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University of Seoul ․ aika629@naver.com)
  2. 정회원 ․ (주)지승씨앤아이 부장 (Jiseung C&I ․ jinu385@daum.net)
  3. 종신회원 ․ 국립목포대학교 조교수 (Mokpo National University ․ kimyoungho@mokpo.ac.kr)
  4. 종신회원 ․ 교신저자 ․ (주)지승씨앤아이 대표이사 (Corresponding Author ․ Jiseung C&I ․ pjmaaaa@naver.com)



반일체식교대교량, 벽체형 프리캐스트 블록, PSC거더, 3점재하실험, 현장계측
Semi-integral abutment birdge, Wall-type precast block, PSC girder, 3 point bending experiment, Measuring performance

1. 서 론

국내 교량분야에서는 구조물 유지관리 관련 기술개발이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관리 성능이 우수한 일체식교대교량(Integral Abutment Bridge)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다수의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rockiasamy and Sivakumar, 2005; Choi and Jang, 2018; Dicleli, 2005; Faraji et al., 2001; Kim et al., 2013; Steinberg et al., 2004).

일체식교대교량은 완전일체식교대교량(Full-Integral Abutment Bridge)과 반일체식교대교량(Semi-Integral Abutment Bridge)로 구분할 수 있다(Park et al., 2016). 완전일체식교대교량은 유연한 말뚝기초가 소규모의 교대를 직접 지지함으로서 교량받침과 신축이음장치가 모두 배제되어 우수한 유지관리성능을 나타내는 교량형식이다. 또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은 신축이음장치가 배제되어 일체식교대교량과 마찬가지로 유지관리성능이 우수하며, 교량받침을 설치하여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상부구조의 온도하중에 의한 영향이 하부구조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반일체식교대교량은 일반 조인트 교량에 비해 하부구조의 크기가 감소하고, 현장 적용성이 넓으며, 교대에 작용하는 토압이 감소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교량 건설이 가능하다. 일체식교대교량의 구성은 Fig. 1에 나타내었으며, 조인트 교량과 일체식교대교량의 특성 비교는 Table 1에 정리하였다.

국내 프리캐스트 구조 기술은 대부분 PSC 거더 기술에 국한되어 있으며, 교각, 교대, 기초 등 하부구조의 적용 사례는 극히 적다. 그러나 일체식교대교량은 하부구조의 개선을 통해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킨 교량형식임을 고려할 때, 하부구조의 프리캐스트화를 통해 품질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교량을 설계 및 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특성을 반영하여 PSC 거더 단부에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 제작한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개발한 바 있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는 단부에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하여 교대벽체 위에 단순거치하고, 프리캐스트 블록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함께 벽체 상부에 단부벽체를 구성하며, 단부벽체는 교대벽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안전한 교량 설계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블록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적재하실험과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Fig. 1. Types of the Integral Abutment Bridg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2018)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1.png
Table 1.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mong Joint Bridge, Full-Integral Abutment Bridge and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Classification

Expansion Joint

Support

Type of Abutment

Type of Foundation

Approach Slab

Joint Bridge

Wall type

Direct/Pile

Seperation

Full-Integral Abutment Bridge

×

×

Abutment stem

Pile

Non-seperation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

Wall type

Direct/Pile

Non-seperation

2.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의 특징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는 거더 제작단계에서 단부에 정육면체의 블록을 함께 제작하며, 프리캐스트 블록은 거더 가설 중에 전도방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도방지공이 불필요하다. 또한,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된 단부벽체(End diaphragm)를 형성하고, 단부벽체는 단부 가로보의 역할과 벽체 상부의 토압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로 제작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구성은 Fig. 2에 나타내었다.

단부벽체는 전체 교대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의 일부를 PSC 거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PSC 거더에 작용하는 토압은 상부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하연의 휨인장응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부구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교대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감소할 뿐만 아니라, 토압 작용점의 높이가 감소하여 토압에 의한 휨모멘트 또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은 경제적인 하부구조를 설계·시공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토압 분포와 교대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수평력 및 휨모멘트는 조인트 교량과 비교하여 Table 2, Fig. 3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2. Configuration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cast Block PSC Girder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2.png
Table 2. Comparison of Vertical Load and Bending Moment according to the Soil Pressure

