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주) 창설 기업부설연구소 수석연구원 (Changseol Co., Research Institute)
  2. 경북대학교 연구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사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4.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CHE1D, 저수지 붕괴, 하상변동, 비균일 유사, 비평형 유사 이송
CCHE1D, Reservoir failure, Bed change, Non-uniform sediment, Non-equilibrium sediment transport

  • 1. 서 론

  • 2. CCHE1D 모형

  •   2.1 지배방정식

  •   2.2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 입력자료

  •   2.2.1 (비평형 소류사 조정거리)

  •   2.2.2 (비평형 부유사 조정 계수)

  •   2.2.3 (혼합층 두께)

  •   2.2.4 (공극률)

  •   2.3 유사이송 능력 공식

  • 3. 대상유역

  •   3.1 Ha!Ha! 저수지 붕괴

  •   3.2 기본 자료 수집

  •   3.3 실제 하상변동 비교

  •   3.3.1 홍수사상 검증

  •   3.3.2 하상변동 모의 입력구성

  •   3.3.3 민감도 분석

  •   3.3.4 최적값 선정을 위한 모형 성능평가

  •   3.3.5 하상변동 검증

  • 4. 결 론

1. 서 론

최근 이상강우로 인해 노후 저수지의 붕괴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나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저수지들의 노후화 및 수문환경 변화에 따른 시설규모의 비적정성 등으로 저수지 붕괴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또한 소규모이지만 지진의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지진으로 인한 저수지 붕괴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에 발생한 저수지 붕괴 사례로는

2013년 경주 산대저수지 붕괴, 여주 옥천저수지 붕괴, 2014년 영천 괴연저수지 붕괴, 부산 내덕저수지 붕괴 등이 있으며, 2012년 이후로 10개의 노후 저수지가 붕괴되었다.

전국의 17,477개의 농업용 저수지 중에서 건설된 지 30년이 넘는 저수지는 16,646개(95%)로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이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는 저수지 중에서 30년 이상 노후화된 저수지 13,711개로 97%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안전진단을 통해 D등급 이하의 진단을 받은 노후 저수지를 재해위험 저수지로 고시하고 있으며, 2014년 말 기준 181개소에 이르고 있다(Choi, 2015).

저수지 붕괴는 홍수파의 하류 전달로 인한 피해가 일차적이며 유사 이송 및 하상 변동에 의한 하상의 침식과 퇴적, 하류부 수로 폭의 확대 등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상 변동이 제방 붕괴, 범람 등으로 또 다른 홍수 피해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고 홍수파의 전파에도 다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홍수에 대한 조사, 분석, 대비에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이 기울여 지는데 반해 유사 이송과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붕괴로 인한 빠른 유속과 전단력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침식을 고려하여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 계산을 실시하고 과도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이 하천 시설물과 하천관리 등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흙으로 축조된 저수지의 붕괴로 인해 대량의 유사가 하류로 전달될 경우에 대비한 유사이송 양상을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피해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로 Wu and Wang (2008)은 CCHE1D 모형으로 노천 광산을 포함하는 하천구간에서 부정류와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을 연구하였고, Gessese and Yonas (2008)는 CCHE1D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사 예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hn et al. (2013), Ahn and Yang (2014), Ahn and Yen (2015)은 장구간에 걸친 하상변동을 1차원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Ahn and Yang (2015)은 비평형유사이송에 대한 1차원 모형의 매개변수(비평형계수)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Ding and Altinaka (2015)는 Marmot 댐의 제거로 인한 하류하천인 Sandy 강에서의 지형 변화 연구를 통해, CCHE1D 모형이 장기간의 하상지형 변화에 대한 모의와 댐 제거 후 하천 유사의 관리와 계획에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국내에서 CCHE1D 모형을 적용한 하상변동 연구는 Son et al. (2015)이 농업용 저수지의 가상붕괴를 통한 수리 및 유사이송을 모의하고 하류부에서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유일하다. 국내에서 CCHE1D 모형이 아닌 다른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Jeong et al. (2010)이 HEC-6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류구간에 대해 하상변동을 수치 모의하고, 그 결과를 유사량 공식별로 비교하였으며, Hwang et al. (2013)은 내성천을 대상으로 항공사진을 활용한 하천의 장기적인 지형변화 양상과 GSTARS 모형을 적용한 주요지점의 하상변동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Ahn et al. (2013)은 CCHE2D를 이용한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를 통해 충적하천에서 발생하는 하천의 침식과 퇴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Son et al. (2015)은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합천 창녕보 건설로 인한 흐름 및 하상변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는 CCHE1D를 적용한 하상변동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하천에서의 흐름과 유사이송 해석을 위해 확산파 모형과 동역학 모형의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저수지 붕괴와 같은 극한 홍수와 이에 따르는 하류부의 하상변동 모의가 가능한 CCHE1D 모형으로 저수지 붕괴와 이에 따른 하류부 하상변동에 대한 적용성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의 서로 다른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균일 유사의 발생과 이송과정, 차폐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유사이송 능력 공식이 내재되고, 실제 하천에서의 유사 이송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유사의 농도로 흐르는 비평형 유사이송 그리고 장기 하상변화의 예측을 고려할 수 있는 CCHE1D를 적용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유역으로는 국내에서는 저수지 붕괴로 인한 하류 하상변동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관측자료가 전무한 실정이므로 실측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Ha!Ha! 강에 적용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1996년 발생한 캐나다 Ha!Ha! 저수지 붕괴로 인한 하류지역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관측된 홍수량/홍수위와 CCHE1D 모형의 계산치와의 비교를 통해 흐름 해석에 대한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홍수전 지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모형의 최심하상 결과와 홍수후 실측된 최심하상을 비교·분석하였고, 최적 매개변수 입력 값 결정을 위하여 주요 하상변동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2. CCHE1D 모형

