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과정 (Pusan National University)
  2.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Pusan National University)


농촌관광활성화, 경관요소, 요인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Landscape component, Factor analysis, IPA analysis

  • 1.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정의 및 선행연구

  •   2.1 농촌관광활성화의 정의

  •   2.2 선행연구

  • 3.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   3.1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   3.1.1 선행연구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   3.1.2 현장조사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   3.2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 4.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   4.1 중요도·만족도 조사개요

  •   4.2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   4.2.1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중요도·만족도의 분석결과

  •   4.2.2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에 대한 IPA분석결과 및 개선방향

  •   4.3 분석결과 종합

  • 5. 결 론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현대인들이 관광과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 레저 등의 서비스 산업이 촉진되고 있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환경 훼손 및 파괴에 대응하여 우수한 자연경관을 가진 농촌을 배경으로 한 관광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국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촌관광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농촌관광개발은 경제적 부흥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관광지의 환경관리, 경관조성,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농촌관광지개발은 합리적인 경관계획 및 지역특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농촌관광지 경관의 혼란과 획일화 및 농촌관광의 활력 저하를 초래하였다1). 이에 관광지의 이용가치 제고는 물론 관광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경관계획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도출 및 평가를 통해 농촌관광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농촌관광개발 시 경관계획 및 관리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 및 경관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중국 산동성 중부 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岱崮地質地貌旅遊區)”를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산지지형 농촌으로써 2015년 기준 중국 및 산동성에서 “휴한농업 및 농촌관광지”로 지정된 91개소 중의 한 곳으로, 관광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다2).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자연경관, 지역문화경관, 역사문화경관적 특성이 매우 뚜렷하며, 이로 인한 관광객 수요가 높은 지역이다. 그 중 가장 특색있는 관광자원으로는 자연자원을 중심으로 한 향토자원, 전쟁유적자원, 박물관, 농원 등 인공관광자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선행연구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를 재구성한다. 2)이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도출한다. 3)이어 관광객을 대상으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에 대해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4)분석결과에 따라 대상지의 농촌관광개발 시 경관계획 및 관리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와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해 경관개선방향을 제시한다.

2. 정의 및 선행연구

2.1 농촌관광활성화의 정의

본 연구는 농촌관광활성화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고찰하고 그 특성과 목표를 포괄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농촌관광(Rural Tourism)이라함은 “농촌의 자연경관과 전통문화, 생활과 사업을 매개로 한 도시민과 농촌 주민간의 체류형 교류활동이며, 도시민에게는 휴식·휴양과 새로운 체험공간을 제공하고, 농촌에는 농산물 판매, 가공산업, 숙박, 음식물, 서비스 등 소득원을 제공하는 지역활성화 운동”으로 볼 수 있다(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4).

이를 토대로 농촌관광활성화 및 이와 유사한 농촌관광마을개발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면 농촌관광활성화는 농촌관광지에 농촌 본연의 관광자원을 기초로 농촌의 매력을 증진시키고, 관광객의 관광욕구를 충족시켜 관광지의 농외소득 창출과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농촌의 관광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농촌관광활성화는 인위적 행위로써 지역특성을 간과하고 관광객의 취향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획일적이거나 혼란스러운 경관이미지 등의 부정적 개발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계획 및 관리단계에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해 경관의 체계적인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2.2 선행연구

농촌관광지 경관에 대한 연구로 Kim and Rhee (2006)은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문헌고찰 및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경관이미지와 함께 인지도와 선호도 평가를 통해 경관계획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요인을 제시하였다. Park and Kim (2013)은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경관요소 빈도분석과 주민 및 도시민을 대상으로 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통해 농촌지역활성화에 있어 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를 도출하였다. Park et al. (2002)은 문헌조사와 전문가회의를 거쳐 대표적인 농촌자원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해 정주가치와 관광가치의 측면에서 중요도 우선순위도출을 통해 농촌자원의 유형별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Lee et al. (2005)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문한고찰 및 현장조사를 통해 사업종류별 농촌경관을 물리적·비물리적 요소, 자연·인공요소로 나누어 도출하고 경관자원별 가치를 파악하여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농촌계획의 바람직한 기본 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참고하여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농촌관광활성화에 대하여 Kim and Choi (2005)은 농촌관광 잠재력, Kim and Chung (2005)은 관광 도로노선 계획, Kim et al. (2005)은 마을정비 등을 연구하였다. 이는 농촌관광을 위한 여러 가지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지만 경관적 측면에서 농촌관광활성화를 주제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의 초점을 두고 농촌관광개발의 목적을 지닌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도출하고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3.1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3.1.1 선행연구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이에 관한 연구들이 미흡함으로 농촌관광지 경관에 관한 선행연구3)를 통해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구성요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물리적, 비물리적 요소로 나누어 총 77개의 경관구성요소로 정리하였다(Table 1 참조).

