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현대엔지니어링 구조부 공학박사 ()
  2.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스트럿-타이 모델, 슬래브-기둥 접합부, 비틀림 보, 교각코핑부
Strut-tie model, slab-column joint, torsional beam, bridge pier

  • 1. 서 론

  • 2.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 평가

  • 3.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 평가

  • 4. 교축방향 횡하중을 받는 교각코핑부의 설계

  • 5. 요약 및 결론

1. 서 론

현 논문의 전편에서는 현행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3차원 응력교란영역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 시 스트럿-타이 모델의 선정, 스트럿-타이 모델 구조형식의 결정, 그리고 스트럿 및 절점영역 유효강도의 결정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 절점에서 주변의 인접한 모든 절점들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3차원 기본격자요소들을 이용하는 스트럿-타이 모델 형성방법, 3차원 파괴면을 이용한 스트럿 및 절점영역의 유효강도 결정방법, 단순반복기법을 이용한 스트럿 및 타이의 축강성 결정방법, 그리고 최대단면적 개념을 이용한 스트럿 및 타이의 하중전달능력 검토방법 등의 새로운 개념을

현행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접목시킨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 연구에서는 이 논문의 전편에서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 및 효율성을 Yamada et al. (1992)에 의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13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강도해석, Hsu (1968) 및 Rasmussen & Baker (1995)에 의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51개의 비틀림 보의 강도해석, 그리고 3축방향의 하중을 받는 교각코핑부에 대한 설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현 연구의 방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 평가결과는 실험결과 및 BS 8110 (1997)과 ACI 318 (2011)의 양방향 전단설계규정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하였다.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 평가결과는 실험결과, AASHTO- LRFD (2010) 및 ACI 318 (2011) 등의 설계기준에 의한 평가결과, Hsu and Mo (1983) 및 Rahal and Collins (1996)의 방법에 의한 평가결과 등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3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교각코핑부에 대한 설계결과는 ACI 318의 단면법 및 AASHTO-LRFD의 스트럿-타이 모델 설계기준에 의한 설계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현 연구의 방법에 의한 설계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 평가

Table 1. Specifications of Slab-Column Joints

Specimens

Slab Size (PICF4E0.gif)

Col. Size

(PICF56E.gif)

PICF58E.gif

(PICF5AF.gif)

PICF5DE.gif

(PICF5FF.gif)

PICF61F.gif(%)

PICF63F.gif(%)

Failure Load

(PICF65F.gif)

T1

2000×2000

300×300

180

21.6 

1.23 

-

441

T2

23.4 

0.51

600

T3

23.7 

0.75

727

T4

24.4 

0.97

697

T5

22.7 

1.27

762

T6

24.3 

1.53

735

K1

26.0 

1.53 

-

658

K2

27.2 

0.25

950

K3

25.9 

0.5

1183

K4

27.4 

0.55

1153

K5

26.0 

1.11

1440

K6

26.4 

0.99

1274

K7

27.8 

1.98

1498

PICF6AF.gif: effective depth of slab; PICF6BF.gi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PICF6DF.gif, PICF70F.gif: flexural and shear reinforcement ratios

현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휨 인장철근비, 휨 압축철근비, 전단철근형태 및 전단철근비 등에 따른 강도 및 파괴거동을 평가할 목적으로 Yamada et al. (1992)에 의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13개의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 모두 양방향 전단에 의해 파괴되었으므로 각 접합부의 극한강도를 현 연구의 방법과 더불어 BS 8110 (1997) 및 ACI 318 (2011)의 양방향 전단설계기준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선정한 접합부의 제원 및 파괴하중은 Table 1과 같으며, 접합부의 기하학적 형상 및 휨철근의 배근상세는 Fig. 1과 같다. 전단철근의 배근상세는 참고문헌에 자세히 소개되어있다.

