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석사, 공학석사 (Sejong University·yrvv@sju.ac.kr)
  2.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Sejong University·may04jw@sju.ac.kr)
  3. 종신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공학박사 (KICT·ktkim1@kict.re.kr)
  4. 종신회원․교신서자․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정교수, 공학박사 (Corresponding Author·Sejong University·hkwon@sejong.ac.kr)



수문 계절성, 강우-유출 모형 보정, 전역 최적화, 민감도 분석, 군집화
Rainfall-Runoff model calibration, SCEM-UA, Regional sensitivity analysis, Clustering

1. 서 론

유출량 산정은 장기간의 수자원 계획 및 수공구조물의 설계 등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과거부터 유역의 특성, 특정 유역에 대한 적절한 해석 등을 연구 목적에 맞게 수문학적 흐름을 반영하여 모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GR4J, SIMHYD, TANK, HYMOD, SACRAMENTO 등 다수의 유출 모형이 개발되어왔다(Burnash et al., 1973; Chiew et al., 2002; Duan et al., 1992; Moore, 1985; Perrin et al., 2003; Sugawara, 1979). 그러나, 현재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모형을 특정 유역의 유출을 유사하게 모의가능한지 확인하여 모형을 선정하고 이를 보정 과정을 통해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방식을 주로 활용하고 잇다. 이때, 모형의 보정 과정은 모의결과가 실제 현상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매개변수를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과정으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정이다(Moriasi et al., 2015).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문학적 모형의 매개변수들은 주로 유역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어(Wagener, 2007) 계절성의 고려없이 보정기간 동안 매개변수는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있다. 이는 최적 매개변수 탐색 시 강우-유출관계의 계절성을 반영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기상청에서 발간한 「장마백서 2022」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장마 기간을 포함한 여름에 내리는 강수가 연 강수량의 50% 정도를 차지하는 등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아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된다. 이러한 강수의 계절성은 장기적인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동반하여 경년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다(Feng et al., 2013). 더욱이, 우리나라의 연강수량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름철 외에는 강수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어(Jung et al., 2013; Kim and Choi, 2013), 강수량 및 유출량의 계절성이 더욱 심화되는 실정이다(Kim and Kim, 2011).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계절성을 고려한 강우-유출 모형의 보정 기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계절성을 분리하여 수문학적 모델을 수행하는 연구는 월별 및 반년 등 단순한 분리기준을 적용하여 계절성을 고려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Kim and Lee(2014)은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계절을 여름(6~8월)과 겨울(12~2월)로 구분하여 단일 목적함수, 다중 목적함수 및 계절적 보정을 활용하는 최적화 기법을 비교하여 강우-유출 모형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다중목적함수를 활용한 최적화 방법이 비교적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겨울의 저유량 성능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일부 매개변수에서 과적합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Kim and Han(2017)은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1) 직렬(1개의 수문곡선으로 기간마다 다른 매개변수 집합으로 보정), 2) 병렬(n개의 수문곡선을 활용하여 기간별로 보정된 모의결과를 결합)의 두 가지 보정 기법을 제안 및 비교하였다. 월별/격월별/연도별 등의 기간에 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각 보정 기법에 따라 우수한 기간 설정을 제시하였으며, 병렬 방법이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계절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계절적 특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자료 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리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이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자료의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Xu and Vandewiele(1994)Zeng et al.(2016)은 계절 분리 방법에 관한 연구를 제시한 바 있다. Levesque et al.(2008)은 적설로 인한 계절에 따른 수문특성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여름과 겨울로 나누어 SWAT 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계절마다 고유의 최적 매개변수를 선정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여름(건기) 자료를 기반으로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모형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겨울(우기) 자료만 보정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능 향상이 제한적임을 밝혔다. Zhang et al.(2018)은 브라질의 강수량 대비 유출량을 기준으로 우기와 건기를 분리하였고, 여러 유역을 대상으로 다중목적함수를 활용한 최적화 방법(NSGA-II)을 통해 계절별 최적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강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수문 변동성을 설명하였다.

국내·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계절성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수문학적 근거에 따른 계절 분리 구간 설정이 선결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정 과정에 앞서 시간에 따른 모형의 각 매개변수의 변동성을 분석하여 강우-유출 관계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출된 매개변수 민감도와 기상변수를 결합하여 시계열 군집화를 수행하여 계절을 분리함으로써 수문학적 유사성에 따른 분리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간을 분리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시계열 자료에 적합한 최적화 기법 선정 및 적용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다중목적함수 최적화 기법 활용 시 과적합의 위험이 존재하며, 특히 군집화 되었을 때 그 위험성이 더 증가하는 점을(Bosman, 2010) 고려하여 단일목적함수 최적화 기법을 채택하였다. 최적화 기법 중 비교적 계산 속도가 빠르며, 불확실성 구간을 산정할 수 있는 SCEM-UA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동 창 기법을 활용하여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하고자 하였다. 계절성을 고려한 보정 결과를 다양한 통계적 기법과 유황곡선을 활용하여 기존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2. 연구방법

2.1 GR4J 강우-유출 모형

강우-유출 해석은 강수로부터 발생되는 유출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수자원 관리 및 계획 측면에서 중요한 과정이며, 이를 위하여 수학적인 형태로 구축한 강우-유출 모형이 다양하게 개발 및 활용되어 왔다. 강우-유출 모형은 수문학적 과정(물리적, 개념적 등)과 공간(집중형, 분포형 등) 및 시간 단위(단일사상, 연속형 등)에 따라 분류된다.

강우-유출 해석은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출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으로, 유역의 전반적인 특성을 고려한 유출량 산정, 특정 하천의 홍수량 산정 등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의 측면에 활용되는 중요한 과정이다려한 유출량 산정, 특정 하천의 홍수량 산정 등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의 측면에 활용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강우-유출 모형은 해석방식, 수문학적 과정의 단순화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있으며, 각 모형들은 시공간적 크기, 필요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활용목적에 따라 모형을 선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유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속형 형태의 모형을 고려하고 복잡한 물리적인 과정을 단순화한 연속형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 중 하나인 GR4J (Ge'nie Rural a 4 parame tres Journalier)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매개변수로도 상당히 우수한 유량 모의를 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Duan et al., 2006; Yu et al., 2021). 알려진 GR4J(Ge'nie Rural a 4 parame tres Journalier)모형을 최적 강우-유출 모형으로 선정하였다(Duan et al., 2006; Yu et al., 2021).

