 영역으로 진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2 건설업 입찰담합 원인과 개선방안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건설업의 입찰담합 원인과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iu et al.(2022), Owusu et al.(2019), Rashidi et al.(2023), Shan et al.(2018), Soni and Smallwood(2023), Wang et al.(2021), Wang et al.(2022) 그리고 Oke et al.(2017) 등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이들 연구는 각각 규칙위반의 원인과 예방, 담합 부패 현상, 담합이 품질과 비용에 미치는 영향, 담합위험 평가 방법론 등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었다. 또한, Gupta(2001)와 Dorée(2004)의 연구에서는 입찰가격과 카르텔 형성의 관련성 및 구조적 입찰담합을 주제로 조사하였으며, Ameyaw et al.(2017)은 가나 건설산업에서 부패 현상을 분석하였다. Reeves-Latour and Morselli(2017)는 캐나다 건설 부문에서 소셜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하여 입찰담합의 구조적 진화를 추적하는 연구도 수행하였다.

이런 선행연구들은 모두 각자 다른 방법론을 활용하여 건설산업 내 담합 현상을 분석하고 있지만, 공통으로 심각성 인식 및 해결책 제시라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직 실증적 증거와 피해 측정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지속해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주요 내용 및 결과는 Table 1에서 요약되어 있으며, 각 연구의 주제, 국가, 대상, 그리고 특징적인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입찰담합에 관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그에 따른 결론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조사 문항들은 이런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입찰담합의 원인을 기업의 경영환경, 건설환경, 입찰환경으로 분류하였으며, 개선방안은 건설조달시스템과 입찰시스템에 중점을 두어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각각의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조사 문항을 설정함으로써, 본 연구는 건설산업 내 입찰담합 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와 효과적인 개선책 제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1. Bid-rigging Related Studies

Author

Topic

Country

Subject

Features

Ameyaw et al. (2017)

Corruption

Ghana

Public projects

Prevalence of corruption practices

Dorée (2004)

Collusion

Netherlands

Construction industry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sustainability)

Gupta (2001)

Bidding price

United States

Highway construction

Increase in collusion during recession

Liu et al. (2022)

Violation of rules

China

Construction industry

Not considered a serious crime

Oke et al. (2017)

Collusion

South Africa

Construction industry

Collusion is taken for granted

Owusu et al. (2019)

Collusion

Global

Construction projects

Identification of 44 collusion causes from the investigation of 37 construction project papers

Rashidi et al. (2023)

Collusion

Global

Construction projects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collusion research (1975-2022)

Reeves-Latour and Morselli (2017)

Bid rigging

Canada

Paving, sewerage, and electrical projects

Tracking social networks

Shan et al. (2018)

Collusion risk

China

Subway constru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Soni and Smallwood (2023)

Corruption

South Africa

Construction industry

Prevalence of corruption practices

Wang et al. (2021)

Bid rigging

China

Construction industry

Analysis of the regulatory effect of economic development

Wang et al. (2022)

Bid rigging

China

Construction industry

Analysi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EEFs) from 254 collusion cases

2.3 가설설정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핵심 용어에 관한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찰담합은 여러 건설기업이 불법적으로 협력하여 공공 또는 민간 프로젝트의 입찰 결과를 조작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런 행위는 경쟁을 제한하고, 프로젝트 비용을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나 공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업역규제는 건설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행동이나 사업 범위 등을 규제하는 정부 정책이다. 업역규제가 강화될수록, 기업들은 그만큼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셋째, 입찰경쟁은 여러 건설기업이 한정된 자원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제안함으로써 경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건설산업에서 입찰경쟁은 일반적으로 건설사가 제시한 가격, 품질, 완성 예정일 등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넷째, 종합건설업체란 다양한 분야의 건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역량을 보유한 건설사를 의미한다. 반면 전문건설업체란 한 분야 혹은 몇몇 분야에 집중하여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건설사를 말한다. 다섯째, 인식 차이란 서로 다른 경험, 지식, 가치관 등을 바탕으로 입찰실무자들이 같은 사항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문항들은 이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관련해서 입찰담합 원인 및 개선방안에 대한 종합·전문 건설회사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종합·전문 건설업체의 입찰실무자 집단 간에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있어 새로운 시장 구조와 조정된 경쟁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실증분석