Table 1. Rural Tourist Attraction Landscape Elements from Advanced Researches

Category

Landscape Elements

Physical Elements

Transportation Facilities, Guidance Facilities, Road Sign, Road,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Greenhouse, Storage, Common Workplace, Collection Place, Tube Well,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Facilities, Drying Rack, Bee Farm, Farmland (Field/ Orchard), Deserted House, Apartment, Stone Wall, Settlement (Village Forest, Old Big Trees), Industry Facilities, Farmhouse, Leisure Center,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Regional Product (Local Products/Local Food), Artificial Leisure Facilities, Experience Facilities, Forest, Sunrise, Peculiar Topography, Soil, Skyline, Buddhist Temple, Mountain Spirit, Faith Tree, Faith Community Facility, Shrine to the Village Deity, Stone Grave, Shrine, Village Hall, Water Supply and Drainage,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Incineration Plant, Network Facility, Health Center/School, Commercial Facility, Streetlight, Senior Citizens' Center, Public Parking Lots, Garbage Collection Facility, Well, Park, Stone Tower, Cultural Assets, A Ploe, Remains, Tombstone, Village Symbol (Tombstone/Monument), Gazebo, River, Lake, Valley, Reservoir, Pond/Wetland.

Non-Physical Elements

Tense, Parents Party, Fellowship, Visit Grave, Ancestral Rites, Ceremonial Occasion, Holiday Play, Farmer Play, Production Play, Group Tour, Traditional Dance, Historical Figure or Incident, Geomantic Theory/ Legend, Village Theme Program, Village Cultural Programe.

3.1.2 현장조사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 추출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현황으로는 중국 산동성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총 면적은 31.76 km²이며 2013년부터 농촌관광지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북동쪽과 남서쪽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가운데는 하천과 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지의 대부분은 특이지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관지역과 과수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농업경관지역 및 하천 주변에 입지하고 있는 주거지역이다(Fig. 1 참조).

Figure_KSCE_36_5_18_F1.jpg

Fig. 1. Target Area Present Condition and  Point of Investigation (Source: Target Area Guide Map and Satellite Map1))

이를 배경으로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를 토대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우선 조망지점별 경관구성요소 조사 및 사진촬영을 하였으며, 조사대상지 전체 영역 및 공간유형을 고려하여 마을 거주민 및 관광객의 인터뷰를 통해 관광지점 및 이동노선을 파악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Fig. 1에 A, B, C, D점은 주요 관광지점이며 유동성이 높은 관광장소이다. A점은 관광구역이고 입구, 관광서비스센터 및 주요 주거지이며 인공경관, 주거지경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B점은 박물관이며 유적, 전쟁 기념물, 관광서비스 경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C점은 조망대로 인공조경, 식음료시설, 전시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점은 관광지구 입구이며 관광지 상징물과 자연경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장조사를 통해 추가된 요소와 3.1.1에서 추출된 요소를 종합하여 대상지에 나타나지 않은 요소를 제외하면 Table 2와 같이 총 41개 요소로 추출되었다.

