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연구원, 공학석사 (Pyunghwa Engineering Consultants)
  2.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Pyunghwa Engineering Consultants)
  3.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교수, 공학박사 (Chung-Ang University)


NATM터널, 환경부하, 전과정평가, 전과정목록
NATM tunnel, Environmental load, Life cycle assessment, Life cycle inventory

  • 1. 서 론

  • 2. 전과정 평가(LCA)

  • 3. NATM터널의 공종별 환경부하량 산정

  •   3.1 자료수집

  •   3.2 환경부하 분석용 공종 분류체계 정립

  •   3.3 공종별 소요자원 산출 및 환경부하량 산정

  • 4. 공종별 환경부하량 특성 분석

  •   4.1 NATM터널의 환경부하 대표공종 선정

  •   4.2 환경부하 대표공종별 특성 분석

  •   4.2.1 라이닝 콘크리트

  •   4.2.2 숏크리트공

  •   4.2.3 갱문 및 개착터널

  •   4.2.4 배수공

  •   4.2.5 강관다단그라우팅

  •   4.2.6 버력처리

  •   4.2.7 록볼트공

  •   4.3 공종별 환경부하량 특성 분석

  • 5. 결 론

1. 서 론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체제의 강화에 따라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되고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범세계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국제회의인 유엔환경개발회의(United Natio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CED)가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되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개념이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a).

이에 국내에서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과 더불어 산업계 및 학계에서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Jun et al. (2011)는 건설 자원계획단계에서 일정네트워크에 할당한 자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CO2 배출량을 정량화하고, 프로젝트 일정정보와 통합하여 작업일 당 CO2 배출량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Choi et al. (2012)는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투입자재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CO2 발생이 큰 주요자재를 선정하고 CO2 발생원단위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였다. 2012년 국토해양부에서는 항만, 도로, 철도, 건축물 등을 대상으로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b)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건설 분야의 연구들이 건축물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온실가스 이외에 지구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오염물질을 고려한 종합적인 환경부하 저감과 관련된 연구들은 다소 부족하다.

환경부하란 시설물의 전생애주기 동안 지구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온실가스, 오존층파괴가스, 산성비원인가스, 유해폐기물 등)들에 대한 지구환경 부담 정도를 정량화한 것으로(Lee and Yang, 1996)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해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으며, 이는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비중 증가에 따른 영향이 크다(Kwon, 2008).

에너지 다소비업종 중 하나인 건설 관련 공사의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에 지속가능한 개발을 전제로 한 국제적 환경규제 및 국가별 환경정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에서는 환경정책 수립 시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환경평가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이 건축물과 도로, 교량 등 일부 SOC시설을 대상으로 다수 수행되었으나 터널과 관련된 연구들은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OC시설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선행연구로 터널을 대상으로 공종별 환경부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공법으로 시공된 터널을 대상으로 일반국도의 신설 및 확포장공사의 설계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터널의 내역서별로 공종 구성체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공종별 환경부하 비교분석을 위한 공종분류체계를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종별로 소요자원을 산출하고 LCI (Life Cycle Inventory, 전과정목록) DB를 연계하여 공종별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터널의 환경부하량을 비교 분석하여 터널 공종 중 환경부하가 큰 주요 공종들을 선정하고 각 공종별로 환경부하의 원인이 되는 주요 자재들에 대한 환경부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 Fig. 1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1.jpg

Fig. 1. Research Flowchart

2. 전과정 평가(LCA)

건설부문 LCA (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는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자재들의 제조공정과 이들을 조합하여 공공시설물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 해체폐기의 전과정 동안 발생되는 환경부하(오염, 폐수, 비산먼지 등)를 정량화하여 환경성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의사결정도구이다. 건설환경에 대한 사후처리 개념이 아닌 사전예방을 통하여 오염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이며, 앞으로 ‘환경과 조화로운 지속 가능한 개발(ESSD)’의 이념을 실현시킬 수 있는 환경성 평가도구이다(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2003).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4040 시리즈에서 제시하고 있는 LCA 수행방법은 (1)목적 및 범위 설정(Goal and Scope Definition), (2)목록분석(Inventory Analysis), (3)영향평가(Impact Assessment), (4)결과해석(Interpretation)의 4단계로 구성된다.