3.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있는 종합·전문건설업체 입찰실무자를 대상으로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2023년 4월 16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38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는 324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조사 문항은 경영환경, 건설환경, 입찰환경에 관한 20문항과 조달 및 입찰시스템에 대한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경영환경에 관한 문항에서는 참가자들이 속한 조직의 이익 극대화, 판매 극대화, ‘승자의 저주’ 위험 등을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둘째, 건설환경에 관한 문항에서는 자원 배제, 자원 활용, 단순 포트폴리오, 장기 프로젝트, 하도급 등 건설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소들을 조사한다. 셋째, 입찰환경에 관한 문항에서는 기술 효율성이 낮음, 에이전시 효율성이 낮음, 경제적 효율성이 낮음 등 입찰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다룬다. 넷째, 조달 및 입찰시스템에 관한 문항에서는 참가자들은 개방형 입찰시스템, 할당형 입찰시스템, 대안 입찰시스템 등 다양한 형태의 입찰시스템과 그것들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에 대해 평가한다. 이상으로 항목별로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견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응답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계에서 발생하는 입찰담합의 원인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Table 2는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총 324명의 응답자 중에서,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이 310명으로 전체의 약 95.7%를 차지하였고, 여성은 14명으로 약 4.3%였다. 응답자들은 그들이 속한 업종에 따라 분류되었는데, 일반 건설업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160명으로 전체의 약 49.4%를 차지하였으며, 전문 건설업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조금 더 많게 나타나서 총 164명, 약 50.6%로 조사되었다. 응답자들의 입찰 관련 경력 기간도 확인하였는데, 이는 입찰담합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경험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인 그룹은 ‘5년 미만’으로 이 그룹에 속한 응답자가 전체의 약 35.2%(114명)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한 배경과 경력 수준을 잘 보여주며, 이런 다양성은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324)

Category

Item

N

%

Gender 

Male

310

95.7%

Female

14

4.3%

Sector

General

160

49.4%

Specialized

164

50.6%

Period of work related to bidding 

Less than 5 years

114

35.2%

6~10 years

104

32.1%

11~15 years

53

16.4%

16~20 years

44

13.6%

More than 21 years

9

2.8%

3.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Table 3는 입찰담합 원인에 대한 전체 집단의 인식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경영환경에서는 이익 극대화(BUE_1), 매출 극대화(BUE_2), 승자의 저주 리스크(BUE_3) 등이 입찰담합의 원인으로 인식되었다. 건설환경에서는 하도급 공사의 높은 낙찰률(COE_6), 하도급에 의한 생산(COE_2), 관계기관 효율성 저하(COE_4)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또한, 입찰환경에서는 입찰업체의 증가(BIE_4), 대안입찰 참가업체 제한(BIE_5), 일괄입찰 참가업체 제한(BIE_3), 낙찰률 하락(BIE_6) 등이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요약하면, 이익 극대화, 하도급 공사의 높은 낙찰률, 대안입찰 참가업체 제한 등을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개선방안에 대해 전체 집단은 조달시스템에서 제한경쟁입찰제도의 확대(PRS_4), 공정성 기준의 재설정(PRS_2), 일괄입찰 참가업체의 확대(PRS_5), 대안입찰 참가업체의 확대(PRS_6) 등을 주요 개선방안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입찰시스템에서 건설보증기능의 실현(BIS_2), 불공정한 하도급 규제(BIS_1)도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인식하였다.

신뢰성 분석에는 Cronbach's α 값을 사용하였다. 이 값은 0.7 이상일 경우 측정 도구의 내적 일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항목들은 모두 이 기준을 충족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입찰담합의 원인을 측정하는 경영환경, 시공환경, 입찰환경 항목들은 각각 0.822, 0.763, 0.753의 α 값을 보여주었다. 개선방안을 측정하는 조달시스템과 입찰시스템 항목들 역시 각각 0.885와 0.728의 α 값을 나타내어 높은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조사 항목들이 각 주제를 안정적으로 측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종합·전문 건설업체 입찰실무자 그룹 간 입찰담합 원인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유효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패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였다. 세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패널은 설문 조사 결과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입찰담합 문제와 그 개선방안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와 방법론은 신뢰할 수 있으며 현재 건설산업 내부에서 직면하는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해 잘 반영되었다고 평가하였다.