Table 2. Rural Tourist Attraction Landscape Elements

Landscape Elements

1.Transportation Facilities(Tour Bus/ Bus Stop), 2.Guidance Facilities, 3.Public Relations, 4.Road, 5.Wall Surface of Road, 6.Agricultural Facilities, 7.Farmland(Field/ Orchard), 8.Farmhouse, 9.Public Parking Lots, 10.Park, 11.Outdoor Advertisement Act, 12.Landscaping/ Afforestation, 13.Network and Electricity Facilities, 14.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15.Regional Product (Local Product/ Local food), 16.Leisure Facilities, 17.Experience Facilities, 18.Secure Facilities (CCTV/ Streetlight), 19.Village Forest, 20.Museum, 21.Tour Destination Symbol (Tombstone/ Decorated Archway), 22.Tour Infrastructure (Ticket Office/ Lounge/ Toilet), 23.Village Cultural Programe, 24.River/ Lake, 25.Conference Hall, 26.Industry Facilities, 27.Agricultural Water Utilization, 28.Bridge/ Gazebo, 29.Commercial Facilities, 30.Religious Facilities, 31.Village Theme Program, 32.Health Center/ School/ Village Hall, 33.Sewage Purification Facilities/ Garbage Collection Facilities, 34.Geomantic Theory/ Legend, 35.Historical Figure or Incident, 36.Monument/ Remains,  37.Mountain/ Forest, 38.Sunset, 39.Peculiar Topography, 40.Old Big Trees, 41.Skyline,

Figure_KSCE_36_5_18_F2.jpg

Fig. 2. Tourist Spot View

3.2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3.1.2에서 추출된 41개의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6년 8월 8일부터 15일까지 8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설문은 도시공학과 및 건축공학과 석박사과정생과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방식은 7점 리커트 척도로 하였고 총 87부 중 70부의 응답을 회수하였고, 유효한 부수 59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위해 베리맥스(varimax) 회전을 이용하였다. 베리맥스 회전은 요인이 독립적이며, 요인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여 인자구조를 단순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요인분석의 신뢰성 검정에 있어 Cronbach's Alpha값은 0.953으로 높은 신뢰성을 볼 수 있다. 요인분석에 사용된 41개의 구성요소 중 요인적재량 0.6미만의 경관요소와 공통으로 묶이지 않는 요소를 제외한 총 31개의 경관요소가 그룹핑되었다.

최종적으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는 관광서비스시설, 레크리에이션시설, 자연경관, 공공시설, 관광지매력물, 토속경관 등 Table 3과 같이 6개의 요인과 31개의 세부항목이 도출되었다.

Table 3. Factor Analysis Result

Item 

Component

1

2

3

4

5

6

Tourism  Service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Tour Bus/ Bus Stop)

.831

.098

.080

-.023

.036

-.045

Public Parking Lots

.795

.276

.027

-.066

-.048

.059

Secure Facility (CCTV/ Streetlight)

.793

.183

.154

.214

.115

.138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742

.281

.111

-.138

.182

.176

Network/ Electricity Facility

.723

.088

.315

.235

.163

.070

Road

.723

.231

.040

.171

-.016

.238

Guidance Facilities

.704

.092

.056

.011

.193

.087

Tour Infrastructure (Ticket Office/ Lounge/ Toilet)

.628

.386

.151

.011

.281

.081

Recreational Facilities

River and Lake

.142

.812

.177

.080

.041

.159

Tour Destination Symbol (Tombstone/ Decorated Archway)

.135

.776

.073

-.086

.096

-.054

Leisure Facilities

.270

.767

-.060

.181

.209

.104

Museum

.290

.752

.061

.032

.093

.067

Experience Facilities

.431

.747

-.001

.220

.166

.037

Village Cultural Programe

.060

.652

.080

.177

.511

.241

Landscaping/ Afforestation

.309

.639

.040

.139

-.047

.147

Park

.369

.604

.246

.011

-.177

.101

Natural Landscape

Skyline

.130

.144

.850

.119

-.141

.138

Sunset

.191

.059

.843

.064

.181

-.122

Old Big Trees

.109

.047

.694

.195

.139

.256

Mountain/ Forest

.150

.110

.673

.282

.319

.077

Peculiar Topography

.099

.015

.666

.058

.311

.169

Public Facilities

Bridge/ Gazebo

-.145

.164

.074

.770

-.056

.066

Agricultural Water Utilization

.135

.155

.392

.716

.159

.321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Garbage Collection Facility

.411

.023

.113

.704

.109

.152

Religious Facility

-.007

.078

.172

.683

.235

-.105

Tourism Attraction

Monument/ Remains

.016

.115

.373

.375

.728

.122

Historical Figure or Incident

.320

.118

.314

.237

.673

.094

Regional Product (Local Product/ Local Food)

.276

.302

.067

-.196

.621

.351

Vernacular Landscape

Farmhouse

.133

.019

.200

.191

.249

.753

Farmland (Field/ Orchard)