CCHE1D모형은 NCCHE (National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of University of Mississippi)에 의해 개발된 하천에서의 흐름과 유사이송을 해석하는 1차원 수치 모형이다. 흐름 해석은 하천에서의 주수로와 홍수터를 구분하여 부정류를 계산할 수 있고 각종 수리구조물의 영향 등의 고려도 가능하며, 국지적인 사류나 천이구간에서의 계산은 하이브리드 동역학/확산파 모형이 적용된다. 유사이송 해석은 비평형, 비균일 상태의 유사이송을 계산하고, 유사의 발생량과 퇴적량 계산은 하천 단면 지형의 변화와 하상물질의 조합, 제방침식, 수로 폭의 확대 과정과 맞물려 계산한다.

2.1 지배방정식

CCHE1D 모형에서의 유사이송은 비평형상태를 모의할 수 있고, 비균일 유사이송과 하상변동, 하상토사를 연계하여 계산한다. 비균일, 비평형 상태의 유사를 모의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은 Eq. (1)과 같다.

      

PIC36BD.gif (1)

여기서, PIC37F7.gif는 분류된 PIC3807.gif번째 유사 등급의 면적 평균 유사 농도, PIC3818.gif는 분류된 PIC3819.gif번째 유사 등급의 실제 유사 이송량, PIC3839.gif는 분류된 PIC384A.gif번째 유사 등급의 유사 이송 능력, PIC385A.gif는 조정거리(adaptation length of non-equilibrium sediment), PIC386B.gif는 측방 유사 유출입량을 나타낸다.

Eq. (1)은 일반화된 지배방정식으로 소류사, 부유사, 세류사 또는 총유사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유사 이송량과 조정거리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PIC386C.gif번째 유사등급에 의한 하상변동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PIC38DA.gif,     

PIC3978.gif (2)

여기서, PIC3988.gif는 하상 물질의 공극률, PIC39B8.gif는 크기 등급 PIC39B9.gif에 의한

하상변동이다. 하상물질의 교환은 Fig. 1과 같이 몇 개의 층을 통해 이루어진다. 혼합층에서의 하상 물질 교환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Figure_KSCE_36_2_04_F1.jpg

Fig. 1. Bed Material Sorting Mode (Wu and Vieira, 2002)

PIC3A56.gif (3)

여기서, PIC3A67.gif는 혼합층에서 PIC3A68.gif번째 크기 등급의 백분율, PIC3A98.gif

단면에서의 혼합층의 면적, PIC3AC8.gif는 전체 하상변동율, PIC3AD8.gif

PIC3B28.gif 일 경우에는 PIC3B38.gif, PIC3B87.gif 일 경

우에는 혼합층 아래 층에서의 PIC3BA8.gif을 나타낸다.

2.2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 입력자료

CCHE1D 모형을 이용한 유사이송과 하상변동 모의를 위해 중요한 입력 변수들이 몇 가지 존재한다. PIC3BB8.gif, PIC3BC9.gif, PIC3BCA.gif, PIC3BFA.gif등이 그 변수들인데, 실제 적용을 위해 각 변수들 및 제시된 변수들의 값을 간단히 설명하였다.

2.2.1 PIC3C1A.gif(비평형 소류사 조정거리)

PIC3C3A.gif는 비평형 상태의 소류사가 평형 상태가 되기 위해 필요한 거리로 지배적인 하상형태나 하천지형에 따라 선택하여야 한다. 사련(모래 파의 높이가 3cm, 파장이 30cm정도의 작은 하상 형태)이 지배적인 하상에서는 모래의 도약거리로 PIC3C6A.gif가 추천되며, 사구(사련보다 큰 하상 형태)가 지배적인 하천은 사구의 길이와 평균 수심의 7.3배가 PIC3C6B.gif로 추천된다. 교호사주가 지배적인 하상에서는 교호사주 길이, 또는 수로 평균 폭의 6.3배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하상 형태의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계산간격(∆PIC3C7C.gif)의 2배 값이 사용될 수 있다(Wu, 2008).

2.2.2 PIC3C7D.gif(비평형 부유사 조정 계수)

부유사의 조정거리PIC3CBC.gifPIC3CFC.gif로 정의되며, 이 식에서 PIC3D3B.gif는 비평형 부유사 조정계수이다. PIC3D4C.gif는 보통 1보다 작으며, 심한 세굴(PIC3D5C.gif=1), 심한 퇴적(PIC3D6D.gif=0.25), 약한 세굴과 퇴적(PIC3D7E.gif=0.5), 유사 농도가 높을 경우(PIC3D8E.gif=0.001)와 같이 경우에 따라 매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제시되어 있다.

2.2.3 PIC3D9F.gif(혼합층 두께)

PIC3DB0.gif의 변화는 하상변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하상 구성물질에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유사이송율과 하상변동에 변화를 주게 된다. PIC3DC0.gif은 사구(dune)의 높이(∆)와 관련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PIC3DD1.gif=max[0.5∆, 2PIC3DE1.gif]으로 제시되기도 하는데 자연하천에서는 0.05가 주로 사용된다.