BS 8110 설계기준에 의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강도 PICF720.gif(kN)은 전단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Eq. (1)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PICF78E.gif (1)

여기서, PICF7DD.gif(MPa)는 큐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PICF81D.gif, PICF82E.gif= 실린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PICF84E.gif(mm)는 위험단면의 둘레길이(=PICF88D.gif; PICF89E.gif(mm) = 수평하중과 나란한 방향의 기둥 단면의 길이; PICF8AF.gif(mm) = 수평하중과 직교한 방향의 기둥 단면의 길이; PICF8BF.gif(mm)는 슬래브 단면의 유효깊이), PICF8DF.gif (PICF90F.gif), PICF910.gif는 슬래브 인장 철근비(0.0015PICF940.gif0.03)이다.

ACI 318 설계기준에 의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강도 PICF941.gif(kN)은 슬래브의 양방향 전단설계기준, 즉 전단철근이 없는 슬래브의 경우 Eq. (2)를, 전단철근이 있는 슬래브의 경우 Eq. (3)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PICF9CF.gif 

PICFA0E.gif (2)

PICFA8C.gif (3)

여기서, PICFAAD.gif(mm)는 위험단면의 둘레길이(=PICFB1B.gif), PICFB2C.gif는 기둥단면의 단변길이에 대한 장변길이의 비(= PICFB3C.gif), PICFB4D.gif는 기둥의 위치에 따른 계수(내부기둥 = 40, 외부기둥 = 30, 모서리기둥 = 20)이다. Eqs. (1)~(3)에 의한 전단강도 평가과정은 간단하므로, 그 과정의 소개는 생략한다.

PICFBBB.jpg

PICFCB6.jpg

PICFDFF.jpg

Fig. 1. Geometrical Shape and Reinforcement Details of Slab-Column Joints (Ghannoum, 1998)

PICFF0A.jpg

PICFFC6.jpg

(a) Finite Element Model

(b) Compressive Principal Stress Flow

PIC93.jpg

PIC14F.jpg

(c) Strut-Tie Model

(d) Dimensioned Strut-Tie Model

Fig. 2. 3-Dimensional Strut-Tie Model for Slab-Column Joint T5

현 연구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는 전편논문 3장에서 소개한 선형 및 비선형 해석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극한강도 평가과정은 접합부 시험체 T5를 대상으로 소개하였다. 이 접합부의 극한강도 평가를 위하여 먼저 8-절점 무근콘크리트 고체유한요소를 사용하여 Fig. 2(a)와 같은 유한요소모델을 선정하였다. 외부하중은 해당하는 유한요소절점에 집중하중으로 작용시켰으며, 경계조건으로는 아래쪽 기둥의 바닥면 중앙에 해당하는 절점에 힌지를, 그 외의 절점에 수평방향의 롤러를 부여하였다. Fig. 2(b)의 압축주응력 흐름, 휨 인장철근의 배근위치, 피복두께, 그리고 기본격자요소의 두 방향 가로세로비 등을 고려하여 83개의 기본격자요소로 구성된 Fig. 2(c)와 같은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선정하였다. 스트럿-타이 모델의 외부하중은 스트럿-타이 모델 각 절점의 하중분담면적을 고려하여 분포하중으로 작용시켰으며, 경계조건으로는 기둥부 최하단에 힌지를 부여하였다. 전편논문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스트럿과 타이의 유효강도, 필요단면적, 축강성을 결정하였으며,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조해석을 통해 Fig. 2(d)와 같은 스트럿-타이 모델의 기하학적 적합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스트럿-타이 모델이 받을 수 있는 최대하중을 결정하였다. 선형 해석절차에 의한 접합부 T5의 최대하중은 실험파괴하중의 92%인 701.0kN으로 결정되었으며, 이 하중 상태에서 콘크리트 스트럿, 철근 타이, 그리고 절점영역 등의 강도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편논문 3장의 선형 해석절차 및 Table 1에서 규정한 극한하중의 정의에 따라 이 접합부의 최대하중을 극한강도로 결정하였다. 비선형 해석절차에 의한 접합부 T5의 최대하중은 실험파괴하중의 94%인 716.3kN으로 결정되었으며, 이 하중을 접합부 T5의 스트럿-타이 모델에 20회의 증분하중으로 작용시켜 3차원 트러스 구조의 재료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 단계의 증분하중이 작용할 때까지 접합부 T5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조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실험파괴하중의 94%인 716.3kN (=716.3 × 20/20)을 이 접합부의 극한강도로 결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12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다.