GR4J 모형은 4개의 매개변수($X_{1}$~$X_{4}$)를 이용해 일 단위 유출량을 산정하는 개념적 모형으로 두 개의 저류지(reservoir) 개념을 도입하여 수문학적 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일 유출량을 모의한다. GR4J에 대한 상세한 모형설명은 Im et al.(2012)에 기술되어 있으며, GR4J 모형의 개념적 강우-유출 산정 과정 및 매개변수에 대한 모식도는 Fig. 1과 같다. GR4J 모형에서의 모든 물의 단위(입출력자료, 중간변수)는 체적을 유역면적으로 나누어 mm 단위로 표현한다. GR4J 모형의에서 활용하는 매개변수에 대한 상세한 정의 및 범위는 Table 1에 작성하였으며, 매개변수의 범위는 Perrin et al.(2003)이 제시한 일반적인 GR4J 모형의 매개변수 범위로 설정하였다.

Fig. 1. Framework of the GR4J Model(Perrin et al., 2003)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1.png
Table 1. Description and Ranges of Parameters in the GR4J Model

Parameter

Description

Lower bound

Upper bound

X1

Capacity of the production soil store(mm)

-1

2000

X2

Water exchange coefficient(mm)

-10

15

X3

Capacity of the routing store(mm)

1

300

X4

Time parameter for unit hydrograph(day)

1

15

2.2 지역적 민감도 분석 기반의 계절 분리

수문 모형의 모의과정에서 입력 자료, 매개변수, 모형의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잠재적인 불확실성이 필연적으로 존재하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은 출력 불확실성에 대한 각 입력변수의 기여도를 정량화 하는 방법으로(Saltelli et al., 2004),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민감도 분석은 크게 국부적 민감도 분석(local sensitivity analysis)과 전역적 민감도 분석(global sensitivity analysis)으로 나뉜다. 국부적 민감도 분석은 계산이 효율적이며,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특정 영역에서의 영향만을 분석하므로 영역에 따라 민감도가 달라져 모형이 비선형인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Mara et al., 2008). 반면, 전역적 민감도 분석은 입력 변수의 변동 범위 전체 공간을 탐색하여 입력 변수의 중요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이다. 이는 모형 구조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지 않으며, Monte-Carlo 기반 불확실성 전파 방법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Boyack, 1990; Glaeser, 2008; Nutt 2004; Wallis, 2007).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성을 지니는 GR4J 강우-유출 모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역적 민감도 분석을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적은 표본으로도 민감도 지수를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지역적 민감도 분석(Hornberger and Spear, 1981; Young, 1978)을 활용하여, 이동창 기법(moving window method)을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입력자료로부터 계절에 따른 매개변수 민감도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하고자 하였다.

2.2.1 지역적 민감도 분석(RSA)

지역적 민감도 분석은 전역적 민감도 분석 중 몬테카를로 모의를 기반으로 하는 MCF(Monte Carlo Filtering) 기법 중 하나로, 수문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Gupta et al., 2006; Lence and Takyi, 1992; Pappenberger et al., 2005; Sieber and Uhlenbrook, 2005). RSA의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다수의 매개변수 세트를 생성해 모의 후, 통계적 평가 기준을 통해 우수한 모의 결과(behavioural)와 우수하지 않은 모의 결과(non- behavioural)로 나누어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해 두 집단의 누적 분포함수의 차이를 그래프 등으로 도식화하거나 K-S검정 통계량으로 산정하여 민감도 지수로써 활용한다. K-S검정 통계량을 활용한 RSA 산정식은 Eq. (1)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d_{b,nb}= sup\left | F_{x_{i} | y_{b}}(x_{i} | y\in Y_{b})-F_{x_{i} | y_{nb}}(x_{i} | y\in Y_{nb})\right | $

여기서, $"sup"$은 최대수직거리(maximum vertical distance)를 의미하며, $F_{x_{i} | y_{b}}$및 $F_{x_{i} | y_{nb}}$는 입력 표본 $x_{i}$가 각각 behavioural과 non-behavioural에 해당할 때의 경험적 누적 분포함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창 기법을 활용하여 창을 1일 단위로 이동하며, 연속 31일의 입력자료를 통해 1개의 민감도 지수를 추출하여 총 16,421개의 민감도 지수를 산정하였다. 지역적 민감도 분석의 흐름도는 Fig. 2에 도시하였다. 이동창 기법을 활용하여 산출된 민감도 지수와 더불어 수문기상인자(강수량, 증발산량, 기온)자료 또한 이동 창 기법을 활용하여 평균하였으며, 산출식은 다음의 Eq. (2)과 같다.

(2)
$\overline{y}=(x_{t-w}+...+x_{t+w})/(2w+1)$

$w$는 창의 크기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w=15$(일)로 설정하여 해당 날짜의 앞, 뒤로 15일씩 총 31일 간의 자료를 대상으로 계산을 수행하였다. $x_{t}$는 $t$시점에서의 민감도 지수 및 수문기상인자 관측값을 의미한다. 위의 4가지 자료를 입력자료로 군집화를 수행하여 계절 분리의 기준을 선정하였다.

Fig. 2. Flowchart of Regional Sensitivity Analysis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2.png

2.2.2 자기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Self-Organizing Map(SOM)은 Kohonen(1982)에 의해 고안된 인공신경망의 일종으로, 자료의 차원축소 혹은 고차원 자료의 위상 특징(topology)을 보존하며 시각화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지닌 군집화 기법이다(Murtagh and Hernández-Pajares, 1995). SOM은 복잡하거나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진 자료의 군집화 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자원 및 수문학 분야에 다수 적용되어 왔다(Hall and Minns, 1999; Lin and Chen, 2006; Liong et al., 2000).