.223

.182

.216

.188

.181

.734

Agricultural Facility

.239

.419

-.006

.078

.090

.601

Eigenvalue

6.640

5.830

4.486

3.685

3.168

2.728

Description of the total dispersion (%)

16.194

14.221

10.941

8.989

7.726

6.653

Cumulative Description amount (%)

16.194

30.415

41.356

50.345

58.071

64.724

Cronbach′s Alpha

0.953

-Factor extraction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otation Method: Kaiser Berry Mex with normalized

4.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4.1 중요도·만족도 조사개요

본 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와 요소별 현지 사진을 첨부하여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20일부터 8월 27일까지 8일간 실시하였다. 총 180부 중 162부(회수율90%)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응답이 불성실한 50부를 제외시킨 후 112부(유효회수율62%)를 실증분석 자료로 채택하였다.

표본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하기 위해 응답자의 일반사항인 성별, 연령, 거주지역 등에 관한 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남녀 비율은 남성은 45명으로 40%, 여성은 67명으로 60%, 연령대는 18-30세가 79명(69.6%)으로 가장 높으며, 31~40세가 28명(25%)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의 경우 농촌 거주민은 20명(17.9%), 도시거주민은 92명(82.1%)으로 나타났다(Table 4 참조).

Table 4.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tem

Frequency

Ratio (%)

Sex

Men

45

40

Women

67

60

Age

<18

3

2.7

18~30

79

69.6

31-40

28

25

41-50

2

1.8

>50

1

0.9

Habitat

Rural

20

17.9

City

92

82.1

4.2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4.2.1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중요도·만족도의 분석결과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중요도·만족도의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중요도와 만족도 두 변수의 대응표본 t-검정의 상관계수는 0.927, p<0.001로 상당히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양쪽 유의확률은 유의수준 0.01로 중요도와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은 관광제반조건이 잘 구비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제 경관현황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클수록 선택한 항목에 대해 불만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4). Table 5와 같이 중요도는 높은 반면 만족도는 중요도에 비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차이 값이 큰 순위별로 살펴보면, 숙박 및 식음료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 오폐수정화시설 및 쓰레기수거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항목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순위는 중요도에서 관광서비스시설이 가장 높게 나오고 관광지매력물, 레크리에이션시설, 공공시설의 순으로 높았으며, 세부항목은 지역상품, 안전시설, 공공주차장, 오폐수정화시설 및 쓰레기수거시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만족도에서는 관광지매력물, 관광서비스시설, 자연경관, 레크리에이션시설, 토속경관, 공공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시설, 종교시설, 숙박 및 식음료시설 부문의 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는 중요도의 경우 0.964, 만족도의 경우 0.970으로 신뢰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Table 5. Impotance-Satisfaction Evaluate Result

Item

Impotance

Satisfaction

Mean Difference

Mean

Standard Deviation

Ranking

Mean

Standard Deviation

Ranking

Tourism  Service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Tour Bus/ Bus Stop)

4.30

.928

10

3.70

1.027

25

0.60

Public Parking Lots

4.44

.825

3

3.91

1.018

9

0.53

Secure Facility (CCTV/ Streetlight)

4.46

.793

2

4.00

.953

4

0.46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4.32

.922

9

3.56

1.020

29

0.76

Network/ Electricity Facility

4.35

.947

7

3.61

1.075

28

0.74

Road

4.41

.833

6

4.03

.848

3

0.38

Guidance Facilities

4.42

.802

5

4.11

.846

2

0.31

Tour Infrastructure (Ticket Office/Lounge/Toilet)

4.34

.917

8

4.00

.864

4

0.34

Recreational Facilities

River and Lake

4.21

.853

12

3.82

.951

18

0.39

Tour Destination Symbol (Tombstone/Decorated Archway)