2.2.4 PIC3E02.gif(공극률)

PIC3E22.gif는 지배방정식에서 하상변동량의 변화에 기여하는데 PIC3E42.gif이 커지면 하상변동량이 같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CCHE1D 모형은 비균일 하상 물질에 의한 공극률을 입력하도록 되어있으며, 경험공식 및 사용자 지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2.3 유사이송 능력 공식

CCHE1D에는 유사이송 능력을 계산하기 위해 SEDTRA 모듈(Garbrecht et al., 1995), Wu, Wang and Jia 공식(Wu et al., 2000), 수정 Acker and White 공식(Proffitt and Sutherland, 1983), 그리고 수정 Engelund and Hansen 공식(Wu et al., 2000)과 같은 4가지의 공식이 사용되어진다. 4가지 공식에 대한 주요 내용을 Table 1에 정리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Wu and Vieira (2002)를 참고할 수 있다.

Table 1. Sediment Transport Capacity Formula in CCHE1D

Name

Formula

SEDTRA module

PICBCDF.gif (4)

PICBCEF.gifis total sediment capacity in parts per million by weight (ppmw); PICBD10.gif is sediment transport capacity of the k-th size class in ppmw, and PICBD30.gif is percentage of k-th size of sediment.

Wu, Wang and Jia

PICBDAE.gif (5)

PICBDFD.gif (6)

PICBE0E.gif and PICBE1E.gif are transport capacities of the k-th size class of the bed load and suspended load per unit channel width (m2/s), respectively; PICBE2F.gif is percentage of the k-th size class of bed material; PICBE40.gif and PICBE60.gif are Manning/s coefficient for the bed and grain roughness of the bed, respectively; PICBE90.gif is total shear stress; PICBE91.gif is shear stress on the bed;PICBEA1.gif is average velocity; PICBEB2.gif is setting velocity.

Modified Acker and White

PICBEC3.gif (7)

PICBF50.gif (8)

PICBF61.gif is shear stress; PICBF71.gif is correction factor; PICBF82.gif is mean diameter of the k-th size class;PICBF93.gif, PICBFB3.gif, PICBFD3.gif and PICBFF3.gif are coefficient.

Modified Engelund and Hansen

PICC052.gif, PICC0A1.gif     (9)

PICC0C2.gif is friction factor; PICC101.gif is dimensionless sediment transport rate; PICC121.gif is bed material load transport rate;PICC142.gifis dimensionless bed shear stress; PICC162.gifis diameter of k-th size class of bed material; PICC192.gif is correction factor.

3. 대상유역

3.1 Ha!Ha! 저수지 붕괴

1996년 7월에 내린 호우로 인해 캐나다 퀘벡 Saguenay 지역에 홍수가 발생하였으며, 이 홍수는 인근 지역에 큰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 지역에는 유역면적이 610km2인 Ha!Ha! 강이 위치하며(Fig. 2), Ha!Ha! 강 상류에 위치한 Ha!Ha! 저수지는 콘크리트 댐에 의해 저수되는데 본 댐에서는 홍수기간에 거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댐의 남쪽에 위치한 흙으로 축조된 둑에서 붕괴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둑이 점점 포화가 진행되고 높아진 저수지 수위로 인해 월류가 발생하면서 붕괴되었다. 둑의 붕괴로 기존 하천까지 약 500m 가량 새로운 수로가 생겨났으며, 이 유로를 통해 저수지의 급격한 배수가 이루어졌다(Capart et al., 2007).

Figure_KSCE_36_2_04_F2.jpg

Fig. 2. Map of Ha!Ha! River Basin (Capart et al., 2007)

3.2 기본 자료 수집

1996년 홍수와 관련하여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추정된 주요 지점별 수위 및 유량을 Table 2에 정리하였고, Fig. 3은 당시의 Ha!Ha! 저수지에서의 수문상황을 보여준다. Fig. 3(a)는 저수지 수위-수표면적 관계, Fig. 3(b)는 시간에 따른 저수지 수위 변화, Fig. 3(c)는 저수지 붕괴 당시 연구유역에서의 시강우 자료, Fig. 3(d)는 저수지 유입 및 붕괴유출 수문곡선을 보여준다.

Table 2. Stage and Discharge Estimates (Capart et al., 2007)

Parameter

Location 

Value

Reference

Maximum stage

Ha! Ha! reservoir

0 km

380.77 m A.M.S.L.

CSTGB (1997)

Ha! Ha! bay

36 km

7 m A.M.S.L.

INRS-Eau (1997)

Peak Discharge

Inflow

160 m3/s

CSTGB (1997)

Outflow

0 km

1,010 m3/s

calculated from data in CSTGB (1997)

Ha! Ha! river

27 km

1,080–1,260 m3/s

Brooks and Lawrence (1999)

Tributary Inflows

Huard

9.8 km

34 m3/s

Scenario 4 of CSTGB (INRS-Eau, 1997)

Grand-Pere

20.6 km

25 m3/s

Cedres

25.8 km

37 m3/s

Rocheux 

27.7 km

84 m3/s

Figure_KSCE_36_2_04_F3.jpg

Fig. 3. Hydrological Data Related to the Lake Ha!Ha! Basin (Capart et al., 2007)

Figure_KSCE_36_2_04_F4.jpg

Fig. 4. Boundary Conditions

홍수 전․후의 Ha!Ha! 강 유로를 따라 항공사진 측량된 DTM 자료가 있으며, 나머지 유역에 대해서도 홍수 전․후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고도를 추출한 DTM 자료가 생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Ha!Ha!강의 하상 변동을 연구한 Capart et al. (2007)의 첨부물로 제공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DTM 자료들을 지형자료로 활용하였다.

