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국립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석사과정 (Kongju National University·tnqlsdl12@naver.com)
  2. 정회원·교신저자·국립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Kongju National University·sangmin@kongju.ac.kr)
  3. 정회원·㈜피앤아이휴먼코리아 (Cent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I HUMANKOREA·hemosu-jj@hanmail.net)
  4. ㈜피앤아이휴먼코리아 (Cent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I HUMANKOREA·nemocap1324@gmail.com)
  5. ㈜피앤아이휴먼코리아 (Cent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I HUMANKOREA·hjkim1063@gmail.com)



월류수, 펜톤산화, 입상활성탄, 재생, 초음
CSOs, Fenton oxidation, GAC, Regeneration, Ultrasonic

1. 서 론

미처리 하수인 CSOs의 처리방법은 토양과 식생을 이용한 자연형 처리장치와 여과와 화학적 응집을 이용한 장치형 처리장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컴팩트한 규모로 사용되는 장치형 처리장치는 부유물질에 대한 처리효율이 80% 이상으로 높으나 용존 유기물에 대한 처리 효율은 매우 낮다(Lee et al., 2010; Kim et al., 2019). 따라서 향후 국내 하천의 수질 향상을 위해서는 CSOs 처리를 위한 용존 유기물 처리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며 적용 가능한 기술 중 입상활성탄인 GAC의 흡착능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GAC는 유기물 흡착능이 우수하여 수처리에 자주 쓰이는 흡착제 중 하나이다(Kumar et al., 2003). 특히 고농도에 비해 저농도 유기물 조건에서 흡착에 적합하여 정수처리나 하수의 3차 처리에서 사용해왔다(Kim et al., 1999; Son et al., 2020; Kim et al., 2015).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적용되지 않았던 고농도 유기물 조건에서 GAC의 흡착 및 재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GAC는 흡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활성탄의 흡착 성능이 저하되며, 이 경우 사용한 활성탄의 교체가 필요하지만 GAC의 경우 고가의 흡착제이기 때문에 교체보다는 재생을 선택하며 이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열재생, 화학재생, 산화분해재생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Kim et al., 2002; Kim et al., 2000; Kang and Rhew, 1975; Joo, 2023). 그 중 열재생법은 외부에서 열을 가해 800℃ 이상의 고온 조건을 흡착 유기물을 탄화시켜 재생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활성탄 재생 공정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활성탄 내의 흡착질을 탈착시키기 위해 800~1000℃까지 고온이 필요하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활성탄의 기질이 손상되고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탄소 중립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다가온 이 시점에서 저탄소 및 에너지 절약형 GAC 재생 기술로 새로운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Fenton(1984)에 의해 처음 관찰된 Fenton 산화반응은 산화제인 H2O2와 촉매 역할을 하는 Fe2+ 사이의 전자 이동을 기반으로 한다(Fenton, 1984; Lim et al., 2005). Fenton 과정에서 생성되는 OH⦁(E=2.73 V)은 가장 강력한 산화제 중 하나로 Fenton 공정의 주요 산화종이다. Fenton 공정은 Fe2+과 H2O2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안전하며, 다른 AOP 기술(오존, UV 등)에 비해 필요한 에너지 요구가 적은 경제적인 방법이다(Cho et al., 2000; Kwon et al., 2019; Jun and Kim, 2000; Umar et al., 2010; Lee et al., 2022b). Feng et al.(2010) 등에 의하면 MBR을 이용한 생물학적 폐수처리공정의 유출수를 Fenton 처리로 고도처리하는 경우 39.3%의 TOC 제거율과 69.5%의 색도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Fenton 반응은 마지막 단계에서 화학적 응집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낮은 H2O2/Fe2+ 비율에서 응집반응이 우세하고, 높은 H2O2/Fe2+ 비율에서는 화학적 산화가 우세한 편이다 Guo et al.(2018) 등에 의하면 초기 H2O2가 1.0 M이고 초기 Fe2+ 농도가 0.36 M일 때 Benzene dye intermediates (BDI) 폐수를 Fenton 처리했을 때 COD 제거율이 85.3%, TOC 제거율이 75.2%을 얻었다.