3.98

.986

23

3.88

.779

11

0.10

Leisure Facilities

4.00

.986

19

3.70

.936

25

0.30

Museum

3.99

.990

22

3.84

.829

14

0.15

Experience Facilities

4.09

.900

14

3.99

.810

6

0.10

Village Cultural Programe

4.06

.942

15

3.84

.840

14

0.22

Landscaping/ Afforestation

4.25

.905

11

3.91

.850

9

0.34

Park

4.00

.934

19

3.69

.938

27

0.31

Natural Landscape

Skyline

3.83

.963

28

3.73

.900

21

0.10

Sunset

3.88

.956

26

3.83

.899

17

0.05

Old Big Trees

4.00

.963

19

3.95

.831

7

0.05

Mountain/ Forest

4.12

.950

13

3.84

.872

14

0.28

Peculiar Topography

3.98

.995

23

3.85

.878

12

0.13

Public Facilities

Bridge/ Gazebo

3.90

.929

25

3.75

.854

20

0.15

Agricultural Water Utilization

3.86

.963

27

3.72

.861

23

0.14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Garbage Collection Facility

4.43

.835

4

3.73

1.106

21

0.70

Religious Facility

3.66

.989

31

3.55

.947

30

0.11

Tourism attraction

Monument/ Remains

3.82

1.032

29

3.72

.951

23

0.10

Historical Figure or Incident

4.03

.929

17

3.85

.899

12

0.18

Regional Product (Local Product/ Local Food)

4.50

.805

1

4.15

.861

1

0.35

Vernacular Landscape

Farmhouse

4.02

.895

18

3.81

.865

19

0.21

Farmland (Field/ Orchard)

4.05

.966

16

3.96

.848

7

0.09

Agricultural Facility

3.70

1.019

30

3.49

.967

31

0.21

Mean

4.11

-

-

3.82

-

-

Cronbach′s Alpha

0.964

0.970

4.2.2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에 대한 IPA분석결과 및 개선방향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매트릭스에 따른 요인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중요도 평균값 4.11, 만족도 평균값 3.82를 기준으로 한 IPA Matrix 결과는 Fig. 3과 같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6. IPA Analysis Result

Ⅱ (Concentrate Here)

Ⅰ (Keep Up the Good Work)

1.Transportation Facilities(Tour Bus/ Bus Stop)

4.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5.Network/ Electricity Facility

9.River/ Lake

24.Sewage Purification Facility/ Garbage Collection Facility

2.Public Parking Lots

3.Secure Facility(CCTV/ Streetlight)

6.Road

7.Guidance Facilities

8.Tour Infrastructure( Ticket Office/Lounge/Toilet)

15.Landscaping/ Afforestation

20.Mountain/ Forest

28.Regional Product (Local Product/ Local Food)

Ⅲ (Low Priority)

Ⅳ (Possible Overkill)

11.Leisure Facilities

16.Park

17.Skyline

22.Bridge/ Gazebo

23.Agricultural Water Utilization

25.Religious Facility

26.Monument/ Remains

29.Farmhouse

31.Agricultural Facility

10.Tour Destination Symbol(Tombstone/ Decorated Archway)

12.Museum

13.Experience Facilities

14.Village Cultural Programe

18.Sunset

19.Old Big Trees

21.Peculiar Topography

27.Historical Figure or Incident

30.Farmland(Field/ Orchard)

첫째, 공공주차장, 안전시설(CCTV/가로등), 도로, 안내시설, 관광기반시설(매표소/휴게실/화장실), 인공조경 및 녹화, 산/산림, 지역상품(특산품/토속음식)의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Ⅰ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으며, 현 상태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상지에 도로정비, 시설마련, 지역상품 개발 등 일련의 농촌관광개발 사업이 이루어졌기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우수한 자연경관자원을 갖는 관광지로써 아름다운 산과 산림 경관이 제Ⅰ사분면에 다수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통시설(관광차/버스정류장), 숙박 및 식음료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 하천 및 호수, 오폐수정화시설 및 쓰레기수거시설의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Ⅱ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은데 비해 만족도가 낮은 속성으로 최우선적으로 개선의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교통시설과 숙박시설은 특색없이 획일적으로 계획되어 있어,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경관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식음료시설과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은 복잡한 배치에 의해 질서감이 떨어져 낮은 만족도를 보이므로 가시화 될 수 있는 경관정비 및 유지관리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하천 및 호수의 경우 과도한 인공미로 인해 자연미가 낮아지기 때문에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자연경관이 회복할 수 있도록 경관관리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 오폐수정화시설의 경우 공원과 긴밀하게 맞닿아 있어 시각적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차폐경관을 통한 경관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인공레저시설, 공원, 스카이라인, 다리 및 정자, 농업 수리, 종교시설, 기념물/사적유적, 농가, 농업시설이 포함되어 있는 Ⅲ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현 시점에서 우선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아니지만 일부 요소들에 대해서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관광지 상징물(비석/패방), 박물관, 관광체험시설, 마을문화활동, 일몰, 노거수, 특이지형,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 농지(밭/과수원)가 포함되어 있는 Ⅳ사분면은 중요도가 낮은데 비해 만족도가 높은 속성이며, 과잉노력지양에 해당된다. 대상지 관광개발 중 관광지 상징물, 박물관, 마을문화활동 등 레크리에이션시설에 노력을 많이 기울이기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수한 자연경관과 관광지매력물, 대규모의 복숭아 과수원에 있어 관련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Figure_KSCE_36_5_18_F3.jpg