각 방법을 이용한 13개 접합부에 대한 극한강도 평가결과는 Fig. 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BS 8110 및 ACI 318 설계기준은 각각 1.31 및 1.86의 실험파괴하중 비와 30.8% 및 40.9%의 변동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접합부의 강도를 실제보다 많이 보수적으로 평가할 뿐 아니라 평가결과의 변동 또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선형 및 비선형 해석절차는 각각 1.19 및 1.03의 실험파괴하중 비 및 16.3% 및 12.7%의 변동계수를 나타내어 실제 접합부의 강도를 일관적으로 잘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차원 거동이 지배적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해석 및 설계 시 현 연구의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IC17F.jpg

PIC19F.jpg

(a) BS 8110's Sectional Method

(b) ACI 318-11's Sectional Method

PIC1CF.jpg

PIC1EF.jpg

(c) Present Linear Method

(d) Present Nonlinear Method

Fig. 3. Ultimate Strengths of Slab-Column Joints

3.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 평가

현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횡 및 종방향 철근비, 부재의 종방향 길이, 콘크리트의 강도, 횡 및 종방향 철근의 간격 등에 따른 강도 및 파괴거동을 평가할 목적으로 Hsu (1968)와 Rasmussen and Baker (1995)에 의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51개의 비틀림 보를 선정하였다. 각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는 현 연구의 방법, AASHTO-LRFD (2010) 및 ACI 318 (2011)의 비틀림 설계기준, Hsu and Mo (1983) 및 Rahal and Collins (1996)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선정한 비틀림 보의 제원은 Table 2와 같으며, 비틀림 보의 배근상세 및 기하학적 형상은 Fig. 4와 같다.

Table 2. Specification of Torsional Beams

Investi- gators

Torsional Beams

(3)

PIC210.gif

(MPa)

PIC211.gif

(MPa)

PIC221.gif

(MPa)

PIC232.gif

(%)

PIC242.gif

(mm)

PIC253.gif

(%)

Failure Load

(kN·m)

(1)

Group B

10

26.0

~29.0

313.7

~334.4

318.5

~342.7

0.534

~2.670

56.5

~181.0

0.537

~2.610

22.3

~61.7

Group M

6

26.5

~30.5

317.8

~335.1

326.1

~357.2

0.827

~3.160

69.9

~149.2

0.549

~2.130

30.4

~60.1

Group I

5

44.7

~45.8

310.2

~343.4

325.4

~348.9

0.827

~2.670

57.2

~127.0

0.832

~2.610

36.0

~76.7

Group J

4

14.3

~16.9

319.9

~338.5

331.6

~346.1

0.534

~1.600

92.1

~152.4

0.537

~1.610

21.5

~40.7

Group G

8

26.8

~31.0

319.2

~338.5

321.3

~349.6

0.400

~1.580

85.7

~187.3

0.402

~1.600

26.8

~73.5

Group N

6

27.3

~30.4

330.9

~352.3

337.8

~360.6

0.611

~1.420

50.8

~92.1

0.622

~1.420

9.0

~15.7

(2)

Group B30

3

36.3

~41.7

604.7

~637.8

665.3

~672.2

3.521

89.9

1.5

15.3

~16.6

Group B50

3

57.1

~61.8

612.3

~614.3

665.3

3.521

89.9

1.5

18.5

~20.0

Group B70

3

76.2

~77.3

614.3

~617.1

655.7

~663.3

3.521

89.9

1.5

20.1

~21.0

Group B110

3

105.0

~109.8

617.8

~634.3

655.0

~659.8

3.521

89.9

1.5

23.6

~24.8

(1): Hsu(1968); (2): Rasmussen & Baker(1995); (3): number of torsional beams; PIC293.gif, PIC2B3.gif: yield strength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einforcements; PIC2D3.gif, PIC2F3.gi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einforcement ratios; PIC304.gif: spacing of transverse reinforcement

PIC3B1.jpg

PIC400.jpg

PIC420.jpg

(a) Hsu (1968)

(b) Rasmussen and Baker (1995)

Fig. 4. Geometrical Shapes and Reinforcement Details of Torsional Beams

AASHTO-LRFD 및 ACI 318 설계기준에 의한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는 Eq. (4)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PIC450.gif (4)