초음파는 대략 20 kHz - 1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음파를 말하며 고주파 진동에너지의 형태이다.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음파의 진동에 의해 수많은 거품이 발생하고 이 거품이 진공청소기의 역할을 해서 고체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떼어내게 할 수 있다. 초음파 에너지가 용액에 전파될 때 초음파의 압력에 의해서 미세 기포가 생성되었다가 파괴되는데, 그로 인해 초음파에 의해 매질이 팽창과 압축을 반복하고 소밀파가 생기며 음압의 증감이 일어난다. 또한, 부압에 따라서 액체는 끌어당겨지고 액체 중의 기포 핵이나 액 중 공기 입자가 집합이나 성장하여 공동(cavity)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순간 압력의 충격파가 크게 발생한다 (Ranjit et al., 2008).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초음파 적용사례를 보면,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생물처리장치에서 톨루엔 가스 제거 특성과 과잉미생물 제거에 있어 초음파를 적용하여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의 역세척 가능성을 조사하였다(Lim and Okada, 2005; Gong and Seo, 2003). Guilanea and Hamdaoui(2015)의 연구에 의하면 p-클로로페놀로 포화된 GAC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파를 사용했고 초음파 처리 효과는 21 kHz 주파수에서 음향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재생효율이 향상되었고 흡착된 p-클로로페놀의 탈착 속도는 온도가 증가와 초음파 출력의 세기에 비례하였다. Parsa and Jafari(2017)의 연구에 의하면 Rodamin B의 흡착에 사용된 GAC의 재생 실험에서 초음파 단독처리시 30%의 재생효율을 얻었고 20 kHz의 초음파와 Fenton 처리를 융합한 경우 87.8%의 재생효율을 나타냈다. Lu and Wang(2010)은 저농도 하수(25 mg/L)를 GAC를 이용하여 흡착한 후 100 kHz 이하 범위에서 세가지 주파수와 출력세기에 대하여 GAC의 재생 효과 조사하여 60~80%의 재생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u and Wang(2010) 연구는 흡착반응이 GAC가 파과될 때까지 장기간 운전한 시료가 아닌 희석한 하수를 대상으로 1회 흡착한 GAC를 사용한 후 재생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와 차이가 있다. Lim and Okada(2005)의 연구는 20 kHz와 20 W 출력에서 1시간 동안 TCE 흡착 GAC를 처리한 결과 TCE의 탈착율이 64%까지 발생함을 보고하고 있으나 재생 GAC의 재생효율을 평가하지 않고 초음파 처리에 의한 탈착효율을 평가했다는 한계가 있다. 탈착율과 재생율은 관련성은 있지만 동일시 하기에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26]Serna-Galvis et al.(2015)의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저주파(24 kHz)가 고주파(520 kHz)에 비해 마이크로시스틴-LR 및 아나톡신-a와 같은 유기 오염 물질 제거에 더 효율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nton 산화 공정과 초음파 처리를 융합한 Sono-Fenton 공정을 적용하여 CSOs 처리에 사용된 Spent-GAC 재생효율을 40~750 kHz의 주파수 변화와 10~1,000 mmol/L의 H2O2 주입 농도 변화를 통해 파과 GAC의 최적 재생조건을 조사하였고 FE-SEM과 B.E.T 분석을 통해 GAC 미세구조 변화와 재생효율과이 관계를 검토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GAC

사용한 활성탄의 입경은 1~2 mm이고, 평균 세공직경이 20~25 Å이며 수분함량은 5% 이하를 가진 (주)에스씨티의 석탄계 GAC를 흡착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GAC의 비표면적은 1,004 m2/g을 나타내었다. 이를 S시 하수처리장 반응조 유입수 관로에 침지시켜 14일동안 연속적으로 흡착반응을 거쳐 포화시키고 건져 1회 세척하고 실온 건조를 통해 spent-GAC 재생 실험에 사용할 시료를 준비하였다.

2.2 GAC 흡착공정 연속 운전

GAC를 이용한 CSOs의 용존 유기물 흡착처리를 실험하기 위해 상향류식 GAC 흡착탑을 설계하여 제작하였다(Fig. 1). 본 GAC 흡착탑은 상향류 방식으로, 체류시간은 0.5 h으로 연속운전되었으며 활성탄의 유효부피는 1 L가 되도록 하였다. 유입수의 균질한 흐름을 위해 하단에 유리구슬을 이용한 정류시설을 두었고 그 위로 스테인리스 스틸 망과 입상활성탄을 순서대로 위치시켰다. 유기물 제거율이 30% 이하로 떨어지는 포인트를 운전 파과점으로 설정하고 sucrose를 이용한 합성 CSOs와 실 하수에 대해서 각각 CODcr 흡착특성을 관찰하여 GAC 파과 기간을 평가하였다. 운전 기간 중 GAC의 폐색을 방지하고 파과 기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하루 2번의 역세척 과정을 수행하였다. 역세척 조건은 GAC 층이 20% 정도 팽창할 수 있는 정도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공기유량을 0.5 L/min 조건에서 하루에 30분씩 2회 역세를 진행하였으며, 역세척의 흐름은 상향류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GAC 공극을 폐색하였던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이후 정상 운전시간은 GAC층이 부패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 유입 공기를 공급하며 운전하였다.