Table 3. Survey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by all Group (5-point Likert Scale)

Latent

Variable

Items

M

SD

Reliability

Causes

Business Environment

BUE_1

Profit maximization

2.81

0.56

0.822

BUE_2

Sales maximization

2.68

0.65

BUE_3

Risk of the 'winner's curse'

2.61

0.67

BUE_4

Resource exclusion

2.50

0.66

BUE_5

Resource utilization

2.32

0.63

BUE_6

Simple portfolio

2.40

0.74

Construction Environment

COE_1

Long-term project

1.84

0.95

0.763

COE_2

Subcontracting

2.50

1.08

COE_3

Low technical efficiency

1.93

0.84

COE_4

Low agency efficiency

2.20

1.08

COE_5

Low economic efficiency

1.76

0.96

COE_6

High subcontracting ratio

2.66

1.07

Bidding Environment

BIE_1

Lowest price bidding

2.86

0.66

0.753

BIE_2

Open bidding system

2.65

0.77

BIE_3

Quota bidding system

3.05

0.64

BIE_4

Increase bidders

3.08

0.88

BIE_5

Alternative bidding system

3.16

0.85

BIE_6

Bidding rate decline

3.02

0.84

BIE_7

Order quantity decrease

2.99

0.80

BIE_8

Demand monopoly

2.15

1.31

Improvement

Procurement System

PRS_1

Transparency reset

3.15

1.10

0.885

PRS_2

Fairness reset

3.31

0.96

PRS_3

Agreement contract expansion

2.91

1.02

PRS_4

Limited competition bidding system expansion

3.35

0.92

PRS_5

Quota bidding system expansion

3.18

1.02

PRS_6

Alternative bidding system expansion

3.18

1.03

PRS_7

Expansion of low-cost screen system

2.35

1.30

Bidding System

BIS_1

Unfair subcontracting

3.06

0.89

0.728

BIS_2

Construction guarantee system

3.22

0.65

BIS_3

Effectiveness of sanctions

2.02

1.27

Note: M=Mean, SD=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Cronbach's Alpha > 0.7

3.3 가설검증 및 결과분석

3.3.1 가설검증

Table 4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가설검증 및 결과분석을 요약하여 보여준다. 각각의 잠재 변수에 대해 종합·전문 건설업체 사이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입찰담합 원인 중에서, ‘이익 극대화(BUE_1)’, ‘승자의 저주 리스크(BUE_3)’, 그리고 ‘낮은 경제성(COE_5)’에 대해서는 종합건설 집단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종합건설업체가 이들 요소를 입찰담합의 주요 원인으로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하도급 공사의 높은 낙찰률(COE_6)’, ‘대안입찰 참가업체 제한(BIE_4)’, 그리고 ‘낙찰률 하락(BIE_6)’에 대해서는 전문건설 집단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 결과는 전문건설업체가 특정 요소들, 특히 하도급 공사와 관련된 변수를 입찰담합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입찰담합 개선방안 중에서 조달시스템 관련 변수에서는 양쪽 그룹 사이에 인식 차이가 없었다. 이는 해당 영역에 대한 개념적 합의가 이미 잘 형성되어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입찰시스템 관련 변수 중 ‘불공정한 하도급 규제(BIS_1)’에 대해서는 전문건설 집단과 종합건설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양쪽 그룹 간에 입찰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시각화된 Fig. 2는 입찰실무자들 사이의 입찰담합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결과들은 건설산업 내 입찰담합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방법론 제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4. Hypothesis Testing and Result Analysis