3.3 실제 하상변동 비교

3.3.1 홍수사상 검증

1996년에 발생한 Ha!Ha! 강 유역의 홍수사상에 대한 CCHE1D 모형의 검증을 위해 일부 지점에서 관측된 지점별 최대수위와 댐 하류 27km 지점에서 Brooks and Lawrence (1999)가 산정한 홍수량을 이용하였다. 이 자료들에 대한 내용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모의를 위한 상류단 경계조건으로는 저수지 붕괴유량이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하류 Ha!Ha! 만(bay)에서의 일정 수위조건을 적용하였다(Fig. 4). 그리고 지류 유입은 Table 2에서 보여주듯이, 9.8, 20.6, 25.8, 27.7km 지점에서 각각 34, 25, 37, 84m3/s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입되는 조건을 적용하였다(Capart et al., 2007).

대상 유역은 빙하기 매적된 토양 특성 때문에 배수 방향이 외부 영향에 의해 국부적으로 바뀌기도 하는데 홍수가 발생하면 심한 유로변화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입도분포곡선에 나타난 바로는 D90이 2mm로 세립질의 토양이 우세하므로 조도계수는 전체적으로 0.03~0.08 범위내에서 관측된 유량과 수위와 비교를 통해 조도계수를 조정하였다.

Fig. 5는 본 연구에서 CCHE1D 모형으로 대상유역의 주요지점에서의 홍수량을 산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계산된 27km 지점에서의 첨두 홍수량은 약 1,112m3/s로 Brooks and Lawrence (1999)가 산정한 첨두홍수량 범위인 1,080~1,260m3/s (Table 2) 사이에 존재하여 합리적인 값을 계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고려한 4개의 지류 유량의 영향으로 Fig. 5에서 저수지 붕괴파가 하류로 전파할수록 유량이 감쇠하지 않고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_KSCE_36_2_04_F5.jpg

Fig. 5. Calculated Discharge at Major Stations

Fig. 6은 1996년 홍수 발생 시 수위가 관측된 지점에서의 관측치와 본 연구에서의 계산치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계산치와 관측치가 잘 일치하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나 일부 구간에서는 조금 차이가 발생한다. 이 지점들은 크게 붕괴부, 대규모 수로붕괴(Avulsion) 발생 구간, 하류의 단면 확대 구간으로 특히. 상류로부터 23km 지점 인근에 대규모의 수로붕괴가 발생하였고 그 최대치가 20m에 달하는데 수로붕괴 발생과정에 대한 계산과 실제 발생 매커니즘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인해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_KSCE_36_2_04_F6.jpg

Fig. 6. Comparison Between Calculated and Measured Water Surface Elevation

3.3.2 하상변동 모의 입력구성

Ha!Ha! 강의 홍수로 인한 하상변동을 모의하기 위해 먼저 입력조건을 구축하였다. 유사 이송 및 하상변동을 위한 입력 자료로는 유입 유사량 조건, 유사 크기 구분, 입경분포, 하상 구성 물질, 노두의 분포 고려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붕괴시 유사량 유입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모의하였는데 저수지의 붕괴부 자료의 획득이 곤란하여 Ha!Ha! 강 하상 변동 모의에서는 제외하였다. 하상 물질의 입경분포와 유사 크기 구분은 실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하였는데, 0.1~1.0mm 사이의 입경을 가진 유사가 전체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El kadi Abderrezzak and Paquier, 2009). Ha!Ha! 강의 일부구간에는 하상에 노출된 암반이 존재하며, 이러한 암반은 하상변동 모의에 입력조건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즉, 암반의 존재 때문에 더 이상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모의 수행시 고려하여야 하므로 조사된 암반의 등고선을 바탕으로 각 단면별로 침식 가능 여부를 부여하였다.

하상변동 계산의 수치안정성을 위해 중요한 변수인 PIC3E62.gif, PIC3E83.gif, PIC3EC2.gif, 그리고 PIC3EF2.gif 값들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시되어 왔지만, 불확실성이 많고 적용되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Ha! 강에서의 각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적절한 입력 변수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3.3.3 민감도 분석

앞서 제시된 입력변수 PIC3F22.gif, PIC3F42.gif, PIC3F53.gif, 그리고 PIC3FB2.gif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위해 실측치와의의 검증과정에서 가장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는 매개변수 값(PIC3FE1.gif=1000, PIC4002.gif=0.005, PIC4022.gif=0.1, PIC4052.gif=0.35)을 기준으로 하였고, 각 매개변수들의 초기값은 Wu and Vieira (2002)가 제안한 특정 값 혹은 범위 내에서 결정하였다. 그리고 각 변수들은 독립적인 변수들로 가정하였다.

먼저, PIC4062.gif에 대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위해, 다른 입력변수들은 그대로 두고 소류사의 PIC4083.gif를 변화시키면서 입력하였을 때 최심하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Ha!Ha! 강의 평균 수로폭이 32m 정도이고 자연하천에서 입력 값으로 제시되는 평균 수로폭의 6.3배를 적용한 PIC4084.gif = 200m를 초기값으로 하여 그 값을 변화 시키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Fig. 7(a)에 나타내었다. 소류사의 PIC40A4.gif의 변화는 1996년 홍수에 대한 Ha!Ha! 강에서의 최심하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IC40B5.gif = 200m를 기준으로 그 이상의 값이 사용되었을 경우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IC40D5.gif의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앞서 수행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다른 입력변수들은 모두 그대로 두고 부유사의 PIC40E5.gif 결정을 위해 PIC40F6.gif를 변화시키면서 입력하였을 때 최심하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검증과 더불어 다양한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PIC4126.gif를 0.001에서 1.0 사이의 값을 입력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7(b)에 나타내었다. PIC4137.gif를 변화 시켰을 때 값의 변화에 따라 최심하상의 값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붕괴지점으로부터 22, 23km 지점에서의 변화는 채택된 PIC4138.gif값을 기준으로 15~20m의 변동 폭을 보여주었다.