SOM 알고리즘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OM은 입력층(input layer)과 경쟁층(competitive layer) 두 가지의 층으로 구성되며, 입력층에는 n개의 입력 벡터 $x_{n}$이 존재하고 경쟁층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군집의 수만큼 노드가 존재한다. 각각의 경쟁층 노드 $i$에는 가중치 벡터 $m_{i}$가 존재하며, $m_{i}=\left[\mu_{i,\: 1},\: \mu_{i,\: 2},\: ...,\:\mu_{i,\: n}\right]^{T}$이다. 여기서, $T$는 총 학습을 위한 반복 횟수를 의미한다. 두 층은 가중치 $\mu_{"i,\: n"}$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경쟁 학습을 통해 승자 독식 방식에 따라 경쟁층 노드에서 입력 벡터와 가중치 벡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노드(best matching unit, BMU)를 선정한다.

SOM 알고리즘은은 입력층(input layer)과 경쟁층(competitive layer)로 구성되어 있어, 입력층에는 n개의 입력벡터($x_{n}$)로, 경쟁층은 연구자가 설정한 군집 수 만큼의 노드가 설정되어있다. 경쟁층 노드($i$)에서는 가중치 벡터($m_{i}$)가 입력층과 연결하여 경쟁 학습을 통해 입력 벡터와 가중치 벡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노드(best matching unit, BMU)를 선정한다.

(3)
$c=\underset{i}{\operatorname{argmin}}\left\{d\left(x, m_i\right)\right\}$

여기서, $d(x,\: m_{i})$는 입력 벡터와 가중치 벡터의 유클리드 거리로 산정한다. BMU가 선정되면 이웃 함수(neighborhood function) $h_{ci}$를 활용하여 주변의 일부 이웃 노드의 가중치 벡터($m_{i}$)가 갱신되며, 네트워크가 수렴할 때까지 반복된다.

군집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루엣 계수를 활용하였다. 실루엣 계수는 군집 내의 유사도와 인접한 군집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군집화를 평가하는 지표로, $i$번째 지점의 실루엣 계수 $s(i)$는 Eq. (4)와 같이 산정가능하다.

(4)
$s(i)=\dfrac{b(i)-a(i)}{\max(a(i),\: b(i))}$

여기서 $a(i)$는 $i$번째의 점과 같은 군집 내의 점들과의 평균 거리, $b(i)$는 $i$번째 점이 속하지 않은 군집 중 가장 가까운 군집과의 평균 거리를 의미한다. 실루엣 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범위에 속하며, 1에 가까울수록 우수한 결과이며, 그래프로 도시하였을 때, 그래프 모양이 완만할수록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2.3 SCEM-UA를 활용한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최적화

강우-유출 모형에서 검·보정 기법을 활용하여 적절한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최적화 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은 전형적으로 비선형인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목적 함수 표면에 수많은 국부 최적해를 가질 수 있으므로(Duan et al., 1992) 국부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성에 적합한 전역최적화 기법 중 비교적 계산 속도가 빠르며, 불확실성 구간을 산정할 수 있는 SCEM-UA(Shuffled Complex Evolution Metropolis algorithm-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선정하였으며, 목적함수로는 모형의 성능평가 기준 중 수문모형에 다수 활용되는 NSE와 KGE를 선정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2.3.1 SCEM-UA 기법

SCEM-UA 기법은 SCE-UA 기법에 병렬 시퀀스와 MCMC (Metropolis Monte Carlo Markov Chain)를 도입함으로써 최적 매개변수의 추정 과정이 개선된 모형이다(Duan et al., 1992; Feyen et al., 2007; Vrugt et al., 2003). 현재 수자원 분야에서 SCEM-UA 알고리즘은 주로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되고 있으며, Bayesian 기법을 통해 내재된 불확실성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CEM-UA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간략히 나타낼 수 있다.

1. 사전분포에서 s개의 무작위 표본$\left\{\left.\theta_{1},\: \theta_{2},\: ...,\:\theta_{s}\right\}\right.$을 추출하여 각각의 사후분포$\left\{p(\theta^{(1)}|y),\: p(\theta^{(2)}|y),\: ...,\: p(\theta^{(s)}|y)\right\}$를 산정한다. 사전분포는 정보가 없다고 가정하여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uniform 분포를 따르며, 이에 따라 사후분포는 다음과 같은 Eq. (5)으로 산정할 수 있다(Box and Tiao, 1973). 여기서 e는 독립오차벡터, 본 연구에서는 목적함수를 의미한다.

(5)
$p(\theta | y)\propto[\sum_{i=1}^{N}e(\theta)_{i}^{2}]^{-\dfrac{1}{2}N}$

2. s개의 사후확률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배열 D[1:s, 1:n+1]에 저장한다. 여기서 n은 매개변수 개수를 의미한다.

3. $S^{k}$는 D[k, 1:n+1], (k=1, 2, ..., q)과 같이 병렬시퀀스(parallel sequence)의 시작점 $S^{1},\: S^{2},\: ...,\: S^{q}$을 초기화한다.

4. 배열 D의 점들을 각각 m개의 표본을 가진 q개의 복합체$C^{1},\: C^{2},\: ...,\: C^{q}$로 나눈다.

5. 각각의 병렬시퀀스는 SEM(Sequence Evolution Metropolis) 알고리즘에 따라 갱신된다. (SEM 알고리즘은 복합체 내 m개의 표본에서 얻을 수 있는 적응 제안(adaptive proposal) 분포를 통해 각각의 병렬시퀀스에서 새로운 후보점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6. 갱신된 모든 복합체 C를 사후확률이 감소하는 순서로 정리하여 D에 저장한 뒤, 4단계와 같이 q개의 복합체로 다시 섞는다(reshuffle).

7. Gelman and Rubin(GR) 수렴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만족하지 않으면 5단계로 돌아가 만족할 때까지 반복한다.

2.3.2 SCEM-UA 목적함수 선정

매개변수 자동보정은 사용된 목적함수에 따라 모의 특성이 좌우되므로, 목적에 따라 적절한 목적함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Gupta et al., 1999; Yapo et al., 1996). 다양한 모형 성능평가 기준 중 NSE(Nash-Sutcliffe Efficiency)는 값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문모형의 검보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목적함수이다(Ewen, 2011; Gupta et al., 2009; Moriasi et al., 2007; Pushpalatha et al., 2012). 대표적으로, ASCE(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993)Legates and McCabe(1999)는 NSE를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Eq. (6)는 NSE의 수식을 나타내며, $Obs_{i,\: s}$는 계절 $s$에 해당하는 연속된 시계열 $i$번째 관측유량을 의미하며, $sim_{i,\: s}$은 동일한 시점의 모의유량을 의미한다.