Latent

Variable

Sector

N

M

SD

t

p

Hypothesis

Causes

Business Environment

BUE_1 

General

160

2.91

0.52

3.280*** 

0.001 

Adoption 

Specialized

164

2.71

0.57

BUE_2

General

160

2.73

0.65

1.175

0.241

Dismissal

Specialized

164

2.64

0.64

BUE_3

General

160

2.69

0.68

2.134*

0.034

Adoption

Specialized

164

2.53

0.64

BUE_4

General

160

2.56

0.71

1.43

0.154

Dismissal

Specialized

164

2.45

0.61

BUE_5

General

160

2.34

0.57

0.642

0.521

Dismissal

Specialized

164

2.30

0.68

BUE_6 

General

160

2.46

0.66

1.559

0.12

Dismissal 

Specialized

164

2.34

0.80

Construction Environment

COE_1

General

160

1.87

0.98

0.547

0.585

Dismissal

Specialized

164

1.81

0.92

COE_2

General

160

2.41

1.11

-1.387

0.166

Dismissal

Specialized

164

2.58

1.05

COE_3

General

160

1.99

0.87

1.31

0.191

Dismissal

Specialized

164

1.87

0.80

COE_4

General

160

2.27

1.09

1.123

0.262

Dismissal

Specialized

164

2.13

1.07

COE_5

General

160

1.89

1.02

2.460*

0.014

Adoption

Specialized

164

1.63

0.87

COE_6 

General

160

2.51

1.06

-2.523* 

0.012 

Adoption 

Specialized

164

2.81

1.07

Bidding Environment 

BIE_1

General

160

2.89

0.67

0.872

0.384

Dismissal

Specialized

164

2.82

0.65

BIE_2

General

160

2.72

0.75

1.703

0.089

Dismissal

Specialized

164

2.57

0.79

BIE_3

General

160

2.99

0.68

-1.462

0.145

Dismissal

Specialized

164

3.10

0.60

BIE_4

General

160

2.96

0.96

-2.401*

0.017

Adoption

Specialized

164

3.20

0.77

BIE_5

General

160

3.11

0.91

-0.999

0.319

Dismissal

Specialized

164

3.21

0.79

BIE_6

General

160

3.16

0.86

2.963**

0.003

Adoption

Specialized

164

2.88

0.79

BIE_7

General

160

2.96

0.78

-0.624

0.533

Dismissal

Specialized

164

3.02

0.83

BIE_8 

General

160

2.01

1.27

-1.893 

0.059 

Dismissal 

Specialized

164

2.28

1.34

Improvement 

Procurement System 

PRS_1

General

160

3.13

1.09

-0.272

0.786

Dismissal

Specialized

164

3.16

1.12

PRS_2

General

160

3.22

0.95

-1.677

0.095

Dismissal

Specialized

164

3.40

0.96

PRS_3

General

160

2.81

1.03

-1.661

0.098

Dismissal

Specialized

164

3.00

1.00

PRS_4

General

160

3.32

0.91

-0.520

0.603

Dismissal

Specialized

164

3.37

0.93

PRS_5

General

160

3.14

0.96

-0.560

0.576

Dismissal

Specialized

164

3.21

1.08

PRS_6

General

160

3.13

0.97

-0.938

0.349

Dismissal

Specialized

164

3.23

1.08

PRS_7 

General

160

2.23

1.26

-1.701

0.09

Dismissal

Specialized

164

2.47

1.33

Bidding System 

BIS_1

General

160

2.94

1.03

-2.369*

0.019

Adoption

Specialized

164

3.17

0.71

BIS_2

General

160

3.18

0.67

-1.040

0.299

Dismissal

Specialized

164

3.26

0.62

BIS_3 

General

160

2.06

1.30

0.485 

0.628 

Dismissal 

Specialized

164

1.99

1.24

Note: N=number of samples, M=Average, SD=Standard Deviation, t=t-value, p=p-value, *p<.05, **p<.01, ***p<.001
Fig. 2. Perception Gaps Bid-rigging
../../Resources/KSCE/Ksce.2024.44.1.0075/fig2.png

3.3.2 결과분석 및 토의

본 연구는 건설업체의 입장에서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경영환경, 건설환경, 입찰환경에서 발생하는 입찰담합의 원인과 조달시스템, 입찰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업체의 입찰담합 원인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업체는 경쟁력 유지와 성장을 위해 이익 극대화를 추구한다. 이는 경영 목표 중 하나로, 다양한 연구에서도 입찰담합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Ameyaw et al., 2017; Dorée, 2004; Gupta, 2001; Liu et al., 2022; Oke et al., 2017; Owusu et al., 2019; Rashidi et al., 2023; Reeves-Latour and Morselli, 2017; Shan et al., 2018; Soni and Smallwood, 2023; Wang et al., 2021; Wang et al., 2022). 둘째, 하도급 공사에서 낙찰률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 즉, 여러 하도급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낮은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공사의 낙찰률이 상승할 수 있다(Ameyaw et al., 2017; Oke et al., 2017; Owusu et al., 2019; Rashidi et al., 2023; Wang et al., 2021; Wang et al., 2022). 셋째, 대안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수가 제한된다. 대안입찰은 입찰 시에 참가하는 업체 수를 제한하는 정책이나 규정(Ameyaw et al., 2017; Dorée, 2004; Rashidi et al., 2023)이다.