Figure_KSCE_36_2_04_F7.jpg

Fig. 7. Model Sensitiv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Input Parameters

PIC4158.gif은 자연하천에서 0.05가 추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0.05를 기준으로 다양한 값을 입력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Fig. 7(c)에 나타내었다. 주요 지점에서 혼합층 두께의 입력값이 변화함에 따라 채택된 입력값을 기준으로 최심하상고가 최대 14 m까지 차이가 남을 보여주었으며, 하상고의 변화가 큰 몇 개의 단면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1m 이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Fig. 7(d)는 PIC4168.gif의 변화에 따른 최심하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전체 모의 구간에 걸쳐 동일한 공극률이 입력되었을 경우 결과 값의 변화를 보기 위해 0.2~0.4까지 공극률을 변화시키면서 최심하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PIC4179.gifPIC418A.gif과는 조금 차이가 있으나 공극률의 변화에 따라 최심하상의 모의 결과 값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괴지점으로부터 22km 하류지점에서의 변화가 약 5m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3.3.4 최적값 선정을 위한 모형 성능평가

모형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대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정성적인 표현보다는 정량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는 통계 변수인 Brier Skill Score (BSS)를 이용하였다. 전체 수로에 대한 하상 지형 변화를 계산하는 모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BSS값은 Eq. (10)과 같이 표현된다. 지형 변화와 관련한 모형 중 BSS의 값이 0.2이상이면 비교적 정확한 모형이라는 연구도 있다(Davies et al., 2002).

PIC4294.gif (10)

여기서, PIC42C4.gif는 관측 하상고, PIC4304.gif는 계산 하상고, PIC4334.gif는 초기 하상고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BSS를 활용하여 Ha!Ha! 저수지 붕괴로 인한 하류하천의 하상변동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4가지 변수들(PIC4344.gif, PIC4355.gif, PIC4375.gif, PIC4386.gif)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사이송 능력을 구하기 위해 CCHE1D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4가지 공식(Table 1)에 대한 성능평가도 함께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에서 보여주듯이, 유사이송 능력 공식에 따라 하상변동이 차이가 나는 이유로는 각 공식에 의한 유사이송 능력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게 산정되기 때문이다. 4가지 공식에 사용되는 변수들은 유속(PIC4396.gif), 수위(PIC43A7.gif), 전단응력(PIC43C7.gif), 침강속도(PIC43C8.gif), 유사입경(PIC43D9.gif) 등으로 그 중에서 특히 유속의 변동성은 침식구간에서 하상변동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민감도분석에 사용된 4가지 변수에 대한 모형 성능평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비평형 소류사 조정거리(PIC43E9.gif), 부유사 조정계수(PIC43FA.gif), 혼합층 두께(PIC440B.gif), 공극률(PIC442B.gif)의 입력값을 변화시키면서 얻은 최심하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BSS값을 산정한 결과, PIC443C.gif는 1000(BSS=0.75246), PIC443D.gif는 0.005(BSS=0.73975), PIC445D.gif은 0.1(BSS=0.75416), PIC447D.gif는 0.35(BSS=0.73920)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BSS (Brier Skill Score) for Change in Variables

Sediment Transport Capacity

Variables

BSS (Brier Skill Score)

SEDTRA module

Adaptation length for bed load

PICC1D1.gif(1000)

PICC1D2.gif(200)

PICC1E3.gif(100)

PICC1F3.gif(10)

PICC1F4.gif(1)

0.31278 

0.30827 

0.32222 

0.32222 

0.32222 

Non-equilibrium coef.  for suspended load

PICC234.gif(0.001)

PICC245.gif(0.005)

PICC246.gif(0.01)

PICC256.gif(0.1)

PICC267.gif(1.0)

0.10263 

0.30827 

0.47880 

0.36265 

0.22573 

Mixing layer thickness

PICC277.gif(0.01)

PICC288.gif(0.05)

PICC289.gif(0.1)

PICC29A.gif(0.5)

PICC2AA.gif(1.0)

0.19949

0.30117

0.29963

0.30827

0.29603

Porosity

PICC2BB.gif(0.20)

PICC2CC.gif(0.25)

PICC2DC.gif(0.30)

PICC2FC.gif(0.35)

PICC30D.gif(0.40)

0.23921

0.23064

0.25831

0.22131

0.28341

Adaptation length for bed load

PICC33D.gif(1000)

PICC34E.gif(200)

PICC34F.gif(100)

PICC35F.gif(10)

PICC370.gif(1)

Wu, Wang and Jia

0.75246

0.73975

0.72679

0.72679

0.72679

Non-equilibrium coef.  for suspended load

PICC380.gif(0.001)

PICC3A1.gif(0.005)

PICC3A2.gif(0.01)

PICC3B2.gif(0.1)

PICC3C3.gif(1.0)

0.21833

0.73975

0.38229

-0.94590

-1.21440

Mixing layer thickness

PICC3D4.gif(0.01)

PICC3E4.gif(0.05)

PICC3F5.gif(0.1)

PICC415.gif(0.5)

PICC426.gif(1.0)

0.23136

0.69003

0.75416

0.73975

0.69876

Porosity

PICC436.gif(0.20)

PICC457.gif(0.25)

PICC467.gif(0.30)

PICC487.gif(0.35)

PICC498.gif(0.40)

0.66157 

0.70979 

0.72866 

0.73920 

0.73297 

Adaptation length for bed load

PICC4B8.gif(1000)

PICC4C9.gif(200)

PICC4DA.gif(100)

PICC4EA.gif(10)

PICC4FB.gif(1)