여기서, PIC470.gif(PIC491.gif, PIC4A1.gif=횡방향 철근의 중심선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는 전단흐름의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유효면적을, PIC4B2.gif, PIC4C2.gif, PIC4F2.gif는 각각 횡방향 철근의 단면적, 항복강도,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PIC4F3.gif는 콘크리트 스트럿의 경사각으로써, AASHTO-LRFD 설계기준의 적용 시 PIC504.gif는 공칭전단응력 및 보의 축방향 변형률의 영향을 고려하는 5.8.3절의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ACI 318 설계기준의 적용 시 비틀림 보는 모두 프리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므로 PIC515.gif를 45o로 취하였다.

전통적인 공간 트러스 모델 방법에 콘크리트 스트럿의 연화현상을 반영한 Hsu and Mo의 방법과 이를 단면형상 및 부재종류에 따른 적용성 측면에서 좀 더 개선시킨 Rahal and Collins의 방법은 가정과 확인의 반복과정, 다양한 변수를 반영하기 위한 많은 수의 방정식, 복잡한 계산과정 등을 필요로 한다. 현 논문에서는 이들 방법에 대한 설명은 각 참고문헌으로 대신한다.

현 연구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는 전편논문 3장에서 소개한 비선형 해석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극한강도 평가과정은 Hsu (1968)의 비틀림 보 J2를 대상으로 소개하였다. 이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 평가를 위하여 먼저 3차원 8-절점 무근콘크리트 고체유한요소를 사용하여 비틀림 보 반쪽의 유효길이 영역에 대한 Fig. 5(a)와 같은 유한요소모델을 선정하였다. 비틀림 보의 단부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은 yz-면 전체에 선형분포 시켰다. 경계조건으로는 비틀림 보의 중앙대칭면의 모든 절점에 3차원 힌지를 부여하였다. Fig. 5(b)는 유한요소모델의 선형탄성해석을 통해 얻은 압축주응력의 크기와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압축주응력 흐름, 종방향 및 횡방향 철근의 배근위치, 피복두께, 그리고 기본격자요소의 두 방향 가로세로비 등을 고려하여 42개의 기본격자요소로 구성된 Fig. 5(c)와 같은 스트럿-타이 모델을 선정하였다. 스트럿-타이 모델의 외부하중은 모델 단부 yz-면의 각 절점의 하중분담면적을 고려하여 분포하중으로 작용시켰으며, 경계조건으로는 3차원 힌지를 Fig. 5(a)의 경우와 유사하게 부여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럿과 타이의 유효강도, 필요단면적, 축강성을 결정하였으며,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조해석을 통해 Fig. 5(d)와 같은 스트럿-타이 모델의 기하학적 적합조건을 만족시키면서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이 받을 수 있는 최대하중을 결정하였다. 비틀림 보 J2의 최대하중은 실험파괴하중의 190%인 55.4N-m로서, 이 하중은 Fig. 5(c)의 125번 및 126번 스트럿의 필요단면적이 이들 요소의 최대단면적과 같을 때의 스트럿-타이 모델이 받는 하중이다. 최대하중을 40회의 증분하중으로 작용시켜 3차원 트러스 구조의 재료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한 결과 20번째 증분하중 단계에서 이후 스트럿-타이 모델이 불안정한 트러스 구조가 되었다. 따라서 현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비선형 해석절차에 따라 최대하중의 50%, 즉 실험파괴하중의 95%인 27.7kN-m를 이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로 결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50개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다.

PIC5C1.jpg  PIC611.jpg

PIC71B.gif

(a) Finte Element Model

(b) Compressive Principal Stress Flow

PIC8C2.jpg

PIC9AD.gif  PICA5A.gif

(c) Strut-Tie Model

(d) Dimensioned Strut-Tie Model

Fig. 5. 3-Dimensional Strut-Tie Model for Torsional Beam J2

Table 3. Ultimate Strengths of Torsional Beams

PICA8A.gif

Investigators

Hsu & Mo (1983)

Rahal & Collins (1995)

AASHTO-LRFD (2010)

ACI 318-11 (2011)

Present Approach

Hsu (1968)