목적 및 범위 설정은 LCA의 첫 번째 단계로 연구목적이 무엇이며, 결과를 어디에 적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연구의 범위에는 시스템 경계, 기능단위(Function Unit), 영향평가 방법, 데이터의 요구조건, 연구의 가정 및 제한요인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기능단위란 제품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중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단위를 말하며, 이 기능단위는 목록분석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된다.

Figure_KSCE_36_2_12_F2.jpg

Fig. 2. LCA Phases (ISO 14040 Series, 2006)

목록분석은 목적 및 범위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연구대상 시스템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능단위에 적합하게 계산하여 건설자재나 건설공정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파악된 데이터들은 영향평가 단계에서 잠재적인 환경영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영향평가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정량적이고 정성적으로 추산하여 주어진 시스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결과해석 단계에서는 목적 및 범위 설정에 맞게 목록분석의 결과 또는 목록분석과 영향평가의 결과를 통하여 주요 환경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최종 결론에 이르게 유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LC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원료채취, 제품제조, 사용, 폐기, 수송 등 전과정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모든 자료 수집이 불가하여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LCI DB를 활용한다.

LCI란 제품1단위(기능단위당)의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채취 및 소재/부품가공, 수송, 제품사용, 폐기(제품 시스템 전과정)까지의 제품 시스템으로 투입되는 자원(환경에서 채취한 자원, 에너지, 광물 포함)의 양과 제품시스템에서 환경으로 버려지는 배출물(대기, 수계)과 폐기물의 발생량을 목록화한 데이터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ISO 14044 절차를 따라 개발한 416개의 국가 LCI DB가 활용되고 있다.

3. NATM터널의 공종별 환경부하량 산정

3.1 자료수집

공종별 환경부하 특성 분석을 위해 먼저 2002년부터 2009년간 설계된 일반국도의 신설 및 확포장공사 중 20개의 NATM터널 설계자료(설계보고서, 수량산출서, 내역서, 단가산출서 등)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현황은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List of Cases

Tunnel

No.

Year of

completion

Total

length

Excavation length

Number of lane

Type of

traffic

1

2004

1,790 

106 

2

Unidirectional traffic

2

2002

2,428 

100 

2

Unidirectional traffic

3

2002

610 

120 

2

Unidirectional traffic

4

2002

2,414 

329 

2

Unidirectional traffic

5

2005

1,257 

66 

2

Unidirectional traffic

6

2005

1,976 

66 

2

Unidirectional traffic

7

2005

1,876 

56 

2

Unidirectional traffic

8

2005

1,224 

52 

2

Bidirectional traffic

9

2003

980 

120 

2

Unidirectional traffic

10

2003

2,225 

140 

2

Unidirectional traffic

11

2005

451 

40 

2

Unidirectional traffic

12

2008

1,391 

16 

2

Unidirectional traffic

13

2008

223 

16 

2

Unidirectional traffic

14

2008

1,125 

20 

2

Unidirectional traffic

15

2008

1,505 

16 

2

Unidirectional traffic

16

2008

585 

80 

2

Unidirectional traffic

17

2008

370 

80 

2

Unidirectional traffic

18

2003

1,890 

80 

3

Unidirectional traffic

19

2003

370 

60 

4

Bidirectional traffic

20

2004

510 

62 

3

Unidirectional traffic

3.2 환경부하 분석용 공종 분류체계 정립

수집된 터널 사례에서 공종별로 환경부하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는 터널 사례별 내역서마다 구성된 공종이 상이하기 때문에 통일된 공종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20개 터널 사례의 공종을 분석하여 크게 본선부, 개착부, 기타공, 보강공으로 대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종별 환경부하 비교분석을 위한 공종 분류체계는 다음 Table 2와 같다.

Table 2. Work Classification System for Analysis of Environmental Load by Specialist Work Classification

Major classification

Minor classification

Main line section

Excavation

Muck hauling

Steel rib

Shotcrete

Rockbolt

Lining concrete

Waterproofing

Drainage

Installation of pipe utility conduit

Excavation section

Tunnel portal and Open-cut tunnel

Other

works

Facility

Outdoor pipe utility conduit

Measurement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aste water tank

Excavation surface straightening

Crushed stone aggregate production

Concrete production

Carrying materials

Etc.