Fig. 1. GAC Adsorption Reactors for CSOs Treatment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1.png

2.3 Sono-Fenton 방법을 이용한 Spent-GAC 재생

Sono-Fenton 재생실험에 앞서 Fenton 실험을 진행하여 Fenton 산화의 최적 조건을 찾은 후 이를 바탕으로 초음파 융합 여부에 따른 Sono-Fenton 산화의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CSOs를 대상으로 한 파과 GAC의 Fenton 산화의 최적조건은 선행연구(Lee et al., 2022b)에 제시된 조건은 H2O2는 500 mmol/L이고 Fe2+은 5~10 mmol/L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Sono-Fenton 산화 실험에서도 Fe2+은 상기조건을 적용하고 H2O2는 10~1000 mmol 범위와 초음파의 주파수 크기를 변수로 사용하여 파과 GAC의 재생 실험을 수행하였다.

Fenton 산화 반응은 Fe2+이 H2O2에 의해 산화되면서 H2O2가 분해되면서 생성된 OH·에 의해 용존 유기물이 상온 상압 조건에서 산화되는 반응이다. Eq. (1)은 Fenton 산화 기작을 표현한 것으로 ․OH의 생성반응을 나타낸다. Fenton 반응에서 발생한 ․OH의 산화력은 2.05로서 유사 산화제인 오존, 과망간산 및 염소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므로 유기물 산화에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Initiation reaction
Fe2+ + H2O2 → Fe3+ + OH· + OH-

Parsa and Jafari(2017)에 의하면 Fenton 반응에서 Fe2+ 대신 Fe3+과 H2O2의 산화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데 Eq. (1)에서 생성된 Fe3+은 Eq. (2)와 Eq. (3)의 반응식과 같이 H2O2와 반응하여 다시 Fe2+로 환원되고 이 때 생성된 Fe-OOH2+이 HO2․을 생성시켜 Fenton 유사 반응이 천천히 진행된다. 문제는 Eq. (3)의 반응속도 Eq. (1)에 비해 느리다는 것이고 Sono-Fenton 처리에서 초음파는 Eq. (3)의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2)
Fe3+ + H2O2 → Fe-O2H2+ + H+
(3)
Fe-O2H2+ → Fe2+ + O2
(4)
Fe-O2H2+ + ⦖(ultrasonic)→ Fe2+ + O2

Sono-Fenton effect

앞서 설정한 Fe2+와 H2O2 농도비의 Fenton 용액들을 각각 준비한 후 초음파 주파수를 40, 80, 132, 168, 그리고 750 kHz로 가변시켜 H2O2 농도별, 초음파 주파수별 spent-GAC의 재생효율을 평가하였고, 재생 처리시간은 5, 30, 60, 120 min으로 각각 진행하였다. 재생처리가 끝난 GAC는 스테인리스 망으로 거른 후, Fenton 반응 용액을 제거한 후 재흡착 과정을 거쳐 재생효을을 비교하였다. 재흡착 과정은 S시 하수처리장에서 샘플링해 온 실 하수를 CODcr 기준 96 mg/L로 희석한 후 재생 처리된 GAC를 넣고 30 min 동안 교반조건에서 흡착을 진행하여 흡착효율을 비교하여 spent-GAC의 재생효율을 Eq. (5)에 의해 산정하였다.

Fig. 2의 상단은 ㈜고도기연에서 제작한 평판형 초음파 생성장비로서 40~170 KHz까지 가변주파수 방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초음파 세정장치(NXG-C 4F)로서 최대 출력 300 W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또 다른 고주파 초음파 생성장치는 동사의 제품으로 750 KHz 단독 주파수 발생 방식의 평판형 초음파 생성장치(MW-0609AP)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Fig. 2 하단은 초음파를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서 “Hot spot”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이다. Hot spot은 Sonochemistry 반응을 미소 반응인 “cavitation bubble”에서 라디칼과 열이 생성되는 이질적인 반응으로 간주한다. Fig. 2는 “Hot spot” 모델에서 화학 반응이 발생하는 세 가지 영역을 설명하고 있다. (1) 고온 조건 기체 상태인 핵, (2) 고온 및 라디칼 농도의 경사가 있는 기액계면 영역, (3) 주변 벌크 액체로 가정되며 자유 라디칼과 관련된 반응은 붕괴하는 버블 내부, 버블의 계면 및 주변 액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Adewuyi, 2001). 버블 붕괴 시 발생하는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버블 중심부에서 결합이 끊어지거나 물과 다른 가스가 해리되어 자유 라디칼이 형성될 수 있다.

Fig. 2. Sono-Fenton Treatment of the Spent-GAC and Sonochemistry in the Hot Spot Model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2.png

2.4 재생효율

GAC의 재생효율은 새 GAC를 사용하여 CSOs를 초기 흡착실험을 할 때 발생한 흡착량과 흡착 운전을 통해 파과되 GAC를 채취하여 Sono-Fenton 처리를 한 후 처리된 GAC를 용액과 분리 후 수돗물로 1회 씻고 공기중에 건조 후 다시 CSOs 흡착할 때 흡착량과의 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Eq. (5)에 의해 결정되었다.