Fig. 3. IPA Analysis Result

4.3 분석결과 종합

IPA 분석결과에 따라, 관광지매력물, 관광서비스시설, 레크리에이션시설의 순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지역상품(특산품/토속음식), 안전시설(CCTV/가로등), 공공주차장은 농촌관광지 개발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라는 갓을 알 수 있다.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경우 오폐수정화시설 및 쓰레기수거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 숙박 및 식음료시설, 교통시설, 하천 및 호수는 우선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이다. 특히 숙박 및 식음료시설, 오폐수정화시설 및 쓰레기수거시설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 관광활성화 제고 방안 모색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경관요소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 경관개선방향으로 교통시설과 숙박시설은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경관조성을 지향하고, 쓰레기수거시설, 식음료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은 질서감이 있는 계획을 통해 복잡한 경관정비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하천 및 호수는 자연성 회복, 오폐수정화시설은 차폐경관에 의해 경관정체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개발 시 지역특색을 반영하지 않은 경관 획일화와 경관혼란 등으로 인해 관광활력이 저하되는 농촌관광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경관요소 도출 및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농촌관광지 경관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와 경관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자연경관, 지역문화경관, 역사문화 특성이 매우 뚜렷한 연구대상지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농촌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을 더욱 강조된 경관계획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상위항목을 관광서비스시설, 레크리에이션시설, 자연경관, 공공시설, 관광지매력물, 토속경관으로 묶고, 세부항목은 31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의 중요도는 관광지매력물, 관광서비스시설, 레크리에이션시설, 공공시설, 자연경관, 토속경관의 순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중요도에 있어 상위를 차지하는 지역상품(특산품/토속음식), 안전시설(CCTV/가로등), 공공주차장은 농촌관광지 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경관요소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대상지 경관 현황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교통시설과 숙박시설은 획일적 경관이미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특색 있는 경관조성이 요구되며, 쓰레기수거시설, 식음료시설, 네트워크 및 전력시설은 질서감이 있는 계획을 통해 경관정비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천 및 호수의 경우 자연성 회복, 오폐수정화시설의 경우 차폐경관에 의해 경관정체성 확보라는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도출한 농촌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는 중국 ‘대고지질지모관광지구’의 뛰어난 자연경관, 지역문화 및 역사문화를 경관계획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농촌관광지로써의 대상지역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대상지 뿐만 아니라 중국의 다른 농촌관광지 조성 및 관리방안 모색에 바탕이 되는 실효성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1) 孔繁嵩. 山東省 農村觀光 發展 硏究, 山東大學校 석사학위논문, 2007.

2) 중국 “山東省鄕村旅游振興計劃(2011-2015년) 實施方案”과 각 농촌관광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농촌관광지 관광자원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3) 중국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한국 농촌관광지 경관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진행하였다. 참고한 선행연구의 대상지는 농촌전통테마마을(Kim and Rhee, 2006), 남해안관광벨트사업마을/정보화마을/녹색농촌체험마을