0.98

1.00

0.66

1.02

1.08

Rasmussen & Baker (1995)

0.55

0.59

0.34

0.64

1.05

Average 

0.88

0.90

0.59

0.93

1.07

COV (%)

22.1

23.6

32.6

29.5

21.6

각 방법을 이용한 51개 비틀림 보에 대한 극한강도 평가결과는 Table 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Hsu and Mo의 방법, Rahal and Collins의 방법, AASHTO-LRFD 및 ACI 318 설계기준에 의한 실험파괴하중 비의 평균과 변동계수는 각각 0.88, 0.90, 0.59, 0.93과 22.1%, 23.6%, 32.6%, 29.5%로, 접합부의 강도를 실제보다 과소대평가할 뿐 아니라 평가결과의 변동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 연구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값은 각각 1.07 및 21.6%로, 실제 접합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일관성 있게 잘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차원 거동이 지배적인 비틀림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현 연구의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교축방향 횡하중을 받는 교각코핑부의 설계

PICB66.jpg

Fig. 6. Design Conditions of Pier Coping

현 연구의 방법이 하나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하중조합을 갖는 3차원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충실단면의 원형교각 상부에 다섯 개의 받침부가 있으며 전단지간대 유효깊이의 비 PICFDC.gif가 1.25인 T형 교각코핑부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선정한 교각코핑부의 설계조건은 Fig. 6과 같다.

현 연구의 방법에 의한 교각코핑부의 설계는 모든 하중조합에 대해 Fig. 7(a)와 같은 3차원 무근콘크리트 유한요소모델과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전편논문 3장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성 시 두 방향 가로세로비가 0.96 및 1.09인 기본격자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교각코핑부의 경사진 영역 및 교각기둥의 원형 영역의 기하학적 형상을 반영하기 위해 형상을 변형시킨 격자요소를 사용하였다. 스트럿 및 타이의 강도감소계수로는 각각 0.75 및 0.9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AASHTO- LRFD (2010) 설계기준의 것과 동일하다. Fig. 7(b)는 각 하중조합에 대한 차원화된 스트럿-타이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Fig. 7(b)의 하중조합 1에서는 기둥에 인접해 있는 2, 3, 4 받침부의 설계하중이 직선의 스트럿에 의해 교각으로 전달되며, 바깥쪽 1, 5 받침부의 설계하중은 곡선의 스트럿에 의해 교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b)의 하중조합 2와 3은 교축 또는 교축직각 방향의 설계하중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설계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설계결과는 현 연구의 방법이 설계대상 구조부재의 실제 압축주응력 흐름 및 기존의 2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서는 고려하지 못하는 교축방향의 횡하중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설계를 가능하게 함을 보여준다. Fig. 7(b)의 각 하중조합에 대한 콘크리트 스트럿의 필요단면적은 교각코핑부의 설계조건 및 기본격자요소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콘크리트 스트럿의 최대단면적을 초과하지 않아 스트럿-타이 모델의 기하학적 적합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절점영역 또한 설계하중을 전달함에 있어 강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하중조합을 고려한 Fig. 7(a)의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철근 타이의 필요단면적 중 가장 큰 값을 철근 타이의 유효면적 내에 배치해야할 주 철근의 면적으로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성을 감안하여 교축 및 교축직각 방향의 주철근과 수직방향의 전단철근의 양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현 연구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설계결과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Fig. 6의 교각코핑부를 ACI 318-11의 단면법, ACI 318-11의 내민받침 설계기준, ACI 318-99의 깊은 보 설계기준, 그리고 Fig. 8과 같은 현행 여러 설계기준에서 권장하는 아치 및 트러스 메커니즘의 단순 스트럿-타이 모델 등을 이용하여 가장 위험한 설계하중인 하중조합 1에 대해 수행하였다. Fig. 8의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절점 F 및 G의 수직위치는 교각코핑부와 교각기둥이 만나는 면에서 위쪽으로 20cm 떨어진 곳으로 취하였다. 이 위치는 Fig. 7의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의 교각코핑부와 교각기둥이 위치한 곳의 기본격자요소의 절점위치와 동일한 곳이다. 또한 Fig. 8의 절점 F 및 G의 수평위치는 Fu (2001)의 교각코핑부 스트럿-타이 모델과 같이 원형 교각기둥을 정사각형 교각기둥으로 변환했을 때의 기둥 외곽과 기둥중심의 중앙점으로 취하였다. 이들 두 절점의 수평위치는 Fig. 8의 교각기둥에 위치한 수직 스트럿의 필요단면적을 고려할 때 교각기둥 중심에서 외곽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PIC105A.jpg