Classification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Joint Bridge

Vertical Load

$P_{a}=K_{a}\left(qz_{1}+\gamma z_{0}z_{1}-\dfrac{1}{2}\gamma z_{1}^{2}\right)$

$P_{a}=K_{a}\left(qz_{0}+\dfrac{1}{2}\gamma z_{0}^{2}\right)$

Bending Moment

$M_{a}=P_{a2}\times\dfrac{3q+3\gamma z_{0}-2\gamma z_{1}}{8q+ 8\gamma z_{0}-5\gamma z_{1}}z_{1}$

$M_{a}=P_{a1}\times\dfrac{3q+\gamma z_{0}}{8q+ 3\gamma z_{0}}z_{0}$

Fig. 3. Comparison of Soil Pressure between Precast Block PSC Girder and Joint Bridge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3.png

3. 단부벽체 성능평가실험

3.1 실험 개요

단부벽체 성능평가실험은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단부벽체가 뒷채움재에 의한 배면토압과 교량의 온도하중에 의한 신축변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대상 교량의 거더간 간격은 2.8 m, 단부벽체의 두께는 0.9 m이며, 상재하중은 10 kN/$m^2$, 뒷채움재의 단위중량은 20 kN/$m^3$로 가정하였다. 또한, 거더 위치를 단순지지로 가정하였으며, 보수적인 평가를 위해 거더 간의 단부벽체를 단순보로 가정하였다. 실험체의 설계 상세 및 하중조건은 Fig. 4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 4에 나타낸 단부벽체는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의 이음에 대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검토 결과 계수하중에 대한 단부벽체의 전단력은 87.8 kN, 휨모멘트는 61.5 kN·m로 나타났다. 설계 검토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실험체는 길이 3.5 m, 폭 1.1 m, 높이 0.9 m로 제작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공정을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블록을 먼저 제작하고,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에 전단철근을 배근한 후,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체 제작 공정은 Fig. 5에 나타내었다.

실험체는 실험체 설계과정을 반영하여 지점 2.8 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하중은 5 MN 용량의 Dynamic UTM을 사용하여 3점 재하 방식으로 재하하였으며, 2.0 mm/min의 속도로 변위제어방식으로 재하하였다. 또한, Dynamic UTM과 실험체 사이에 강재 프레임을 설치하여 실험체의 폭방향으로 균등한 하중이 재하되도록 조치하였다. 실험체의 설치방법은 Fig. 6에 나타내었다.

계측기는 실험체의 처짐을 측정하기 위하여 중앙부 2개, 프리캐스트 블록의 중앙부에 각 2개씩 총 6개의 변위계를 실험체 하부에 설치하였으며, 강재게이지 6개를 철근에 부착하고, 콘크리트게이지를 실험체 상부에 2개, 하부에 4개씩 총 6개를 부착하였다. 계측기의 설치 위치 및 설명은 Fig. 7Table 5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4. Dimensions and Londing Conditions of End Diaphragm Experiment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4.png
Table 3. Demensions of End Diaphragm and Soil Conditions

Classification

Variable

Dimension

Effective span (m)

2.8

Thickness of end diaphragm (m)

0.9

Height of girder (m)

1.0

No. of girder (EA)

3

Soil condition

Surface load (kN/$m^2$)

10

Unit weight (kN/$m^3$)

20

Table 4. Design Results of End Diaphragm

Classification

Results

Service load

Shear force (kN)

51.7

Bending moment (kN·m)

36.2

Factored load

Shear force (kN)

87.8

Bending moment (kN·m)

61.5

Fig. 5. Manufacturing the Specimen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5.png

3.2 실험 결과

실험결과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는 선형으로 증가하였으며, 약 480 kN에서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의 계면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또한, 약 620 kN에 도달한 이후 하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실험체의 균열 및 하중-변위 관계, 하중-변형률 관계는 Fig. 8에 나타내었다.

Fig. 8(d)에서 콘크리트는 약 480 kN에서 상부 표면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근은 약 500 kN에서 압축철근이 항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하중 재하위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콘크리트 균열 및 철근의 항복은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의 계면 상부 인근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실험체의 형상 및 균열 거동을 고려할 때 전단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체의 균열하중 480 kN은 실험체 설계로부터 구한 계수전단력 87.8 kN에 비해 약 5.47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체 설계는 상재하중 및 배면토압에 대한 삼각형 형태의 분포하중을 설계하중으로 설정하였으나, 실험체는 중앙부에 집중하중으로 재하하였기 때문에 실제 단부벽체는 실험결과보다 더 큰 안전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벽체 PSC 거더의 단부벽체는 일반적인 설계조건에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체 설계와 실험결과의 비교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Fig. 6. Experimental Set-up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6.png
Fig. 7. Instruments for End Diaphragm Experiment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7.png
Table 5. Classification of Instruments for End Diaphragm Experiment