Reinforcement

works

Soil nailing

Steel pipe reinforced multistep grouting

Fore poling

Pre-grouting

Pilot horizontal boring

본선부에는 터널의 본선 구간 시공을 위해 공통적으로 포함된 공종인 굴착, 버력처리, 강지보공, 숏크리트공, 록볼트공, 라이닝콘크리트공, 방수공, 공동구뚜껑으로 소분류하였다.

개착부는 개착구간에 해당하는 공종으로 소분류하였으며, 기타공은 본선부와 개착부 공종을 제외한 나머지 공종 중 부대시설공, 옥외공동구, 계측 등을 포함하였고 터널 현장여건 등에 따른 오탁수처리장, 오폐수저수조, 굴착면고르기 등도 마찬가지로 기타공으로 소분류하였다.

보강공은 지반특성을 반영한 보강공법 적용여부에 따라 Soil Nailing, 강관다단그라우팅, Fore Poling, 프리그라우팅, 선진수평보링으로 소분류하였다.

3.3 공종별 소요자원 산출 및 환경부하량 산정

수집된 NATM터널의 공종별로 건설 적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역서상의 소요자재 및 장비 사용에 따른 연료의 수량을 산출한 후 소요자원별로 기구축된 LCI DB와 연계하여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LCI DB는 다음 Table 3과 같다.

Table 3. LCI DB Used in This Study

DB

Materials

Unit

National

DB

(MKE, ME)

Portland Cement_type 1

kg

Remicon 25-240-15

Expanded Polystyrene(EPS)

kg

oxygen(O2)

ton

Wire rod

ton

Stainless steel

kg

Aluminum strip

kg

Epoxy adhesive

kg

Acrylic emulsion adhesive

kg

Hot rolled steel coil

ton

Low-density polyethylene(LDPE)

kg

Electric steel deformed bars

kg

Electric steel sections

kg

Carbon steel

kg

Brass bar

kg

Steel plates

ton

Light fuel oil

kg

Electricity

kWh

Gasoline

kg

PET film(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kg

Domestic

DB

(KICT)

Sand

m3

Plywood

m3

Tile

kg

Gravel

m3

Domestic DB

(SOC-LCA Research Team)

Rockbolt D25 2.5m ~ 8.0m

set

Overseas DB

(Eco-invent DB)

Asphalt

kg

Polyvinylchloride(PVC)

kg

Sodium silicate

kg

Liqefied petroleum gas

kg

Acetylene

kg

Asphalt concrete

ton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제부(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MKE)와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ME)에서 구축한 20개의 국가 LCI DB와 2005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에서 구축한 4개의 국내 LCI DB를 활용하였다. 아스팔트, PVC, 규산소다, 프로판가스, 아세틸렌, 아스콘은 해외 LCI DB인 Eco-invent DB를 활용하였다. 또한 터널의 록볼트 공종의 주요 소요자원인 록볼트는 현재 연구가 진행중인 “SOC시설물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LCA기반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연구팀(SOC-LCA 연구팀)의 자체 구축 자료를 활용하였다.

앞서 집계된 자원(자재 및 장비사용에 따른 연료)별로 LCI DB를 연계하여 NATM터널의 20개 사례에 대한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환경부하의 영향범주로는 Table 4와 같이 자원고갈(Abiotic Resource Depletion, ARD), 산성화(Acidification, AC), 부영양화(Eutrophication, EU),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GW), 오존층파괴(Ozone layer Depletion, OD), 광화학물생성(Photochemical Oxident, POC), 생태계독성(Eco-Toxicity, ET), 인간독성(Human-Toxicity, HT)으로 ISO에서 제시하고 있는 8대 영향범주와 같다.

각각 다른 단위로 산정되는 환경부하량을 동일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정규화 과정과 가중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개발한 Korea Indicator 방법론을 활용하였다(Table 4).

8대 영향범주로 산정된 환경부하량을 가중화 값인 Eco-point로 합산하여 각 터널 사례의 공종별 환경부하량을 나타내면 다음 Fig. 3과 같다.