4) 서철현, 김보미, 박혜준, 농촌관광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제11권 제4호(통권31호) pp. 63-83, 2015.11.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6년도 부산광역시 재원으로 Brain Busan 21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Ahn, T. M., Son, J. D. and Kim, M. S. (2005). “Rurality and preferences of rural landscapes in Korea - A Comparison of Evaluations by Koreans and Foreign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3, pp. 43-52 (in Korean).Ahn, T. M., Son, J. D. and Kim, M. S. (2005). “Rurality and preferences of rural landscapes in Korea - A Comparison of Evaluations by Koreans and Foreign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3, pp. 43-52 (in Korean).Google Search
2 
Kim, D. S. and Choi, H. S. (2007). “Development of green-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considering amenity and human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3, No. 2, pp. 7-16 (in Korean).Kim, D. S. and Choi, H. S. (2007). “Development of green-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considering amenity and human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3, No. 2, pp. 7-16 (in Korean).Google Search
3 
Kim, D. S. and Chung, H. W. (2005). “A study on optimal planning of sustainable rural path based on infrastructure for green-tourism and public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1, pp. 1-8 (in Korean).Kim, D. S. and Chung, H. W. (2005). “A study on optimal planning of sustainable rural path based on infrastructure for green-tourism and public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1, pp. 1-8 (in Korean).Google Search
4 
Kim, D. S., Kwon, Y. D., Choi, S. M. and Im, C. S. (2005).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scheme of rural villages considering infrastructure for rural touris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1, pp. 45-53 (in Korean).Kim, D. S., Kwon, Y. D., Choi, S. M. and Im, C. S. (2005).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scheme of rural villages considering infrastructure for rural touris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1, pp. 45-53 (in Korean).Google Search
5 
Kim, S. B. and Rhee, S. Y. (2006). “Key landscape elements in constituent spaces of rural village area - Centered on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2, No. 3, pp. 13-18 (in Korean).Kim, S. B. and Rhee, S. Y. (2006). “Key landscape elements in constituent spaces of rural village area - Centered on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2, No. 3, pp. 13-18 (in Korean).Google Search
6 
Kong, F. S. (2007). A study on rural tourism of Shandong province, Doctor Dissertation. Shandong University, China (in Chinese).Kong, F. S. (2007). A study on rural tourism of Shandong province, Doctor Dissertation. Shandong University, China (in Chinese).Google Search
7 
Lee, D. K., Ok, J. H., Hong, C. S., Youn, S. W., Park, C. S. and Yoo, H. S. (2005).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2, pp. 21-34 (in Korean).Lee, D. K., Ok, J. H., Hong, C. S., Youn, S. W., Park, C. S. and Yoo, H. S. (2005).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1, No. 2, pp. 21-34 (in Korean).Google Search
8 
Park, C. S. and Kim, S. K. (2013).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preference of rural village - Focused on Daewon-Ri Sanoe-Myun Boeun-Gun, Chungbu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5, No. 4, pp. 108-121 (in Korean).Park, C. S. and Kim, S. K. (2013).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preference of rural village - Focused on Daewon-Ri Sanoe-Myun Boeun-Gun, Chungbu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5, No. 4, pp. 108-121 (in Korean).Google Search
9 
Park, C. S., Jeon, Y. O. and Joh, Y. K. (2002). “An analysis of their importance degree and ordinal correlation of rural resources for the rural amenit.”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7, No. 6, pp. 21-35 (in Korean).Park, C. S., Jeon, Y. O. and Joh, Y. K. (2002). “An analysis of their importance degree and ordinal correlation of rural resources for the rural amenit.”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7, No. 6, pp. 21-35 (in Korean).Google Search
10 
Seo, C. H., Kim, B. M. and Park, H. J. (2015). “A study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selections attributes of the rural tourism.” The Journal of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Vol. 4, No. 31, pp. 63-83 (in Korean).Seo, C. H., Kim, B. M. and Park, H. J. (2015). “A study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selections attributes of the rural tourism.” The Journal of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Vol. 4, No. 31, pp. 63-83 (in Korean).Google Search
11 
Shandong Tourism Development Information Center (2010). Tourism statistics of Shandong Province, Available at: www.sdta.gov.cn, China (Accessed: July 1, 2016) (in Chinese).Shandong Tourism Development Information Center (2010). Tourism statistics of Shandong Province, Available at: www.sdta.gov.cn, China (Accessed: July 1, 2016) (in Chinese).Google Search
12 
The government of Daigu township Mengyin country of Shandong province (2008). Daigu Geomorphology Landscape Tourist Area of China, Available at: http://dgdm.mengyin.cc, China (Accessed: July 1, 2016)(in Chinese).The government of Daigu township Mengyin country of Shandong province (2008). Daigu Geomorphology Landscape Tourist Area of China, Available at: http://dgdm.mengyin.cc, China (Accessed: July 1, 2016)(in Chinese).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