(6)
$\max\left\{\sum_{s=1}^{S}NSE_{s}\right\}=\max\left\{\sum_{s=1}^{S}\left[1-\dfrac{\sum_{i=1}^{N}(Obs_{i,\: s}-sim_{i,\: s})^{2}}{\sum_{i=1}^{N}(Obs_{i,\: s}-\overline{Obs_{s}})^{2}}\right]\right\}$

KGE(Kling and Gupta Efficiency)는 관측 수문곡선의 변동성이 과소평가되는 경향을 지닌 NSE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Gupta et al., 2009). Gupta et al.(2009)는 기존의 NSE를 세 가지의 성분(상관계수, 변동성, 편이)으로 분해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요소를 균형있게 고려하도록 수정하였다. NSE는 전체 자료기간 중 일부 홍수 기간의 모의 결과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데 비하여, KGE는 비강우 기간에 대한 모의 성능 비교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수문학적 모형 보정 연구에서 다수 활용되고 있다(Becker et al., 2019; Hirpa et al., 2018; Kling et al., 2012; Quintero et al., 2020). KGE 또한 1에 가까울수록 모형의 성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Eq. (7)은 KGE를 목적함수로 선정하여 최대화하는 수식을 나타낸다.

(7)
$\max\left\{\sum_{s=1}^{S}K\ge_{s}\right\}= \\ \max\left\{\sum_{s=1}^{S}\left[1-\sqrt{(r_{s}-1)^{2}+(\alpha_{s}-1)^{2}+(\beta_{s}-1)^{2}}\right]\right\}$

여기서, $r$은 모의값과 관측값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alpha =\sigma_{s}/\sigma_{o}$는 변동성(variability)으로 모의값의 표준편차 $\sigma_{s}$와 관측값의 표준편차 $\sigma_{o}$의 비율로 나타내며, $\beta =\mu_{s}/\mu_{o}$는 편이(bias)로 모의값의 평균 $\mu_{s}$와 관측값의 평균 $\mu_{o}$의 비율로 나타낸다.

2.3.3 매개변수 최적화 성능 평가

유출 모의 결과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우-유출 모형에서 주로 활용하는 보정 및 검증기간에 대한 모형을 평가를 수행하였다. 매개변수 최적화는 기반을 분리하여 자료의 연속성을 위하여 명확한 계절성을 가진 자료의 구간을 나누어 통계적 특성을 산정하고 최종적으로 전체 구간에 대한 평균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Table 3은 Moriasi et al.(2015)가 제시한 유출 모형의 정량적 기준으로, 모형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유황곡선을 활용하여 목적함수에 따른 모의 유량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kaikei, 1973) 및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Schwarz, 1978)를 활용하였으며, 우도함수의 추정이 어려운 강우-유출 모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오차(error)의 우도함수는 평균이 0이며, 분산이 $\sigma_{\epsilon}^{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오차분포의 정규분포 가정은 Eqs. (8)~(9)와 같으며, AIC 및 BIC의 우도함수는 Eq. (10)를 통해 산정하였다.

(8)
$Q_{o}-Q_{s}=\epsilon$
(9)
$\epsilon\sim N(0,\: \sigma_{\epsilon}^{2})$
(10)
$\hat{L}(\epsilon)=\prod_{i=1}^{n}Nomal(\epsilon_{{i}}={Q}_{{o}_{{i}}}-{Q}_{{s}_{{i}}}{ | }0,\: \sigma_{\epsilon}^{2})$

AIC는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우도와 매개변수 개수를 함께 고려하여 정보의 총량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BIC 통계량은 우도와 매개변수의 개수와 더불어 표본의 크기(n)까지 고려하여 추정된다. AIC 및 BIC 모두 산정 결과가 작을수록 적합한 모형임을 의미한다. AIC와 BIC 산정식은 Eqs. (11)~(12)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매개변수 개수이며, $\hat{L}$은 우도함수를 의미한다.

(11)
$AIC = 2k-2\ln(\hat{L})$
(12)
$BIC=k\ln(n)-2\ln(\hat{L})$
Table 3. Specification of ASOS Weather Stations and Hydrological Station over Soyanggang Dam Watershed

Data

Station No.

Station name

Latitude

(°)

Longitude

(°)

Elevation

(El.m)

Data period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90

Sokcho

38.251

128.567

17.53

1966~2019

100

Daegwallyeong

37.677

128.718

771.43

1966~2019

101

Chuncheon

37.903

127.736

75.82

1966~2019

211

Inje

38.060

128.167

201.78

1966~2019

212

Hongcheon

38.684

127.880

140.20

1966~2019

Inflow

1012110

Soyanggang Dam

-

-

203.00

1974~2019

3. 대상 유역 및 자료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인 소양강댐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다목적 댐이다. 소양강 유역의 기후는 하계 및 동계 몬순기후이며, 유역의 강수량은 태풍의 영향으로 계절적 분포가 다양하나, 연간 강수량의 약 70%가 6월~9월에 발생하고 있다. 소양강댐은 수도권 지역에 연 12억m3의 생·공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5억m3의 홍수를 저류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하는 등 이·치수 측면에서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1974년부터 관측을 개시하여 자료 연한이 비교적 길게 확보되어 신뢰성 있는 자료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소양강댐 수위관측소를 유역출구로 지닌 소양강댐 유역의 유역면적은 2,703 km2이며, 연평균 유입량은 21억 5400만m2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의 유입량 자료를 자연유출량으로 가정하여 강우-유출 모형에 활용하였으며, 입력 자료는 소양강댐 유역의 일 단위 면적 평균강수량, 면적 평균기온 및 잠재증발산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강수 및 기온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종관기상관측소(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지점 중 소양강댐 유역에 해당하며, 자료 보유년수가 30년 이상인 5개 지점(속초, 대관령, 춘천, 인제, 홍천)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일단위 강수량 및 온도에 티센법(thiessen method) 기반의 면적비를 적용하여 산정한 값을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유역별 잠재증발산량 자료는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에서 활용하는 FAO56 Penman-Monteith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소양강댐 및 소양강댐 유역에 해당되는 5개의 종관기상 관측소의 제원과 자료 기간을 Table 2에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4년~2019년까지의 일자료 16,801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최적화 과정에서 1년을 매개변수의 초기 조건 설정을 위한 spin-up 자료로 활용하여 성능 평가 시 제외하였다.