(5)
재생효율 (%) = $\dfrac{파과후 재생처리 한 GAC의 재흡착량\times 100}{새 GAC의 흡착량}$

2.5 FE-SEM 분석

FE-SEM (MIRA LMH, TESCAN, Czech)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한 Virgin GAC, Spent-GAC 및 Sono-Fenton으로 재생한 GAC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고 EDS를 이용하여 GAC 표면 원소분포를 측정하였다. FE-SEM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으로 전자빔을 쏜 다음, 표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빔을 통해 얻은 이미지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물체(시료)의 표면을 보여주는 것으로(Lee et al., 2022a) Virgin-GAC와 흡착능이 저하된 Spent-GAC, 그리고 Sono-Fenton으로 재생하여 회복된 GAC의 미세구조와 공극 변화를 관찰하였다.

2.6 Brunauer-Emmett-Teller (BET) 분석

BET는 일정 온도에서 기체의 압력을 변화시키며 고체 표면에 흡착한 기체의 양을 측정하는 장비로써 물리흡착 및 화학흡착 현상을 이용해 시료의 소재와 관계없이 분말의 비표면적과 미세공극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주로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m2/g)을 측정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BET 방정식은 Eq. (6)과 같이 표현된다(Lee et al., 2022b).

(6)
$\dfrac{P/P_{0}}{V_{a}(1-P/P_{0})}=\dfrac{1}{V_{m}C}+\dfrac{C-1}{V_{m}C}P/P_{0}$

여기서 P/P0은 상대압력을 나타내며, Va는 P/P0에서 흡착된 가스의 무게, Vm은 단분자층 흡착량을 나타내고, C는 시료에 흡착되는 흡착 가스의 흡착열에 관계된 상수이다. 본 연구에서 GAC의 운전상태에 따른 비표면적, 기공부피, 최대 기공크기, 및 평균기공 크기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분석이 진행되었다.

3. 실험 결과

3.1 실 하수를 이용한 연속 흡착공정 운전

Fig. 3은 합성폐수(●)와 실 하수(△)를 이용하여 평균 CSOs 농도에 해당하는 CODcr 96 mg/L로 제조하여 상향식 GAC 흡착탑을 이용하여 운전기간에 따른 처리수의 잔류 CODcr 농도와 파과에 이르는 운전기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AC의 흡착효율이 30% 이하로 떨어지는 지점을 운전파과점으로 설정했을 때 평균 CSOs 농도로 유입될 때 운전파과 기간은 합성 CSOs의 경우 28일 그리고 실 하수를 적용시 28~31의 운전후에 GAC 흡착탑이 파과점에 도달하였다. 합성 CSOs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균 CSOs 농도일 때 파과기간 28일은 시간으로 환산하면 672시간으로, 이는 국내 연간평균 강우 일수인 52일 동안 하루종일 강우가 지속된다는 조건에서 년간 총 강우 기간의 54%에 해당되고 강우일 중 하루 평균 강우시간을 12시간으로 가정하면 GAC 교체주기를 1년까지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 하수를 사용하여 GAC 흡착탑을 운전한 경우는 합성 CSOs보다 변동성이 큰 특성을 나타냈으며 초기 CODcr 제거율은 70~80% 수준에서 출발하여 흡착운전이 30일 경에 도달할 때 10~40%의 범위에서 CODcr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실 하수를 적용한 흡착효율의 변동성이 큰 이유는 실 하수의 경우 부패를 막기 위해 저장 통에 포기장치를 연속적으로 작동시켰는데 이러한 포기 조건이 흡착탑의 유입수의 CODcr 농도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동성을 크게 만들었고 유입 CODcr 농도가 감소해서 유입하는 경우는 반응속도의 감소로 인해 유기물 제거율로 계산하면 낮은 제거율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여 유입하수의 변동성을 해결하기 위해 유입수 저장조이 포기장치를 정지시키고 2일에 한번씩 교체하던 유입수를 매일 교체하여 저장중에 발생하는 유기물 농도의 변동성을 해결하고 운전을 지속하였다. 실 하수를 이용하여 GAC 흡착탑을 운전한 경우 운전 30일 경에 COD 제거율일 30% 이하로 감소하였고 이를 Sono-Fenton 처리를 통해 재생처리 한 후 40~70%의 CODcr 제거율 범위에서 1,000시간의 운전기간 동안 흡착탑 운전이 유지되었다. 이는 실제 CSOs를 대상으로 GAC 흡착탑을 적용할 때 1회의 Sono-Fenton 처리를 통해 52일 강우 일수를 기준으로 1년간 새 활성탄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하수와 같이 높은 유기물의 농도의 용액을 처리할 때 GAC 적용의 걸림돌이 되었던 경제성 문제 해결의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GAC 흡착탑의 적용은 CSOs 처리를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총 처리공정의 구성은 다단횡류식 여과장치을 전단에 설치하여 80% 이상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다단횡류식 여과장치의 처리수를 후단 처리공정으로서 GAC 흡착탑을 통해 용존 유기물의 제거를 통해 총 유기물(BOD5 및 CODcr) 제거율을 제고하고 방류 하천의 수질을 개선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GAC 흡착탑을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경우 주의해야 할 것은 GAC 흡착탑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질을 적절한 역세척 강도와 시간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여과수두가 크게 증가하여 흡착탑의 수위가 증가하여 반응기를 월류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물-공기 병합 역세를 1일 30분간 2회 적용함으로써 GAC 흡착탑을 정상운전을 유지하였다.