Modified Ackers and White

0.37700 

0.32203 

0.31675 

0.31675 

0.31675 

Non-equilibrium coef.  for suspended load

PICC50B.gif(0.001)

PICC50C.gif(0.005)

PICC52D.gif(0.01)

PICC52E.gif(0.1)

PICC53E.gif(1.0)

0.06067

0.32203

0.55942

0.53738

0.44529

Mixing layer thickness

PICC55F.gif(0.01)

PICC58E.gif(0.05)

PICC59F.gif(0.1)

PICC5B0.gif(0.5)

PICC5B1.gif(1.0)

0.18929

0.32729

0.32475

0.32203

0.36767

Porosity

PICC5E1.gif(0.20)

PICC610.gif(0.25)

PICC640.gif(0.30)

PICC651.gif(0.35)

PICC662.gif(0.40)

0.22094

0.27282

0.25822

0.28537

0.30349

Adaptation length for bed load

PICC672.gif(1000)

PICC683.gif(200)

PICC6A3.gif(100)

PICC6B4.gif(10)

PICC6C4.gif(1)

Modified Engelund and Hansen

-0.87701

-1.0424

-0.90773

-0.87715

-0.87707

Non-equilibrium coef.  for suspended load

PICC704.gif(0.001)

PICC714.gif(0.005)

PICC735.gif(0.01)

PICC745.gif(0.1)

PICC756.gif(1.0)

0.47790 

-1.04240 

-2.50354 

-7.25207 

-8.36374 

Mixing layer thickness

PICC776.gif(0.01)

PICC787.gif(0.05)

PICC797.gif(0.1)

PICC7A8.gif(0.5)

PICC7A9.gif(1.0)

0.14409

-0.335

-0.6503

-1.0424

-0.9801

Porosity

PICC7D9.gif(0.20)

PICC828.gif(0.25)

PICC848.gif(0.30)

PICC888.gif(0.35)

PICC8B8.gif(0.40)

-0.15206 

-0.20456 

-0.38281 

-0.52561 

-0.83343 

3.3.5 하상변동 검증

CCHE1D 모형의 하상변동 입력변수 PIC448E.gif, PIC449E.gif, PIC44AF.gif, PIC44CF.gif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이들 변수를 조합하여 민감도 분석과 모형성능 평가를 통해 매개변수의 가장 적절한 조합을 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PIC458C.gif=1000, PIC458D.gif=0.005, PIC459D.gif=0.1, PIC45AE.gif= 0.35가 최적의 조합으로 산정되었으며, 이 값들을 적용한 모형의 결과와 Ha!Ha! 강에 대한 하상변동 관측자료를 비교함으로써 적용모형을 검증하였다.

Ha!Ha! 강 유역의 홍수에 대한 유로 변동은 붕괴지점으로부터 23km 지역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하상변동에 대한 검증 자료는 1996년 홍수전․후의 지형자료가 획득되어 있어서 홍수전․후의 최심하상의 비교가 가능하다. Fig. 8은 홍수 전과 후의 실측된 최심하상의 변화 및 모의 결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Fig. 8(a)는 전체 하도를 대상으로 홍수전․후의 최심하상과 CCHE1D를 이용한 계산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Fig. 8(b)는 붕괴지점으로부터 23km를 전후한 최심하상 변화의 비교를 확대하여 보여주었다. Fig. 8에서 보여주듯이, 23km 지점에서의 수로붕괴와 30km 지점에서의 침식과 하류 수로 폭의 확대로 인해 하상의 큰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계산치가 관측치 최심하상의 양상을 잘 반영하였고 또한 붕괴부 지점에서도 홍수 후의 최심하상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_KSCE_36_2_04_F8.jpg

Fig. 8. Comparison of Calculated and Surveyed Thalweg; (a) Whole Section and (b) Section 18~32km

Figure_KSCE_36_2_04_F9.jpg

Fig. 9. Bed Material Size Distribution and Grain Size (D50 and D90) Change

Ha!Ha! 강의 전체 구간에 대하여 홍수발생 후 침식이 크게 발생한 3개의 구간, 저수지 직하류부 1~2km 구간, 붕괴지점으로부터 23~24km 구간, 그리고 29.5~30.5km 구간에 대하여 입경크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전체 분석에 사용된 입도분포곡선은 Fig. 9의 검은색 실선 그래프와 같고, 대규모 침식 발생에 따른 하상토 입경변화도 입도분포곡선 내의 입경크기에서 변화할 것이다. Fig. 9에는 입력자료인 입도분포곡선과 함께 3개의 구간에 대한 입경크기(D50, D90) 변화가 나타나 있는데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물질이 우세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고려한 3개의 구간 중에서 침식이 가장 크게 발생한 23~24km 구간에서의 D50의 입경크기 변화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Fig. 10에서 D50의 크기가 첨두홍수가 나타난 시점부터 모의 종료시간까지 점점 커지는 것으로 보여주어 모의 시작 전보다 조립화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_KSCE_36_2_04_F10.jpg

Fig. 10. Grain Size (D50) Change in Section 23-24 km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Ha!Ha! 저수지 붕괴로 인한 극한 홍수 발생 시 예상되는 하류하천에서의 단기간 하상변동과, 비균일, 비평형 유사의 이송 현상을 CHE1D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계산결과와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붕괴지점으로부터 23.2km 하류지점에서 측정된 홍수전․후 최심하상의 차이는 21.5m로 이 지점을 전후로 많은 침식이 발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이 지점에 대한 최심하상 차이는 22.4 m로 나타나 5%내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2)저수지 붕괴에 따른 하상변동의 실측자료가 있는 유역에 대한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관측값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가지는 입력변수를 도출하여 민감도 분석 및 모형 성능 평가를 통해 입력변수에 대한 일정 범위를 설정하였다.