Fig. 3. Location and Observation Stations of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3.png
Table 2.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Recommended Statistical Performance Measures for Watershed Models(Moriasi et al., 2015)

Statistical

Method

Performance evaluation

Very good

Good

Satisfy

Unsatisfy

NSE

NSE >0.80

0.70<NSE≤0.80

0.50<NSE≤0.70

NSE≤0.50

R²>0.85

0.75<R²≤0.85

0.60<R²≤0.75

R²≤0.60

4. 연구결과

4.1 지역적 민감도 지수를 활용한 계절 분리 구간 설정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성능평가 시 제거되는 1년의 spin-up 기간 및 이동 창 기법을 활용하여 제거되는 마지막 15일을 제외한 16,421 구간의 민감도 지수와 수문기상인자들을 군집화하였다. SOM 군집화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전에 군집의 개수를 설정하여야 하며, 적절한 군집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7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실루엣 계수를 산정한 후 그래프를 도시한 결과, 2개의 군집의 평균 실루엣 계수가 높으며, 그래프의 모양이 완만하였다. 따라서 군집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군집 수에 따른 실루엣 계수 그래프는 다음의 Fig. 4에 나타내었다. 2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를 수행한 후, 군집별 수문기상변수, 민감도 지수의 Boxplot 및 월별 분포 히스토그램을 Fig. 5와 같이 도시하여 분포를 확인하였다.

Cluster-1의 히스토그램을 살펴보았을 때, 11~4월에 해당하는 기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장마 기간을 포함하지 않으며, 강수량 및 강수량의 변동성 또한 크지 않은 기간을 의미한다. 기상변수의 boxplot을 살펴보았을 때도 변동성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민감도 지수의 분포를 살펴보면, 기상변수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변동성이 적은 편이며, 다른 매개변수에 비해 $X_{3}$의 민감도가 평균 0.7 이상으로 확연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luster-2는 주로 5~10월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강수량이 많으며, 강수량의 변동성 또한 큰 장마 시기를 포함한다. 민감도 지수의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전체적인 매개변수의 변동성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모형에서 저류지의 용량을 의미하는 $X_{1}$, $X_{3}$의 민감도 지수 변동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GR4J 모형 모의 시, 계절별로 매개변수의 민감도가 상이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luster-1이 대부분 분포해있는 11~4월을 Cold 기간으로 지정하고, Cluster-2의 5~10월을 Warm 기간으로 지정하여 두 개의 구간으로 분리하여 각 계절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Fig. 4. Results of Silhouette Score by Number of Clusters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4.png
Fig. 5. Comparison of Boxplots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Sensitivity Index, and Histogram of Month for Each Cluster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5.png

4.2 계절 분리를 반영한 강우-유출 모형 보정 결과

4.2.1 목적함수 NSE를 활용한 보정 결과

먼저 전체 기간에 대하여 목적함수 NSE를 적용하여 고유의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기존의 보정방법의 성능을 살펴보면, 보정 기간을 기준으로 Warm 기간의 NSE 결과는 0.85로 ‘매우 좋음’에 해당하는 반면, Cold 기간의 NSE는 0.26으로 ‘불만족’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절별 구간을 나눈 보정 결과를 살펴보면, Warm 기간의 보정 및 검증 기간에서는 통계 값의 큰 차이가 없어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반면 Cold 기간에 대하여 최적화한 결과에서는 보정 및 검증 기간에서 모든 통계적 기법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검증 기간의 NSE가 정량적인 기준으로‘만족’에 해당하며, R²또한 보정 및 검증 기간의 정량적인 기준이 ‘불만족’에서 ‘만족’으로 향상되어 모의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6Fig. 7에서는 각각 Warm 기간과 Cold 기간을 분리해 일 단위 수문곡선을 이어붙여 기존의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여 도시하였다. Table 4 및 Table 5에는 계절별 통계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4. Comparison of Statistical Results of Overall and Warm Period Partial Optimization Using NSE as Object Function

WARM

Calibration

Validation

Overall

Partial

Ratio(%)

Overall

Partial

Ratio(%)

NSE

0.8528

0.8536

0.10%

0.8750

0.8877

1.46%

KGE

0.8091

0.7906

-2.28%

0.8248

0.8309

0.74%

0.9198

0.9200

0.03%

0.9191

0.9178

-0.14%

NRMSE

0.3205

0.3234

0.91%

0.3071

0.2969

-3.30%

Table 5. Comparison of Statistical Results of Overall and Cold Period Partial Optimization Using NSE as Object Function

COLD

Calibration

Validation

Overall

Partial

Ratio(%)

Overall

Partial

Ratio(%)

NSE

0.2578

0.4396

70.54%

0.3506

0.5175

47.59%

KGE

0.2287

0.4826

111.00%

0.3799

0.6065

59.63%

0.5179

0.6035

16.51%

0.5397

0.6503

20.49%

NRMSE

0.6616

0.5653

-14.54%

0.5920

0.4985

-15.80%

Fig. 6. Comparison of Observed and Simulated Flows Using the Overall (upper) and Warm Period Partial (lower) Data with NSE as an Objective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6.png
Fig. 7. Comparison of Observed and Simulated Flows Using the Overall (upper) and Cold Period Partial (lower) Data with NSE as an Objective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7.png