Fig. 3. Estimation of Breakthrough Periods according to CODcr Removal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3.png

3.2 Sono-Fenton 재생 방법의 최적화

Sono-Fenton 융합처리 공정의 spent-GAC 재생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단독처리를 통한 spent-GAC의 재생효율을 평가와 초음파와 Fenton 처리를 융합한 Sono-Fenton 처리를 재생 효율 평가를 진행하였다. Sono-Fenton 처리 및 적용된 주파수의 변화가 파과 GAC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Sono-Fenton 처리의 최적화를 위한 영향인자들은 Fenton 산화의 경우 Fe2+과 H2O2의 몰수와 반응용액의 pH 그리고 초음파 처리의 경우 주파수와 출력 및 온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CSOs를 대상으로 한 파과 GAC의 Fenton 산화의 최적조건은 선행연구인 Lee et al.(2022b) 논문에 보고된 바와 같이 H2O2는 500 mmol/L이고 Fe2+은 5~10 mmol/L이었으며 Sono-Fenton 산화 실험에서도 Fe2+은 상기조건을 적용하고 H2O2는 10~1000 mmol 범위와 40-750 kHz 초음파의 주파수 크기를 변수로 파과 GAC의 재생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4는 40 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단독으로 1시간 동안 적용하여 spent-GAC를 재생처리 한 결과이다. Sono-Fenton 처리시간 15 min, 30 min, 45 min에서 각각 GAC 시료를 채취하여 재생효율을 비교하였다. 초음파 단독처리 시 초음파 주파수에 따른 재생효율은 상이하였는데 40 kHz가 가장 높은 재생효율인 30%를 나타냈고 다음이 164 kHz가 17%를 나타냈고 나머지 초음파 주파수들은 의미있는 재생효율을 나타내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세척효율이 높고 고주파수는 세척력이 낮으나 지향성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고주파수 조사는 미세공극의 폐색을 처리하는데 유리하고 저주파수는 macro-pore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주파수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GAC 재생효과와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음파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원리적으로는 파동의 강도도 증가하는데 초음파는 매질을 통과하는 압력파로 구성되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고 초당 사이클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초당 사이클 수가 증가하면 단위 시간당 에너지 농도가 높아져 초음파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음파 주파수와 강도 사이의 관계가 선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파동의 감쇠 및 매체의 특성 변화로 인해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 분해를 위한 초음파 적용에 대한 최적 주파수는 실험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결정하기 위해 실험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Fig. 4의 초음파 주파수의 재생효율의 비상관성도 같은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Fig. 5에서 준비된 Spent-GAC를 여러 조건의 Sono-Fenton 방식으로 재생 처리하였고, 이를 재흡착시켜 재생 전후의 흡착율을 비교 확인하였다. Sono-Fenton 처리 결과는 Feonton 단독 처리와 달리 Fe2+는 5 mmol/L보다 10 mmol/L에서 더 높은 재생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Sono-Fenton 처리실험에서 Fe2+의 농도는 10 mmol/L에서 H2O2 농도를 10, 40, 100, 1000 mmol/L 조건에서 GAC 재생효율을 나타내었다. (a)는 초음파 주파수 40 kHz에서의 Sono-Fenton 처리 후 재생효율을 나타낸 것이고, (b)는 80 kHz, (c)는 132 kHz, (d)는 168 kHz, (e)는 750 kHz에서의 결과이다. Fig. 5에서 사용한 기호(●)은 H2O2 농도 10 mmol/L이고, (○)는 40 mmol/L, (▼)는 100 mmol/L, (△)는 1000 mmol/L을 나타낸다. 초음파 주파수가 80, 132, 168 kHz에서의 재생율은 최대 40% 이내로 나타냈고, 40 kHz에서는 최대 재생효율로서 68.5%, 750 kHz에서는 67.8%로서 유사한 재생효율을 보였다. 초음파 단독 처리 데이터와 비교하였을 때 초음파와 Fenton의 융합공정인 Sono-Fenton은 초음파와 Fenton 산화의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Sono-Fenton 처리는 Fenton 혹은 초음파조사 단독 처리보다 향상된 GAC 재생효율을 나타냈고 특히 40 kHz와 750 kHz 두 주파수에서 차별성 있는 높은 처리 효율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주파수가 높을수록 기포가 작아지고 파장이 짧아져 작은 틈새를 통과하고 작은 입자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가 높을수록 기포가 더 빨리 붕괴되어 기포가 세척 대상 표면에 닿는 시간이 제한되어 세척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초음파 주파수가 낮으면 기포가 더 커지고 파장이 길어져 큰 입자를 제거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spent-GAC와 같이 구조가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GAC와 흡착대상물질과의 물리화학적 결합력이 강한 경우 이를 분리하는 목적으로는 충분한 처리시간이 보장되는 경우 높은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초음파 단독처리에 의한 재생효율을 나타낸 Fig. 4에 의하면 40 kHz 주파수 조건에서 파과 GAC를 처리할 때 최대 30%의 재생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다른 주파수 조건에서는 그 이하의 재생효율을 나타냈다. Parsa and Jafari(2017)의 연구에 의하면 Rodamin B의 흡착에 사용된 GAC의 재생 실험에서 초음파 단독처리시 30%의 재생효율을 얻었고 이는 본 연구결과와 동일한 값의 재생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Fenton 산화없이 초음파 단독처리는 Fenton 산화에 비해 주도적 처리효율을 기대할 수 없었다. 초음파와 Fenton 산화를 융합한 Sono-Fenton 처리에서 파과 GAC의 재생효율은 40 kHz에서 68%로서 최대값을 나타냈다. Lee et al.(2022b) 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Fenton 단독처리의 경우 파과 GAC의 재생효율은 최적 조건에서 60%를 나타냈고 Sono-Fenton 처리 시 재생효율이 두 재생처리 효율을 단순히 합한 것과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두 산화처리가 상승작용을 일으켜 개선된 재생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Effet of Regene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ime and Ultrasonic Frequency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4.png
Fig. 5. Regeneration Efficiency at Sono-Fenton: (a) Frequency of 40 kHz, (b) Frequency of 80 kHz, (c) Frequency of 132 kHz, (d) Frequency of 168 kHz, (e) Frequency of 750 kHz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5.png