PIC10C8.jpg

(a) Finite Element Model and Strut-Tie Model

PIC1127.jpg

PIC11E3.jpg

PIC1223.jpg

(b) Dimensioned Strut-Tie Model

Fig. 7. 3-Dimensional Strut-Tie Model for Pier Coping

PIC1281.jpg

(a) Arch Mechanism

PIC12E0.jpg

(b) Truss Mechanism

Fig. 8. 2-Dimensional Strut-Tie Models for Pier Coping

Fig. 9는 하중조합 1에 대해 각 설계방법으로 결정한 필요철근량을 나타낸 것으로, 각 방법에 의한 설계결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비롯한 단순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휨철근량이 브래킷 및 깊은 보 설계기준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래킷 및 깊은 보 설계기준에서는 휨에 대한 위험단면을 교각기둥의 외곽면(Fig. 8의 단면 S-S)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교각기둥 단면의 외측에 위치한 Fig. 7의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및 Fig. 8의 단순 스트럿-타이 모델의 절점의 수직 및 수평위치를 교각코핑부와 교각기둥이 만나는 수직위치 및 교각기둥의 외곽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면, 즉 2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의 경우 Fig. 8의 절점 F 및 G의 위치를 각각 F’ 및 G’의 위치로 이동시킨다면,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필요 휨철근량은 브래킷 및 깊은 보 설계기준에 의한 필요 휨철근량에 근접해질 것이다. 둘째, Fig. 8의 2차원 트러스 메커니즘의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수직 전단철근량이 현 연구의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차원 트러스 메커니즘의 모델은 하중판 1 및 5에 작용하는 하중의 대부분을 트러스 메커니즘을 통해서 교각기둥으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나, 현 연구의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은 이들 하중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아치 및 트러스 메커니즘의 조합을 통해 전달하기 때문이다. 즉 현 연구의 모델은 하중판 1 및 5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아치 메커니즘을 통해 교각기둥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며, 하중의 나머지를 트러스 메커니즘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단경간비가 1.25인 본 예제의 경우에 가장 적합한 Kim and Yun (2011), FIB (2010), Foster and Gilbert (1998) 등이 제안한 아치 및 트러스 메커니즘을 조합시킨 깊은 보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이상의 교각코핑부의 설계로부터 현 연구의 방법은 하나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하중조합을 갖는 3차원 콘크리트 구조부재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구조부재 내부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 요약 및 결론