4.2.2 목적함수 KGE를 활용한 보정 결과

기존의 보정방법인 전체 기간에 대하여 목적함수 KGE를 적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를 살펴보면, Warm 기간의 NSE 결과는 0.83으로 ‘매우 좋음’에 해당하는 반면, Cold 기간의 NSE는 0.05로 ‘불만족’에 해당하여 계절별 적합 정도의 차이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앞서 확인하였듯이 목적함수로 NSE를 활용하여 전체기간에 대하여 보정한 결과에 비하여 Cold 기간의 NSE가 0.1을 하회하여 성능이 유독 더 좋지않음을 확인하였다. 구간을 나눈 보정 결과, Warm 기간의 보정 및 검증 기간의 모든 지표 결과가 향상되어 목적함수를 NSE로 활용하여 계절 보정을 적용한 결과보다 성능이 약간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old 기간에서는 모든 지표 결과가 크게 증가하여 성능이 상당 부분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검증 기간의 R²을 제외하면 여전히 정량적 지표 기준의 ‘불만족’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Fig. 8Fig. 9에서는 각각 Warm 기간과 Cold 기간을 분리한 뒤 해당 기간의 일 단위 수문곡선을 연결하여 기존의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여 도시하였으며, Table 6 및 Table 7에는 계절별 통계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8. Comparison of Observed and Simulated Flows Using the Overall (upper) and Warm Period Partial (lower) Data with KGE as an Objective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8.png
Fig. 9. Comparison of Observed and Simulated Flows Using the Overall (upper) and Cold Period Partial (lower) Data with KGE as an Objective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9.png
Table 6. Comparison of Statistical Results of Overall and Warm Period Partial Optimization Using KGE as Object Function

WARM

Calibration

Validation

Overall

Partial

Ratio(%)

Overall

Partial

Ratio(%)

NSE

0.8281

0.8377

1.16%

0.8493

0.8568

0.88%

KGE

0.8082

0.8291

2.58%

0.7926

0.8463

6.78%

0.9125

0.9152

0.29%

0.9165

0.9180

0.17%

NRMSE

0.3464

0.3367

-2.82%

0.3356

0.3261

-2.85%

Table 7. Comparison of Statistical Results of Overall and Cold Period Partial Optimization Using KGE as Object Function

COLD

Calibration

Validation

Overall

Partial

Ratio(%)

Overall

Partial

Ratio(%)

NSE

0.0507

0.4072

702.92%

0.1066

0.4667

337.87%

KGE

-0.0098

0.5081

-

0.0888

0.5658

536.89%

0.3208

0.6063

88.96%

0.2566

0.6598

157.16%

NRMSE

0.7617

0.5721

-24.88%

0.7234

0.5272

-27.13%

4.3 유량 구간별 강우-유출 모형 보정 결과 비교 및 평가

본 연구에서는 특정 기간을 대상으로 최적화한 결과의 유량 구간별 성능을 확인하고자 관측 유량과 각각의 목적함수를 적용한 모의 유량을 Fig. 11과 같이 유황곡선으로 비교하여 도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계절에 따라 입력자료를 분리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유량구간에 따라 모형의 재현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전 기간 유황을 분석하였으며, 초과확률(%)로 나타낼 때 26.0을 풍수량,50.7을 평수량,75.3을 저수량 그리고 97.3을 갈수량으로 정의하는 기준에 따라(Fennessey and Vogel, 1990) 나뉜 5개 구간별로 모형의 적합성을 AIC 및 BIC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Table 8 및 Table 9에서는 각각 NSE와 KGE를 목적함수로 활용하였을 때, 5개의 유량 구간별 AIC, BIC를 비교하였다. 기존 보정 기법인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최적화한 결과(overall), 부분 보정기법의 유황곡선을 전체기간 최적화 결과에서 해당 기간만 보정된 모의 결과로 수정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각각 모의된 결과를 결합한 유황곡선(combination) 또한 Fig. 10에 나타내었다.

목적함수를 NSE로 설정하여 보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갈수량 이하 구간에서 AIC 및 BIC 결과가 감소하였다. Warm 기간에서는 풍수량 이상 구간의 AIC 및 BIC가 감소하였으며, Cold 기간에서는 풍수량~평수량 구간의 AIC 및 BIC가 감소하였다. 목적함수를 KGE로 설정하여 계절별로 보정한 결과,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Warm 기간만 최적화하였을 때, 전체 구간의 AIC 및 BIC 결과가 감소하였고, Cold 기간에서는 갈수량 이하 구간에서 AIC 및 BIC 결과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 10. Flow Duration Curve using Objective Function (left) NSE (right) KGE
../../Resources/KSCE/Ksce.2023.43.3.0337/fig10.png
Table 8. Comparisons of AIC and BIC for Calibration with NSE as an Objective Function by Flow Range

AIC

Overall

Warm

Cold

Combination

~Q26.0

-43960.35

-46811.56

-43987.11

-46890.94

~Q50.7

-1195.40

-314.71

-5829.10

-2029.85

~Q75.3

-9743.47

-7955.39

-3860.16

-534.02

~Q97.3

-8516.45

-8262.10

-1831.74

-528.97

~Q100.0

745.19

729.61

-304.09

-257.45

BIC

Overall

Warm

Cold

Combination

~Q26.0

-43934.91

-46786.12

-43961.68

-46865.50

~Q50.7

-1170.16

-289.47

-5803.86

-2004.61

~Q75.3

-9718.25

-7930.17

-3834.94

-508.80

~Q97.3

-8491.68

-8237.32

-1806.97

-504.19

~Q100.0

761.58

746.00

-287.70

-241.06

Table 9. Comparisons of AIC and BIC for Calibration with KGE as an Objective Function by Flow Range

AIC

Overall

Warm

Cold

Combination

~Q26.0

-43057.14

-43405.47

-42926.81

-43265.86

~Q50.7

-9008.96

-17165.88

-1806.22

-13117.21

~Q75.3

-12845.03

-14970.52

91.76

-8297.63

~Q97.3

-9677.63

-9949.02

-2493.18

-5059.37

~Q100.0

69.12

-641.15

-204.63

-47.70

BIC

Overall

Warm

Cold

Combination

~Q26.0

-43031.70

-43380.03

-42901.37

-43240.42

~Q50.7

-8983.73

-17140.64

-1780.99

-13091.98

~Q75.3

-12819.81

-14945.30

116.98

-8272.41

~Q97.3

-9652.85

-9924.25

-2468.41

-5034.59

~Q100.0

85.52

-624.76

-188.24

-31.31

5. 결 론

우리나라는 몬순의 영향을 받아 계절성 강수 편차가 크며,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는 수자원 관리 및 설계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수문자료의 관리, 수문모형 검보정, 결과 해석 등과 관련해서 계절적 변동성을 포함한 해석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하여 수문모형의 보정 시 계절적 변동성을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비지도 학습 신경망 군집화를 수행하여 계절적 특성에 따라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민감도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기후 특성에 따라 두 계절로 분리하였다. 계절별로 다른 매개변수를 적용해 모형의 재현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비교적 단순화 된 개념적 모형의 특성을 가진 GR4J 강우-유출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SOM 군집화를 통해 매개변수에 따른 민감도 지수 변동성이 계절별로 분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여름철에는 민감도 지수의 변동성이 큰 반면, 겨울철에는 변동성이 적으며 $X_{3}$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다.