3.3 FE-SEM 분석

Fig. 6(a)와 (b)는 흡착 반응전의 새 GAC이고 (c)와 (d)는 CSOs 흡착으로 파과된 GAC를 의미하고 (e)와 (f)는 sono-fenton 처리 후 GAC의 표면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 (a), (c), 그리고 (e)는 확대비율이 500배로 새 GAC와 나머지 GAC의 차이는 확인 가능하지만 파과 GAC와 재생 GAC의 표면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고 이는 10,000배 확대 이미지인 (d)와 (e)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파과 GAC를 나타내는 (d)는 표면에 슬라임 질감의 물질과 침전물 형태의 판형 입자가 공극을 메우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sono-fenton 처리로 재생된 GAC 표면을 나타내는 (e)는 슬라임 질감의 물질이 사라지고 충분하지는 않지만 일부 공극이 회복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Fig. 6. Observation of Virgin-GAC and Spent-GAC by FE-SEM: (a) Virgin-GAC(500x), (b) Virgin-GAC(10000x), (c) Spent-GAC(500x), (d) Spent-GAC(10000x), (e) Sono-Fenton Regeneration(500x), (f) Sono-Fenton Regeneration(10000x)
../../Resources/KSCE/Ksce.2023.43.4.0449/fig6.png

3.4 BET 분석

활성탄의 공극 부피는 공극의 크기 및 흡착력의 지표가 되는 비표면적과 상관성이 크기 때문에 GAC는 총괄 공극율 단독으로는 공극의 크기분포나 평균 공극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미세공극분포를 함께 알고 해석하는 것이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의 흡착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Table 1은 Virgin-GAC와 Spent-GAC 그리고 Sono-Fenton 처리 GAC의 BET 분석결과이다. 우선 SSA는 Virgin-GAC가 1004 m2/g, Spent-GAC가 740 m2/g, 그리고 Sono-Fenton 처리 GAC는 856 m2/g으로 파과된 GAC의 비표면적 감소가 Sono-Fenton 처리에 의해 회복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Total pore volume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고 Total pore volume으로 판단할 때 Spent-GAC에서 63%로 감소되었다가 Sono-Fenton 처리 후 74%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able 1. Specific Surface Area, Pore Sizes and Pore Volume Distribution of the Three Kinds of GAC Samples

Samples

Specific Surface area

(SSA, m2/g)