Table 4.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Impact Category

Unit

Normalization

Factor

Weight

Factor

Converted

Unit

ARD

1/yr

24.9

0.231

Eco-

point

AC

kg SO2-eq

39.8

0.036

EU

kg PO43-eq

13.1

0.038

GW

kg CO2-eq

5530

0.288

OD

kg CFC11-eq

0.0407

0.292

POC

kg C2H4-eq

10.3

0.065

ET

kg 1,4 DCB eq

1.63

0.216

HT

kg 1,4 DCB eq

1480

0.105

Figure_KSCE_36_2_12_F3.jpg

Fig. 3. Environmental Load by Work Type of 20 Cases

4. 공종별 환경부하량 특성 분석

4.1 NATM터널의 환경부하 대표공종 선정

NATM터널에서 환경부하가 큰 주요 공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20개 터널사례에 대한 공종별 환경부하 비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Fig. 4와 같다.

분석 결과, 환경부하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공종은 라이닝콘크리트공으로 32.51%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숏크리트공이 27.06%를 차지하였다. 개착부의 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은 10.67%를 차지하였으며, 기타공 중 부대시설공은 2.45%를 차지하였였다. 기타공 전체의 환경부하량은 전체 환경부하량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관다단그라우팅 공종은 6.30%를 차지하여 보강공 중 환경부하량이 가장 큰 주요 공종으로 나타났다.

주요 환경부하 대표공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환경부하가 큰 공종순으로 누적 비율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 Fig. 5와 같다.

누적 비율 산정 결과, NATM터널에서의 주요 환경부하 대표공종으로는 라이닝콘크리트, 숏크리트공, 갱문 및 개착터널, 배수공, 강관다단그라우팅, 버력처리, 록볼트공이며, 이러한 7대 주요 환경부하 공종은 전체 환경부하량의 89.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ure_KSCE_36_2_12_F4.jpg

Fig. 4. Average of Environmental Load Ratio by Work Type of 20 Cases

Figure_KSCE_36_2_12_F5.jpg

Fig. 5. Representative Works for Environmental Load

4.2 환경부하 대표공종별 특성 분석

주요 환경부하 공종으로 선정한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별로 투입되는 자재의 환경부하량을 분석하여 해당 공종에서 환경부하 비중이 큰 주요 자재들을 파악하였다.

20개 터널사례의 공종별 투입된 자재들의 환경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해당 공종이 적용되는 구간의 연장(m)을 원단위로 하여 산정하였다. 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은 개착구간의 연장(m)을 원단위로 하였으며, 나머지 공종들은 터널의 전체 연장(m)을 원단위로 하였다.

4.2.1 라이닝 콘크리트

라이닝콘크리트 공종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6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6.jpg

Fig. 6.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Lining Concrete Work by Main Materials

라이닝 콘크리트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레미콘, 후판, 시멘트, 철근, 선재로 나타났으며 그 중 레미콘의 환경부하량 비중이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4.2.2 숏크리트공

숏크리트 공종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7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7.jpg

Fig. 7.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Shotcrete Work by Main Materials

숏크리트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시멘트, 선재, 자갈, 레미콘, 규산소다로 나타났다.

4.2.3 갱문 및 개착터널

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이 해당되는 개착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8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8.jpg

Fig. 8. Environmental Load Per Length of Excavation Section(m) of Tunnel Portal and Open-Cut Tunnel Work by Main Materials

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레미콘, 선재, 철근, 시멘트, 경유로 나타났다.

4.2.4 배수공

배수공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9와 같다.

Figure_KSCE_36_2_12_F9.jpg

Fig. 9.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Drainage Work by Main Materials

배수공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레미콘으로 나타났으며 철근, 경유는 환경부하량이 미미하였다.

4.2.5 강관다단그라우팅

강관다단그라우팅 공종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10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10.jpg

Fig. 10.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Steel Pipe Reinforced Multistep Grouting Work by Main Materials

강관다단그라우팅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규산소다, 경유, 탄소강, 시멘트, 전기로 나타났다.

4.2.6 버력처리

버력처리 공종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11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11.jpg

Fig. 11.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Muck Hauling Work by Main Materials

버력처리 공종에서는 경유의 환경부하량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4.2.7 록볼트공

록볼트공이 해당되는 전체 터널 구간의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여 20개 사례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Fig. 12와 같다.

록볼트공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주요자재는 록볼트 D25 4.0m와 5.0m, 경유, 전기, 시멘트로 나타났다.