PIC139D.jpg

Fig. 9. Required Reinforcement of Pier Coping for Load Case 1

현행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스트럿-타이 모델의 선정, 스트럿-타이 모델 구조형식의 결정, 그리고 스트럿 및 절점영역 유효강도의 결정, 그리고 이로 인한 실무 적용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현 논문의 전편에서는 전통적인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기본개념을 기본격자요소를 접목시켜 3차원 설계영역으로 확장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전통적인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비해 기본격자요소를 이용한 스트럿-타이 모델의 형성방법, 3차원 파괴면을 이용한 스트럿 및 절점영역 유효강도의 결정방법, 단순반복기법을 이용한 스트럿 및 타이의 축강성 결정방법, 그리고 기본격자요소의 최대단면적의 정의를 통한 스트럿-타이 모델의 기하학적 적합조건 검토방법 등의 새로운 개념이 추가되었다. 현 연구에서는 제안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파괴실험이 수행된 13개의 슬래브-기둥 접합부와 51개의 비틀림 보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교축방향의 횡하중을 포함하여 3개의 하중조합을 갖는 교각코핑부를 설계하였다. 그 결과를 BS 8110, ACI 318, AASHTO-LRFD 등의 세계 주요 설계기준에 의한 것과 비교하였다. 현 연구의 방법은 파괴실험이 수행된 구조부재의 극한강도를 기존의 방법들에 의한 것보다 일관되며 향상되게 평가하였으며, 여러 하중조합 하에서의 각 하중전달 메커니즘에 부합하는 실제 거동에 기초한 교각코핑부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현 연구의 방법이 복잡한 하중조건 및 기하학적 형상조건으로 인해 3차원 응력교란영역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부재 해석 및 설계 시 기존의 전통적인 설계기준이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이 갖는 불확실성과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종류의 3차원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해석 및 설계에 적용하여 현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더욱 면밀히 평가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1-0002920)을 밝히며, 연구비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10).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5th Edition, Washington, D.C., USA.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10).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5th Edition, Washington, D.C., USA.Google Search
2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1).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M-11)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chigan, USA.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1).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M-11)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chigan, USA.Google Search
3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1997). Structural use of concrete: BS 8110, Milton Keynes, UK.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1997). Structural use of concrete: BS 8110, Milton Keynes, UK.Google Search
4 
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 (2010). CEP-FIP model code 2010,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Lausanne, Switzerland.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 (2010). CEP-FIP model code 2010,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Lausanne, Switzerland.Google Search
5 
Foster, S. J. and Gilbert, R. I. (1998). “Experimental studies on high-strength concrete deep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5, No. 4, pp. 382-390.Foster, S. J. and Gilbert, R. I. (1998). “Experimental studies on high-strength concrete deep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5, No. 4, pp. 382-390.Google Search
6 
Fu, C. C. (2001). The strut-and-tie model of concrete structures, The Bridge/Building Engineering Software & Technology (BEST)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Maryland, USA.Fu, C. C. (2001). The strut-and-tie model of concrete structures, The Bridge/Building Engineering Software & Technology (BEST)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Maryland, USA.Google Search
7 
Hsu, T. T. C. (1968). “Torsion of structural concrete.” ACI Journal, Vol. 18, pp. 261-306. Hsu, T. T. C. (1968). “Torsion of structural concrete.” ACI Journal, Vol. 18, pp. 261-306.Google Search
8 
Hsu, T. T. C. and Mo, Y. L. (1983). Softening of concrete in torsional members, Research Report No. ST-TH-001-83,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Houston, Texas, USA.Hsu, T. T. C. and Mo, Y. L. (1983). Softening of concrete in torsional members, Research Report No. ST-TH-001-83,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Houston, Texas, USA.Google Search
9 
Kim, B. H. and Yun, Y. M. (2011). “An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and load distribution ratio for RC deep beams - (I) Model & Load Distribution Ratio.”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Vol. 14, No. 6, pp. 1031-1042.10.1260/1369-4332.14.6.1031Kim, B. H. and Yun, Y. M. (2011). “An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and load distribution ratio for RC deep beams - (I) Model & Load Distribution Ratio.”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Vol. 14, No. 6, pp. 1031-1042.DOI
10 
Rahal, K. N. and Collins, M. P. (1995). “Analysis of sections subjected to combined shear and torsion - A Theoretical Model.” ACI Structural Journal, Vol. 92, No. 4, pp. 459-469.Rahal, K. N. and Collins, M. P. (1995). “Analysis of sections subjected to combined shear and torsion - A Theoretical Model.” ACI Structural Journal, Vol. 92, No. 4, pp. 459-469.Google Search
11 
Rasmussen, L. J. and Baker, G. (1993). “Torsion in reinforced normal an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 Part 1: Experimental Test Serie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2, No. 1, pp. 56-62.Rasmussen, L. J. and Baker, G. (1993). “Torsion in reinforced normal an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 Part 1: Experimental Test Serie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2, No. 1, pp. 56-62.Google Search
12 
Yamada, T., Nanni, A. and Endo, K. (1992). “Punching shear resistance of flat slabs: Influence of Reinforcement Type and Ratio.” ACI Structural Journal, Vol. 88, No. 4, pp. 555-563.Yamada, T., Nanni, A. and Endo, K. (1992). “Punching shear resistance of flat slabs: Influence of Reinforcement Type and Ratio.” ACI Structural Journal, Vol. 88, No. 4, pp. 555-56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