Total Pore Volume

(cm3/g)

Vm

(cm3(STP)/g)

Peak Pore size

(nm)

Average Pore size

(nm)

Virgin-GAC

1,004.00

0.58

230.66

2.41

2.31

Spent-GAC

740.52

0.37

170.14

2.41

1.98

Sono-Fenton treated GAC

855.97

0.43

196.66

2.41

1.99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CSOs내 용존 유기물질 처리를 목적으로 사용된 파과 GAC의 효율적인 재생을 위해 Fenton과 초음파를 융합한 Sono-Fenton 재생법을 산화제의 농도 및 초음파의 주파수별 재생효율을 Batch test를 통해 최적 재생 조건을 도출한 결과 Fe2+ 10 mmol/L, H2O2 농도 1,000 mmol/L, 120 min, 초음파 주파수 40 kHz 재생처리 조건에서 68.5%의 가장 높은 재생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750 kHz에서 유사한 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는 GAC 재생과 선형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실 하수를 희석하여 제조한 CSOs를 사용한 GAC 흡착탑 연속운전의 경우 초기 CODcr 제거율은 70~80% 범위였으며, 700시간 내외인 30일 정도 운영 후 10~40% 범위에 도달했습니다. 이후 Sono- Fenton 처리를 적용한 결과, 1,000시간 흡착운전까지 40~70%의 CODcr 제거 효율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Sono-Fenton 처리가 CSOs 혹은 실 하수와 같은 고농도의 용존 유기물 물질처리를 위한 GAC 흡착탑의 적용에 있어 제한요소인 교체비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유망녹색기업 기술혁신개발 사업으로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2020003160012).