Figure_KSCE_36_2_12_F12.jpg

Fig. 12. Environmental Load Per Total Length(m) of Rockbolt Work by Main Materials

4.3 공종별 환경부하량 특성 분석

공종별로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비교해보면 다음 Fig. 13과 같다.

Figure_KSCE_36_2_12_F13.jpg

Fig. 13. Environmental Load Per Length

공종별 연장(m)당 환경부하량(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은 개착구간 연장(m)당 환경부하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갱문 및 개착터널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착구간의 연장이 전체 터널연장에 비해 짧으나 상대적으로 많은 물량의 레미콘이 투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개착구간의 연장 및 갱문 형식 등에 따라 환경부하량이 크게 달라지므로 터널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 대안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전체 구간을 대상으로 공종별 환경부하량을 비교해보면(Figs. 4 and 5) 라이닝콘크리트공종과 숏크리트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4.2절의 환경부하 대표공종별 자재에 따른 환경부하량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라이닝콘크리트공에서는 레미콘이, 숏크리트공에서는 시멘트와 선재가 주요 환경부하량 관리 대상임을 알 수 있다.

환경부하량은 소요자원(자재투입량 및 장비사용에 따른 연료소모량)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NATM터널 시공시 발생하는 환경부하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소요자원을 줄이거나 상대적으로 환경부하를 적게 발생시키는 친환경 자재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주요 공종은 라이닝콘크리트공종과 숏크리트공종이, 주요 자재는 레미콘, 시멘트, 선재가 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수행된 20개의 NATM터널의 설계자료를 수집하여 공종별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20개 터널 사례의 공종별 환경부하량을 분석한 결과 라이닝콘크리트, 숏크리트, 갱문 및 개착터널, 배수, 강관다단그라우팅, 버력처리, 록볼트 공종이 NATM터널의 주요 환경부하 공종으로, 이러한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이 전체 환경부하량의 89.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의 환경부하량 비중이 큰 주요 자재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들을 연장(m)당 환경부하량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터널 전체 연장에 비해 짧은 개착구간에 해당하는 갱문 및 개착터널이 가장 환경부하량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터널 구간을 대상으로 할 경우 라이닝콘크리트 공종과 숏크리트 공종에서 환경부하량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공종에서 레미콘, 시멘트, 선재가 환경부하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주요 환경부하량 관리 대상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계 초기단계에서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의 물량을 개략적으로 산출하여 전체 환경부하량을 추정하는 모델 개발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7대 환경부하 대표공종에서 환경부하 비중이 큰 주요 자재들이 주요 환경부하 관리 대상으로 파악됨에 따라 해당 자재의 투입량을 최적화하거나 친환경 자재 사용을 유도하는 등 친환경 SOC 건설을 위한 환경부하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과제번호 : 15SCIP- C085709-02)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Choi, D. S., Chun, H. C. and Ahn, J. Y. (2012). “Prediction of environmental load emissions from an apartment house of cons-truction phase through the selection of major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8, No. 6, pp. 237-246.Choi, D. S., Chun, H. C. and Ahn, J. Y. (2012). “Prediction of environmental load emissions from an apartment house of cons-truction phase through the selection of major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8, No. 6, pp. 237-246.Google Search
2 
ISO 14040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 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ISO 14040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 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Google Search
3 
Jun, S. E., Lim, T. K. and Lee, D. E. (2011). “A system for estimating CO2 emission using the construction project schedule inform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7, No. 10, pp. 169-176.Jun, S. E., Lim, T. K. and Lee, D. E. (2011). “A system for estimating CO2 emission using the construction project schedule inform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7, No. 10, pp. 169-176.Google Search
4 
Kwon, S. H. (2008).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conomics of construction project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Kwon, S. H. (2008).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conomics of construction project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Google Search
5 
Lee, K. H. and Yang, J. H. (1996).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estim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5, No. 6, pp. 43-50.Lee, K. H. and Yang, J. H. (1996).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estim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5, No. 6, pp. 43-50.Google Search
6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MOCT). (2003). The study of LCA application schemes on construction industry areas (in Korean).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MOCT). (2003). The study of LCA application schemes on construction industry areas (in Korean).Google Search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2a). A study of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and management plan in construction area (in Korean).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2a). A study of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and management plan in construction area (in Korean).Google Search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2b). Guideline of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in Korean).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2b). Guideline of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in Korean).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