건설업체는 조달시스템과 입찰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제한경쟁입찰제도를 확대한다. 이는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업체의 자격을 사전에 검증하는 제도로, 입찰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Ameyaw et al., 2017; Doree, 2004). 둘째, 공정성 기준을 재설정한다. 공정성 기준은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들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나 요건이다. 이는 입찰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Gupta, 2001; Oke et al., 2017). 셋째, 일괄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수를 확대한다. 일괄입찰은 여러 개의 공사를 하나의 입찰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입찰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Owusu et al., 2019; Soni and Smallwood, 2023). 넷째, 대안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수를 확대한다. 대안입찰은 입찰자가 자신의 제안을 자유롭게 제시하는 방식으로, 입찰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Reeves-Latour and Morselli, 2017; Wang et al., 2021; Wang et al., 2022). 다섯째, 건설보증기능을 실현한다. 건설보증기능은 건설업체가 공사를 완료할 수 있도록 보증하는 기능으로, 건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Liu et al., 2022; Rashidi et al., 2023). 여섯째, 불공정한 하도급을 규제한다. 불공정한 하도급은 하도급업체에 불이익이나 피해를 주는 행위로, 이는 하도급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Ameyaw et al., 2017; Gupta, 2001; Oke et al., 2017; Owusu et al., 2019; Soni and Smallwood, 2023).

종합·전문 건설업체 간에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종합건설업체는 이익 극대화, 승자의 저주 리스크, 낮은 경제성, 대안입찰 참가업체 제한, 낙찰률 하락 등에 대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는 종합건설업체가 다양한 사업 분야에 걸쳐 종합적인 경영(Wang et al., 2022; Kim et al., 2020)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경쟁과 리스크, 경제적 영향, 투명성과 경쟁력 등에 대해 더욱 주목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둘째, 전문건설업체는 하도급 공사의 높은 낙찰률, 불공정한 하도급 규제 등에 대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는 전문건설업체가 특정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하도급 공사에서의 경쟁과 문제점에 대해 더욱 관심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4. 결 론

본 연구는 건설업체의 입장에서 입찰담합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경영환경, 건설환경, 입찰환경에서 발생하는 입찰담합의 원인과 조달시스템, 입찰시스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독특하고 혁신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경영환경에서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향에 대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책임 및 윤리에 대한 교육과 인식 개선이 중요하며, 이러한 방향성은 기업 내부의 문화와 정책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하도급 공사에서 낙찰률이 높아지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가격 설정과 공정한 입찰 프로세스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하도급 업체들에 공정한 경쟁 환경을 제공하고, 건설업체들에는 적절한 수익을 보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대안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입찰시스템의 개편이 필요하다. 특히, 참여 업체의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고 담합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건설업체는 조달시스템과 입찰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제한경쟁입찰제도를 확대한다. 이렇게 하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업체의 자격 검증을 통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공정성 기준을 재설정하여 입찰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새로운 기준은 모든 건설업체가 평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셋째, 일괄입찰 방식의 도입으로 여러 개의 작업 항목들이 하나로 묶여서 경제적 효율성 및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넷째, 대안입찰 방식에서 참가하는 업체 수를 확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와 솔루션으로 프로젝트의 질적 성능을 향상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종합·전문 건설업체 간 인식 차이는 그들 각각의 사업 영역과 전략에 따른 것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인식 차이와 그 원인에 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입찰담합 문제의 개선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NRF-2021R1A2C1014267).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Regional University Outstanding Scientist Support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number (NRF-2019R1I1A3A01062229).