(3)BSS (Brier Skill Score)를 활용하여 모의결과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CHE1D 모형에서 제공하는 4가지의 유사이송 능력 공식 중에서 Wu, Wang and Jia 공식을 적용하고 PIC45DE.gif=1000, PIC45DF.gif=0.005, PIC45EF.gif=0.1 그리고 PIC4600.gif=0.35일 때, BSS가 각각 0.75246, 0.73975, 0.75416, 0.73920로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4)4가지 입력 변수(PIC4611.gif, PIC4612.gif, PIC4622.gif, PIC4633.gif)에 대해 적용 범위를 설정하고 그 범위에 해당하는 하상변화를 분석하였다. 조합된 4가지 입력 변수에 대한 하상변화 계산치와 관측치 최심하상고와의 결과 비교를 통해 최적 변수를 채택을 고려하였다. 붕괴부 23km 하류에서 변화를 비교했을 때 PIC4644.gif의 값에 따라 약 15 m의 차이를 보여 변화가 가장 컸고, PIC4645.gif, PIC4665.gif, PIC4666.gif 순으로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홍수로 인한 흐름 및 하상변동의 검증, 민감도 분석과 최적 모형 성능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 및 결과들은 하상의 변화에 대한 관측값이 없는 하천에 대한 적용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정부(국민안전처)의 재원으로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MPSS-자연-2014-75).