Classification

Symbol

Location

LVDT

Center

L1, L2

Lower surface

Center of precast block

L3, L4, L5, L6

Lower surface

Strain gauge

Steel

A, B, C, D, E, F

Rebar

Concrete

TE, TF

Upper surface

BA, BB, BC, BD

Lower surface

4.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 적용 반일체식교대교량의 현장계측

4.1 계측 개요

일반적으로 반일체식교대교량은 무다짐 뒷채움을 적용하고, 도로부에 신축조절장치(Cyclic Control Joint, CCJ)를 설치하여 온도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2014).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온도 신축변위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시공된 교량을 대상으로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대상교량은 2경간 연속교로서, 사각 12°, 총 연장 70.00 m, 교폭 13.90 m이고, 1등교로 설계되었다. 또한, 대상 교량은 2014년 7월에 완공되었으며, 현장계측 기간은 시공 중과 시공 후를 포함한 2014년 5월~10월이다.

단부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측정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블록에 총 2개의 토압계를 설치하였으며, 상부 토압계는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연에서 640 mm, 하부 토압계는 하연에서 200 mm 이격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상부구조와 단부벽체의 기온변화에 따른 변위는 기존 연구문헌(Cheung et al., 2008)을 참고하여 화상변위 자동측정 시스템을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각 측정장치의 특성은 Table 7에 나타내었다.

Fig. 8. End Diaphragm Experiment Results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8.png
Table 6. Comparison Results between Design and Experiment

Classification

Experiment (A)

Design (B)

A/B

Remark

Shear Force (kN)

480

87.8

5.47

OK

Table 7. Classification of Instruments for Field Loading Experiment

Classification

Specification

Ficture

Earth pressure cell

∙Range: 100 N/$cm^2$

∙Temperature sensor: Themistor (3 kΩ@25 °C)

∙Calibration temperature: 25 °C

../../Resources/KSCE/Ksce.2022.42.1.0001/tb7_1.png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Camera: CCTV

∙Resolution: Minimum 1.3 M pixel, 2 M pixel

∙Scale: Default 30x optical zoom

∙Rotator: not less than 360° horizontal and 90° vertical

∙Measuring distance: 200 m radius

∙Error: ±2 mm

../../Resources/KSCE/Ksce.2022.42.1.0001/tb7_2.png

4.2 계측 결과

계측 결과는 시공 중 계측한 1구간(5월~7월)과 시공 후 계측한 2구간(8월~10월)으로 구분하였으며, 1구간에서는 상단토압이 크고, 시간경과에 따른 토압변화 또한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2구간에서는 뒷채움토의 재배열과 다짐효과 등으로 인해 하단토압이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토압변화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또한, 1구간에서는 온도변화와 토압의 관계가 불분명하였으나, 2구간에서는 월간온도가 약 14 °C 감소하는 동안 토압의 크기는 약 8 kN/$m^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부벽체의 토압변화 계측 결과는 Fig. 9에 나타내었다.

일체식교대교량 설계지침(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2018)에서는 단부벽체의 설계토압은 토압의 약 50 %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계측된 최대토압은 상단토압 약 7 kN/$m^2$, 하단토압 약 15 kN/$m^2$으로 이론적 토압(Das, 2002)과 비교할 때 각각 약 14.9 %, 11.0 %에 해당하기 때문에, 설계토압 적용시 약 6.71배 이상의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압계측 결과는 Table 8에 나타내었으며, 프리캐스트 블록 높이에 따른 토압변화는 Fig. 10에 나타내었다.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구조의 변위 계측 결과, 2구간에서는 월간온도가 약 14 °C 감소하는 동안 1.1~1.2 mm의 수축변위를 나타내었으며, 설계에 적용한 수축량인 6.53 mm에 비해 약 5.44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위는 교량의 사각에 대한 영향이 없고, 교축방향으로의 수축변위만이 발생하였으며, 교축방향 중립축과 교량 사각의 변형 차이에 의한 면내 회전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위계측 결과는 Table 9, Fig.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9. Soil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9.png
Table 8. Soil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Classification

Maximum pressure (A, kN/$m^2$)

Design pressure (B, kN/$m^2$)

B/A

Remark

Upper soil pressure

7

47

6.71

OK

Lower soil pressure

15

136

9.07

OK

Fig. 10. Relationship between Abutment Depth and Soil Pressure Variation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10.png
Table 9.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s

Maximum displacement (A, mm)