References

1 
"Adewuyi, Y. G. (2001). “Sono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ACS, Vol. 40, No. 22, pp. 4681-4715, https://doi.org/10.1021/ie010096l."DOI
2 
"Cho, I.-H., Kho, Y.-L., Lee, S.-J., Lee, H.-K. and Zoh, K.-D. (2000). “A study on the dye-wastewater treatment by fenton and photo-fenton oxidation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KSEH, Vol. 26, No. 4, pp. 29-37 (in Korean)."URL
3 
"Feng, F., Xu, Z., Li, X., You, W. and Zhen, Y. (2010). “Advanced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towards reuse by the combined Fenton oxidation and membrane bioreactor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Elsevier, Vol. 22, No. 11, pp. 1657- 1665, https://doi.org/10.1016/S1001-0742(09)60303-X."DOI
4 
"Fenton, H. J. H. (1894). “Oxidation of tartaric acid in presence of iron.”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Vol. 65, pp. 899-910. https://doi.org/10.1039/CT8946500899."DOI
5 
"Gong, N.-S. and Seo, J.-Y. (2003). “Treatment of toluene vapor in a 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and removal of excess biomass using ultrasoni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Vol. 25, No. 12, pp. 1522-1530 (in Korean)."URL
6 
"Guilanea, S. and Hamdaoui, O. (2015). “Regeneration of exhausted granular activated carbon by low frequency ultrasound in batch reactor.”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Taylor & Francis, Vol. 57, No. 34, pp. 15826-15834, https://doi.org/10.1080/19443994.2015.1077350."DOI
7 
"Guo, Y., Xue, Q., Zhang, H., Wang, N., Chang, S., Wang, H. and Chen, P. H. (2018). “Treatment of real benzene dye intermediates wastewater by the Fenton method: characteristics and multi-response optimization.” RSC Advances, RCS, Vol. 8, pp. 80-90, https://doi.org/10.1039/C7RA09404C."DOI
8 
"Joo, S. B. (2023). A study on the adsorption treatment of CSOs using GAC and spent-GAC regeneration technology, MSc,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URL
9 
"Jun, S.-J. and Kim, M.-J. (2000). “A study on the efficient applicability of fenton oxidation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non-biodegradable organ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SWW, Vol. 14, No. 1, pp. 76-83."URL
10 
"Kang, S.-H. and Rhew, D.-W. (1975). “Thermal regeneration of activated carbon for waste water treatment.”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KICHE, Vol. 13, No. 5, pp. 253-260 (in Korean)."URL
11 
"Kim, S.-Y., Jeong, I.-J., Park, S.-J. and Park, J.-T. (200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rmal reactivation for spent granular activated carbon used on the full-scale BAC proces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22, No. 3-B, pp. 383-391 (in Korean)."URL
12 
"Kim, S.-D., Kim, H.-S. and Lee, J.-H. (2000). “A study on thermal regeneration of spent activated carbon loaded with phenol : 2. medium temperature pyrolysis reacti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Vol. 22, No. 8, pp. 1485-1494 (in Korean)."URL
13 
"Kim, H.-S., Lee, J.-P. and Han, H.-S. (1999). “Treatment of the wastewater of high surfactant concentration by GAC GAC Adsorption.”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KOCSA, Vol. 16, No. 1, pp. 59-65, https://doi.org/10.12925/jkocs.1999.16.1.8 (in Korean)."DOI
14 
"Kim, H.-S., Lim, B.-R., Lee, S.-K., Shin, H.-S. and Choi, S.-P. (2019). “Removal of suspended solids and phosphorous in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by filtration apparatus with expanded waste-glass filter medi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KSWM, Vol. 36, No. 1, pp. 97-105, https://doi.org/10.9786/kswm.2019.36.1.97 (in Korean)."DOI
15 
"Kim, S.-G., Son, H.-J., Jung, J.-M., Ryu, D.-C. and Yoo, P.-J. (2015). “Evaluation of drink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regeneration temperatures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ESS, Vol. 24, No. 9, pp. 1163-1170, https://doi.org/10.5322/JESI.2015.24.9.1163 (in Korean)."DOI
16 
"Kumar, A., Kumar, S. and Kumar, S. (2003). “Adsorption of resorcinol and catechol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Equilibrium and kinetics.” Carbon, Elsevier, Vol. 41, No. 15, pp. 3015-3025, https://doi.org/10.1016/S0008-6223(03)00431-7."DOI
17 
"Kwon, H.-J., Lee, S.-J., Yu, Y.-B. and Jun, H.-B. (2019). “Biological treatment of RO waste water by fenton oxidation pre-trea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KSWST, Vol. 27, No. 1, pp. 39-48, https://doi.org/10.17640/KSWST.2019.27.1.39 (in Korean)."DOI
18 
"Lee, S.-M., Joo, S.-B., Jo, Y.-S., Oh, Y.-J., Kim, H.-J. and Shim, I.-T. (2022a). “A study of the regeneration of spent gac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42, No. 4, pp. 481-491, https://doi.org/10.12652/Ksce.2022.42.4.0481 (in Korean)."DOI
19 
"Lee, S.-M., Joo, S.-B. and Lim, K.-H. (2022b). “Regener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using fenton's oxidation reaction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KSUE, Vol. 22, No. 1, pp. 1-11 (in Korean)."URL
20 
"Lee, B.-J., Na, J.-H., Kim, J.-S., Joo, J.-Y., Bae, Y.-S., Jung, I.-H. and Park, C.-H. (2010). “A study on treatment of CSOs by vortex separator and continuous fiber-filter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SWW, Vol. 24, No. 4, pp. 443-451 (in Korean)."URL
21 
"Lim, H., Namkung, K. C. and Yoon, J. (2005).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enton chemistry.”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KSIEC, Vol. 16, No. 1, pp. 9-14 (in Korean)."URL
22 
"Lim, J. L. and Okada, M. (2005). “Regener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using ultrasound.” Ultrasonics Sonochemistry, Elsevier, Vol. 12, pp. 277-282, https://doi.org/10.1016/j.ultsonch.2004.02.003."DOI
23 
"Lu, J. and Wang, S. (2010). “Ultrasonic regener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used in water treatment.” Proceedings of 2010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informat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Chengdu, China, https://doi.org/10.1109/ICBBE. 2010.5516459."DOI
24 
"Parsa, J. B. and Jafari, F. (2017). “Sono-fenton regener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saturated with rhodamine B: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hemical Engineering Communications, Taylor & Francis, Vol. 204, No. 9, pp. 1070-1081, https://doi.org/10.1080/00986445.2017.1338180."DOI
25 
"Ranjit, P. J. D., Palanivelu, K. and Lee, C.-S. (2008). “Degradation of 2,4-dichlorophenol in aqueous solution by sono-fenton method.”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KICHE, Vol. 25, No. 1, pp. 112-117."URL
26 
"Serna-Galvis, E. A., Silva-Agredo, J., Giraldo-Aguirre, A. L. and Torres-Palma, R. A. (2015). “Sonochemical degradation of the pharmaceutical fluoxetine: Effect of parameters, organic and inorganic additives and combination with a biological system.”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Elsevier, Vols. 524-525, pp. 354-36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5.04.053."DOI
27 
"Son, H.-J., Yoom, H.-S., Seo, C.-D., Kim, S.-G. and Kim, Y.-S. (2020). “Evalu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removal characteristics in GAC adsorp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LC-OCD-O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Vol. 42, No. 5, pp. 239-250, https://doi.org/10.4491/KSEE.2020.42.5.239 (in Korean)."DOI
28 
"Umar, M., Aziz, H. A. and Yusoff, M. S. (2010). “Trends in the use of fenton, electro-fenton and photo-fenton for th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Waste Management, Elsevier, Vol. 30, No. 11, pp. 2113-2121, https://doi.org/10.1016/j.wasman.2010.07.00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