2. 전체 기간을 대상으로 SCEM-UA를 활용한 기존의 최적화 결과를 기후 특성에 따른 기간으로 분리해 모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계절별 성능비교 결과, Warm 기간(5월~10월)에 비하여 Cold 기간(11월~4월)의 성능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존의 매개변수 보정 기법은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 자료의 특성을 재현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목적함수를 각각 NSE와 KGE로 다르게 설정하여 비교한 결과, NSE를 목적함수로 선정하였을 때 KGE에 비해 기후에 따른 모의 성능의 편차가 적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3. 기존 최적화 방법을 활용한 모의 결과와 보정된 모의 결과를 유량 구간별로 적합성을 평가한 결과, 계절성을 고려한 보정 결과는 갈수량 이하의 구간 성능이 향상되었고, 특히 Warm 기간을 대상으로 한 보정기법에서는 비교적 고유량의 재현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우-유출 모형의 보정 기법은 기후 특성과 민감도 지수를 활용함으로써 특정 기후에 따른 강우-유출 모형의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군집화에 반영하여 모형의 계절성 변화 분석 시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기간 분리에 따른 강우-유출 관계의 재현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Cold 기간의 보정 기법에서는 유의미한 성능 향상이 도출되었지만, 각각의 보정기간이 불연속적이므로 전체 기간의 성능 평가 시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보정 방법에 분리된 기간의 불연속성을 보완하는 성능 평가 기법이 연계된다면 향후 신뢰도 높은 유출 자료 생산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물관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21AWMP-B121100-06).