Design displacement (B, mm)

B/A

Remark

1.20

6.53

5.44

OK

Fig. 11.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s
../../Resources/KSCE/Ksce.2022.42.1.0001/fig11.png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PSC 거더 단부에 일체타설하여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및 이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구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단부벽체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3점 재하 실험 결과와 특정 조건에 대한 실험체 설계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온도하중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시공된 교량을 대상으로 6개월간의 현장계측을 통해 작용 토압 및 상부구조의 변위를 계측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부벽체의 성능평가실험 결과, 실험체는 프리캐스트 블록과 무수축 콘크리트 사이의 계면에서 균열 및 압축철근의 항복이 발생하며 전단파괴되었으며, 균열 하중은 480 kN, 최대 하중은 620 kN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단력은 실험체 설계를 통해 구한 계수전단력 87.8 kN에 비해 약 5.47배 크게 나타났다. 프리캐스트 블록을 적용한 단부벽체의 파괴형태는 프리캐스트 블록과 현장타설부 사이 계면의 전단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단부벽체의 안전성은 전단철근 배근의 영향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를 적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에서 프리캐스트 블록에 작용하는 토압은 시공 중(1구간)에는 토압변화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온도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어려웠으나, 시공 후(2구간)에는 상단토압에 비해 하단토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월간 온도가 14 °C 감소하는 동안 작용 토압은 8 kN/$m^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측된 최대 토압은 상단 7 kN/m2, 하단 15 kN/m2이며, 설계토압에 약 14.9 %, 11.0 %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의 토압은 구조계 완성 이후 온도 감소로 인한 상부구조의 수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하중과 비교했을 때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토압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온도변위에 따른 상부구조의 변위 계측 결과, 2구간에서는 월간온도가 약 14 °C 감소하는 동안 1.1~1.2 mm의 수축변위를 나타내었으며, 설계에 적용한 수축량인 6.53 mm에 비해 약 5.44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위는 교축방향으로의 수축변위만이 발생하였으며, 교축방향 중립축과 교량 사각의 변형 차이에 의한 면내 회전변위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캐스트 블록 PSC 거더의 수축변위는 설계온도하중과 실제 온도하중의 차이, 기타 설계 가정사항 등으로 인해 실제 수축량은 설계수축량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적 일정한 온도하중의 영향으로 인해 면내 회전변위 또한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상부구조의 팽창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rockiasamy M., Sivakumar M. (2005). "Time-dependent behavior of continuous composite integral abutment bridges.", Practice Periodical on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Vol. 10, No. 3, pp. 161-170DOI
2 
Cheung J. H., Kang C. H., Kim N. S., Park Y. M. (2008). "Development of shape determination program for suspension bridg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Magazine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2, No. 1, pp. 117-126, (in Korean)URL
3 
Choi Y. G., Jang I. Y. (2018). "A study of structural behavior analysis of integral and semi-integral hybrid slab bridg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2, No. 1, pp. 123-128 (in Korean)DOI
4 
Das B. M. (2002).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5th edition, Thomson Learning Asia, Singapore.Google Search
5 
Dicleli M. (2005). "Integral abutment-backfill behavior on sand soil-pushover analysis approach.", Jounral of Bridge Engineering, Vol. 10, No. 3, pp. 354-364DOI
6 
Faraji S., Ting J. M., Crovo D. S., Ernst H. (2001). "Nonlinear analysis of integral bridges: finite-element model.", Jounr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7, No. 5, pp. 454-461DOI
7 
Kim W. S., Lee J. H., Park T. H. (2013). "Development of abutment-H pile connection for large lateral displacements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Journal of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4, pp. 309-318 (in Korean)DOI
8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2018). "Design manual for integral abutment bridges (Jointless Bridges)", 2nd editio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in Korean)Google Search
9 
Park J. M., Jeon S. Y., Lee S. D., You S. K., Kim C. S. (2016). "BIB girder with precast end diaphragm for jointless bridge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 7, No. 1, pp. 25-30 (in Korean)URL
10 
Park J. M., Kim J. B., Jun S. Y., Kim C. S., You S. K., Park J. B. (2014). "Study on the field contstruction of semi-integral bridge with PSC girder integrating end-diaphrag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 5, No. 2, pp. 21-26 (in Korean)DOI
11 
Steinberg E., Sargand S. M., Bettinger C. (2004). "Forces in wingwalls of skewed semi-integral bridges.", Jounral of Bridge Engineering, Vol. 9, No. 6, pp. 563-57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