References

1 
Ahn, J. and Yang, C. T. (2014). “Simulation of lateral migration of all American canal with semi-two 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8, No. 6, pp. 1896-1903.10.1007/s12205-014-0311-yAhn, J. and Yang, C. T. (2014). “Simulation of lateral migration of all American canal with semi-two 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8, No. 6, pp. 1896-1903.DOI
2 
Ahn, J. and Yang, C. T. (2015). “Determination of recovery factor for simulation of non-equilibrium sedimentation in reservoir.”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39, No. 1, pp. 68-73. 10.1016/S1001-6279(15)60007-5Ahn, J. and Yang, C. T. (2015). “Determination of recovery factor for simulation of non-equilibrium sedimentation in reservoir.”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39, No. 1, pp. 68-73.DOI
3 
Ahn, J. and Yen, H. (2015). “Semi-two dimensional numerical prediction of non-equilibrium sediment transport in reservoir using stream tubes and theory of minimum stream power.”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9, No. 6, pp. 1922-1929. 10.1007/s12205-014-0098-xAhn, J. and Yen, H. (2015). “Semi-two dimensional numerical prediction of non-equilibrium sediment transport in reservoir using stream tubes and theory of minimum stream power.”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9, No. 6, pp. 1922-1929.DOI
4 
Ahn, J., Yang, C. T., Boyd, P. M., Pridal, D. B. and Remus, J. I. (2013).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flushed from lewis and clark lake.”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28, No. 2, pp. 182-193.10.1016/S1001-6279(13)60030-XAhn, J., Yang, C. T., Boyd, P. M., Pridal, D. B. and Remus, J. I. (2013).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flushed from lewis and clark lake.”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28, No. 2, pp. 182-193.DOI
5 
Ahn, J. M. and Lyu S. W. (2013).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 Hama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7, pp. 707-717 (In Korean).10.3741/JKWRA.2013.46.7.707Ahn, J. M. and Lyu S. W. (2013).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 Hama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7, pp. 707-717 (In Korean).DOI
6 
Brooks, G. R. and Lawrence, D. E. (1999). “The drainage of the Lake Ha!Ha! reservoir and downstream geomorphic impacts along Ha!Ha! River, Saguenay area, Quebec, Canada.” Geomorphology, Vol. 28, No. 1-2, pp. 141-167.10.1016/s0169-555x(98)00109-3Brooks, G. R. and Lawrence, D. E. (1999). “The drainage of the Lake Ha!Ha! reservoir and downstream geomorphic impacts along Ha!Ha! River, Saguenay area, Quebec, Canada.” Geomorphology, Vol. 28, No. 1-2, pp. 141-167.DOI
7 
Capart, H., Spinewine, B., Young, D. L., Zech, Y., Brooks, G. R., Leclerc, M. and Secretan, Y. (2007). “The 1996 lake Ha! Ha! breakout flood, québec: Test data for geomorphic flood routing method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5, Extra Issue, pp. 97-109.10.1080/00221686.2007.9521836Capart, H., Spinewine, B., Young, D. L., Zech, Y., Brooks, G. R., Leclerc, M. and Secretan, Y. (2007). “The 1996 lake Ha! Ha! breakout flood, québec: Test data for geomorphic flood routing method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5, Extra Issue, pp. 97-109.DOI
8 
Choi, B. H. (2015). Disaster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Impro-vement Plans of Agricultural Reservoir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Choi, B. H. (2015). Disaster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Impro-vement Plans of Agricultural Reservoir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9 
CSTGB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1997). Rapport: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Quebec, Janvier 1997, p. 241.CSTGB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1997). Rapport: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Quebec, Janvier 1997, p. 241.Google Search
10 
Davies, A. G., van Rijn, L. C., Damgaard, J. S., van de Graaff, Jand J. and Ribberink, J. S. (2002), “Intercomparison of research and practical sand trans-port models.” Coastal Engineering, Vol. 46, No. 1, pp. 1-23.10.1016/S0378-3839(02)00042-XDavies, A. G., van Rijn, L. C., Damgaard, J. S., van de Graaff, Jand J. and Ribberink, J. S. (2002), “Intercomparison of research and practical sand trans-port models.” Coastal Engineering, Vol. 46, No. 1, pp. 1-23.DOI
11 
Ding, Y. and Altinakar, M. S. (2015). “Simulation and control of morphological changes due to dam removal in the Sandy River, Oregon, US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No. 367, pp. 207-214.10.5194/piahs-367-207-2015Ding, Y. and Altinakar, M. S. (2015). “Simulation and control of morphological changes due to dam removal in the Sandy River, Oregon, US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No. 367, pp. 207-214.DOI
12 
El kadi Abderrezzak, K. and Paquier, A. (2009).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and bed deformation in open chann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5, No. 5, W05404.10.1029/2008wr007134El kadi Abderrezzak, K. and Paquier, A. (2009).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and bed deformation in open chann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5, No. 5, W05404.DOI
13 
Garbrecht, J., Kuhnle, R. and Alonso, C. (1995). “A sediment transport capacity formulation for application to large channel network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0, No. 5, pp. 527-529.Garbrecht, J., Kuhnle, R. and Alonso, C. (1995). “A sediment transport capacity formulation for application to large channel network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0, No. 5, pp. 527-529.Google Search
14 
Gessese, A. and Yonas, M. (2008). “Prediction of sediment inflow to Legedadi reservoir using SWAT Watershed and CCHE1D.” Nile Basin Water Engineering Scientific Magazine, Vol. 1, pp. 65-74.Gessese, A. and Yonas, M. (2008). “Prediction of sediment inflow to Legedadi reservoir using SWAT Watershed and CCHE1D.” Nile Basin Water Engineering Scientific Magazine, Vol. 1, pp. 65-74.Google Search
15 
Hwang, S. D., Choi, S. H., Lee, S. J. and Jang, C. L. (2013). “Long-term riverbed change simulation and analisys in the river.”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1, No. 5. pp. 1-6 (In Korean).10.12672/ksis.2013.21.5.001Hwang, S. D., Choi, S. H., Lee, S. J. and Jang, C. L. (2013). “Long-term riverbed change simulation and analisys in the river.”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1, No. 5. pp. 1-6 (In Korean).DOI
16 
INRS-Eau (1997). Simulation hydrodynamique et bilan sédimentaire des rivières Chicoutimi et des Ha!Ha! suite aux crues excep-tionnelles de juillet 1996. Rapport INRS-Eau No. R487, Travaux realises pour le compte de la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p. 207.INRS-Eau (1997). Simulation hydrodynamique et bilan sédimentaire des rivières Chicoutimi et des Ha!Ha! suite aux crues excep-tionnelles de juillet 1996. Rapport INRS-Eau No. R487, Travaux realises pour le compte de la Commiss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sur la gestion des barrages, p. 207.Google Search
17 
Jeong, W. J., Ji, U. and Yeo, W. K. (2010). “Sensitivity analysis of bed changes for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formulas using the HEC-6 model -The lower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9, No. 10, pp. 1219-1227 (In Korean).10.5322/JES.2010.19.10.1219Jeong, W. J., Ji, U. and Yeo, W. K. (2010). “Sensitivity analysis of bed changes for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formulas using the HEC-6 model -The lower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9, No. 10, pp. 1219-1227 (In Korean).DOI
18 
Proffitt, G. T. and Sutherland, A. J. (1983). “Transport of non-uniform sediment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1, No. 1, pp. 33-43.10.1080/00221688309499448Proffitt, G. T. and Sutherland, A. J. (1983). “Transport of non-uniform sediment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1, No. 1, pp. 33-43.DOI
19 
Son, A. L., Kim, B. H., Moon, B. R. and Han, K. S. (2015). “An analysis of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bed protection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Vol. 35, No. 4, pp. 821-834 (In Korean).10.12652/Ksce.2015.35.4.0821Son, A. L., Kim, B. H., Moon, B. R. and Han, K. S. (2015). “An analysis of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bed protection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Vol. 35, No. 4, pp. 821-834 (In Korean).DOI
20 
Son, I. H., Kim, B. H. and Han, K. Y. (2015). “Flood risk analysis considering the sediment transport in a river.”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Gosung, Korea, pp. 132 (In Korean).Son, I. H., Kim, B. H. and Han, K. Y. (2015). “Flood risk analysis considering the sediment transport in a river.”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Gosung, Korea, pp. 132 (In Korean).Google Search
21 
Wu, W. (2008). Computational River Dynamics, Taylor & Francis Group, London, UK.Wu, W. (2008). Computational River Dynamics, Taylor & Francis Group, London, UK.Google Search
22 
Wu, W. and Vieira, D. A. (2002). One-dimensional channel network model CCHE1D version 3.0-Technical manual. Technical report No. NCCHE-TR-2002-1. National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Oxford, MS. Wu, W. and Vieira, D. A. (2002). One-dimensional channel network model CCHE1D version 3.0-Technical manual. Technical report No. NCCHE-TR-2002-1. National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Oxford, MS.Google Search
23 
Wu, W. and Wang, S. (2008). “Simulation of morphological evolution near sediment mining pits using a 1-D mixed-regime flow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pp. 1-10.10.1061/40976(316)473Wu, W. and Wang, S. (2008). “Simulation of morphological evolution near sediment mining pits using a 1-D mixed-regime flow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pp. 1-10.DOI
24 
Wu, W., Wang, S. S. Y. and Jia, Y. (2000). “Nonuniform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river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8, No. 6, pp. 427-434.10.1080/00221680009498296Wu, W., Wang, S. S. Y. and Jia, Y. (2000). “Nonuniform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river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8, No. 6, pp. 427-43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