References

1 
Akaikei, H. (1973). “Information theory and an extension of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Proc. 2nd Int. Symp. on Information Theory, pp. 267-281.URL
2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of the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I. and Division, D. (1993).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19, No. 3, pp. 429-442.DOI
3 
Bosman, P. AN. (2010). “The anticipated mean shift and cluster registration in mixture-based EDAs for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ceedings of the 12th Annual Conference on Genetic and Evolutionary Computation, pp. 351-358.DOI
4 
Boyack, B., Catton, I., Duffey, R., Katsma, K., Lellouche, G., Levy, S., Wilson, G. and Zuber, N. (1990). “Quantifying reactor safety margins part 1: an overview of the code scaling, applicability, and uncertainty evaluation methodology.”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119, No. 1, pp. 1-15.DOI
5 
Burnash, R. J., Ferral, R. L. and McGuire, R. A. (1973). “A generalized streamflow simulation system: Conceptual modeling for digital computers.”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Weather Service. California, USA, pp. 12-64.URL
6 
Chiew, F. and McMahon, T. (1994). “Application of the daily rainfall-runoff model MODHYDROLOG to 28 Australian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Vol. 153, No. 1-4, pp. 383-416.DOI
7 
Duan, Q., Schaake, J., Andréassian, V., Franks, S., Goteti, G., Gupta, H., Gusev, Y., Habets, F., Hall, A. and Hay, L. (2006). “Model Parameter Estimation Experiment (MOPEX): An overview of science strategy and major results from the second and third workshops.” Journal of Hydrology, Vol. 320, Nos. 1-2, pp. 3-17.DOI
8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4, pp. 1015-1031.DOI
9 
Ewen, J. (2011). “Hydrograph matching method for measuring model performance.” Journal of Hydrology, Vol. 408, Nos. 1-2, pp. 178-187.DOI
10 
Feng, X., Porporato, A. and Rodriguez-Iturbe, I. (2013). “Changes in rainfall seasonality in the tropics.” Nature Climate Change, Vol. 3, No. 9, pp. 811-815.DOI
11 
Fennessey, N. and Vogel, R. M. (1990). “Regional flow-duration curves for ungauged sites in Massachusett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6, No. 4, pp. 530- 549.DOI
12 
Feyen, L., Vrugt, J. A., Nualláin, B. Ó., van der Knijff, J. and De Roo, A. (2007). “Parameter optimisation and uncertainty assessment for large-scale streamflow simulation with the LISFLOOD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32, No. 3-4, pp. 276-289.DOI
13 
Glaeser, H. (2008). “GRS method for uncertainty and sensitivity evaluation of code results and appli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of Nuclear Installations, Vol. 2008.DOI
14 
Gupta, H. V., Beven, K. J. and Wagener, T. (2006). “Model calibration and uncertainty estimation.” Encyclopedia of Hydrological Sciences.DOI
15 
Gupta, H. V., Kling, H., Yilmaz, K. K. and Martinez, G. F.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377, Nos. 1-2, pp. 80-91.DOI
16 
Hall, M. and Minns, A. (1999). “The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ly homogeneous region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44, No. 5, pp. 693-704.DOI
17 
Hornberger, G. M. and Spear, R. C. (1981). “Approach to the preliminary analysis of environmental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2, No. 1, pp. 7-18 .URL
18 
Im, S. S., Yoo, D. G. and Kim, J. H. (2012). “Improvement of GR4J model applying soil moisture accounting process anc its application in Korea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3, pp. 255-262 (in Korean).URL
19 
Jung, I., Bae, D. and Lee, B. (2013). “Possible change in Korean streamflow seasonality based on multi-model climate projection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7, No. 7, pp. 1033-1045.DOI
20 
Kim, H. and Lee, S. (2014). “Assessment of a seasonal calibration technique using multiple objectives in rainfall-runoff analysi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8, No. 4, pp. 2159-2173.DOI
21 
Kim, J.-P. and Kim, G.-S.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nds of precipitation effectiveness ratio and runoff data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83-694 (in Korean).DOI
22 
Kim, J. S. and Choi, C. U. (2013). “Impact of changes in climate and land use/land cover change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on streamflow in the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1, No. 2, pp. 105-114 (in Korean).URL
23 
Kim, K. B. and Han, D. (2017). “Exploration of sub-annual calibration schemes of hydrological models.” Hydrology Research, Vol. 48, No. 4, pp. 1014-1031.DOI
24 
Kling, H., Fuchs, M. and Paulin, M. (2012). “Runoff conditions in the upper Danube basin under an ensemble of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Vol. 424, pp. 264-277.DOI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2). Rainy season white book 2022 (in Korean).URL
26 
Legates, D. R. and McCabe Jr, G. J. (1999). “Evaluating the use of “goodness-of-fit” measures in hydrologic and hydroclimatic model valid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1, pp. 233-241.DOI
27 
Lence, B. J. and Takyi, A. (1992). “Data requirements for seasonal discharge programs: an application of a regionalized sensitivit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7, pp. 1781-1789.DOI
28 
Levesque, E., Anctil, F., Van Griensven, A. and Beauchamp, N. (2008). “Evaluation of streamflow simulation by SWAT model for two small watersheds under snowmelt and rainfall.”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3, No. 5, pp. 961-976.DOI
29 
Lin, G.-F. and Chen, L.-H. (2006).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regions fo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elf-organizing map.” Journal of Hydrology, Vol. 324, Nos. 1-4, pp. 1-9.DOI
30 
Liong, S. Y., Lim, W. H., Kojiri, T. and Hori, T. (2000). “Advance flood forecasting for flood stricken Bangladesh with a fuzzy reasoning method.” Hydrological Processes, Vol. 14, No. 3, pp. 431-448.DOI
31 
Mara, T. A. and Tarantola, S. (2008). “Application of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model output to building thermal simulations.” Building Simulation, Vol. 1, No. 4, pp. 290-302.DOI
32 
Moore, R. (1985). “The probability-distributed principle and runoff production at point and basin scale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30, No. 2, pp. 273-297.DOI
33 
Moriasi, D. N., Arnold, J. G., Van Liew, M. W., Bingner, R. L., Harmel, R. D. and Veith, T. 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0, No. 3, pp. 885-900.DOI
34 
Moriasi, D. N., Gitau, M. W., Pai, N. and Daggupati, P. (2015).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dels: Performance measures and evaluation criteria.”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8, No. 6, pp. 1763-1785.DOI
35 
Murtagh, F. and Hernández-Pajares, M. (1995). “The Kohonen self-organizing map method: an assessment.” Journal of Classification, Vol. 12, No. 2, pp. 165-190.DOI
36 
Pappenberger, F., Beven, K., Horritt, M. and Blazkova, S. (2005). “Uncertainty in the calibration of effective roughness parameters in HEC-RAS using inundation and downstream level observ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02, No. 1-4, pp. 46-69.DOI
37 
Perrin, C., Michel, C. and Andréassian, V. (2003). “Improvement of a parsimonious model for stream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79, No. 1-4, pp. 275-289.DOI
38 
Pushpalatha, R., Perrin, C., Le Moine, N. and Andréassian, V. (2012). “A review of efficiency criteria suitable for evaluating low-flow simul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420-421, pp. 171-182.DOI
39 
Quintero, F., Krajewski, W. F., Seo, B.-C. and Mantilla, R. (2020).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the Iowa Flood Center Hillslope Link Model (HLM) by calibration-free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Vol. 584, pp. 124686.DOI
40 
Rousseeuw, P. J. (1987). “Silhouettes: a graphical aid to the interpretation and validation of cluster analysi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Applied Mathematics, Vol. 20, pp. 53-65.DOI
41 
Saltelli, A., Tarantola, S., Campolongo, F. and Ratto, M. (2004). Sensitivity analysis in practice: a guide to assessing scientific model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England.URL
42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Vol. 6, No. 2, pp. 461-464.URL
43 
Sieber, A. and Uhlenbrook, S. (2005). “Sensitivity analyses of a distributed catchment model to verify the model structure.” Journal of Hydrology, Vol. 310, Nos. 1-4, pp. 216-235.DOI
44 
Sugawara, M. (1979). “Automatic calibration of the tank model. (In French)”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24, No. 3, pp. 375-388.DOI
45 
Tiao, G. C. and Box, G. E. P. (1973). “Some comments on “Bayes“ estimators.” The American Statistician, Vol. 27, No. 1, pp. 12-14.URL
46 
Vrugt, J. A., Gupta, H. V., Bouten, W. and Sorooshian, S. (2003). “A shuffled complex evolution metropolis algorithm for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assessment of hydrologic model parameter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9, No. 8.DOI
47 
Wagener, T., Sivapalan, M., Troch, P. and Woods, R. (2007). “Catchment classification and hydrologic similarity.” Geography Compass, Vol. 1, No. 4, pp. 901-931.DOI
48 
Wallis, G. B. (2007). “Uncertainties and probabilities in nuclear reactor regulation.”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37, No. 15-17, pp. 1586-1592.DOI
49 
Xu, C.-Y. and Vandewiele, G. (1994). “Sensitivity of monthly rainfall-runoff models to input errors and data length.”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39, No. 2, pp. 157-176.DOI
50 
Young, R. C., Biggs, J. T., Ziegler, V. E. and Meyer, D. A. (1978). “A rating scale for mania: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33, No. 5, pp. 429-435.DOI
51 
Yu, J.-U., Park, M.-H., Kim, J.-G. and Kwon, H.-H. (2021). “Evaluation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different flow regimes and development of ensemble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4, No. 2, pp. 105-119 (in Korean).DOI
52 
Zeng, Q., Chen, H., Xu, C.-Y., Jie, M.-X. and Hou, Y.-K. (2016). “Feasibility and uncertainty of using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in design flood estimation.” Hydrology Research, Vol. 47, No. 4, pp. 701-717.DOI
53 
Zhang, R., Cuartas, L. A., de Castro Carvalho, L. V., Reis Deusdará Leal, K., Mendiondo, E. M., Abe, N., Birkinshaw, S., Samprogna Mohor, G., Seluchi, M. E. and Nobre, C. A. (2018). “Season- based rainfall-runoff modelling using the probability-distributed model (PDM) for large basins in southeastern Brazil.” Hydrological Processes, Vol. 32, No. 14, pp. 2217-223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