References

1 
"Ameyaw, E. E., Parn, E., Chan, A. P. C., De-Graft, O.-M., Edwards, D. J. and Darko, A. (2017). “Corrupt practic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survey of Ghanaian experience.”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Vol. 33, No. 6, 05017006, https://doi.org/10.1061/(ASCE)ME.1943-5479.0000555."DOI
2 
"Dorée, A. G. (2004). “Collusion in the Dutch construction industry: An industrial organization perspective.” Building Research and Information, Taylor & Francis, Vol. 32, No. 2, pp. 146-156, https://doi.org/10.1080/0961321032000172382."DOI
3 
"Gupta, S. (2001). “The effect of bid rigging on prices: A study of the highway construction industry.”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Springer, Vol. 19, No. 4, pp. 453-467."DOI
4 
"Kim, M. S. (2019). “Restructuring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future tasks of ordering and procurement system.” Planning and Policy, KRIHS, Vol. 448, pp. 21-25 (in Korean)."URL
5 
"Kim, Y. Y. and Ahn, J. W. (2020). “Need to respond to paradigm shifts towards private-led lifestyle SOC: Anticipating active market entry of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Innovative plan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Planning and Policy, KRIHS, Vol. 461, pp. 40-45 (in Korean)."URL
6 
"Kim, M. C., Kim, S. I., Yoon, H. J., Cho, J. C., Ahn, J. W., Lee, C. J., Moon, H., Kwon, H. J. and Kang, H. J. (2020). A study of the supply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 reorganization of the construction production process: focused on mutual market entry between general and specialty contractor, BR-19-01, KRIHS (in Korean)."URL
7 
"Liu, J., Wang, Y. and Wang, Z. (2022). “Multidimensional drivers: exploring contractor rule viol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Emerald Publishing, Vol. 30, No. 4, pp. 1496-1518, https://doi.org/10.1108/ECAM-10-2021-0928."DOI
8 
"Oke, A., Aigbavboa, C., Mangena, Z. and Thwala, W. (2017). “Causes of collusion among people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d Innovation, University of Johannesburg, Vol. 7, No. 2, pp. 2077-2087, https://hdl.handle.net/10520/EJC-c2425d8ef."URL
9 
"Owusu, E. K., Chan, A. P. C. and Shan, M. (2019). “Causal factors of corruption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 overview.”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Springer, Vol. 25, No. 1, pp. 1-31, https://doi.org/10.1007/s11948-017-0002-4."DOI
10 
"Park, Y. S. (2019). “Strategies for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industry in response to the restructuring of construction production system.” Planning and Policy, KRIHS, Vol. 448, pp. 11-15 (in Korean)."URL
11 
"Rashidi, A., Tamošaitienė, J., Ravanshadnia, M. and Sarvari, H. (2023). “A scientometric analysis of construction bidding research activities.” Buildings, MDPI, Vol. 13, No. 1, 220, https://doi.org/10.3390/buildings13010220."DOI
12 
"Reeves-Latour, M. and Morselli, C. (2017). “Bid-rigging networks and state-corporate crim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ocial Networks, Elsevier, Vol. 51, pp. 158-170, https://doi.org/10.1016/j.socnet.2016.10.003."DOI
13 
"Shan, M., Le, Y., Yiu, K. T. W., Chan, A. P. C., Hu, Y. and Zhou, Y. (2018). “Assessing collusion risks in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Economy, Vilnius Gediminas Technical University, Vol. 24, No. 5, pp. 2003-2025. https://doi.org/10.3846/20294913.2017.1303648."DOI
14 
"Shin, Y. C. (2016). “Necessity and improvement measures of direct construction.” Planning and Policy, KRIHS, Vol. 84, pp. 54-65 (in Korean)."URL
15 
"Soni, M. S. M. and Smallwood, J. J. (2023). “Perceptions of Corruption in the South African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Education and Research, ASC, https://doi.org/10.1080/15578771.2023.2179138."DOI
16 
"Wang, X., Arditi, D. and Ye, K. (2022). “Coupling effects of economic, industrial, and geographical factors on collusive bidding decision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48, No. 7, 04022042. https://doi.org/10.1061/(ASCE)CO.1943-7862.0002291."DOI
17 
"Wang, X., Ye, K., Chen, M. and Yao, Z. (2021).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clusion of exogenous factors into collusive bidding price decisions.”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Vol. 37, No. 6. https://doi.org/10.1061/(ASCE)ME.1943-5479.000098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