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종신회원 ․ 교신저자 ․ 한라대학교 도시인프라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 Halla University ․ cmwon@halla.ac.kr)



첨가질량, 복합적층판, 고유진동수, 자중무시
Attached mass, Composite laminated plate, Natural frequency, Neglecting self-weight

1. 서 론

교량, 공장, 빌딩의 슬래브와 같은 다양한 구조부재는 자기 자중 이외에 첨가질량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공학자들에게는 첨가질량이 작용하는 구조부재의 고유진동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이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Pretlover는 효과적인 질량 개념을 도입하여 첨가질량이 작용하는 보의 진동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Pretlover, 1987).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보에만 적용 가능하며, 특히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의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의 고유진동수를 계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치해석 방법은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해를 구하기데 어려움이 따른다.

Kim은 임의의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는 처짐 영향계수를 이용하여 보와 타워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Kim, 1974). 이 방법은 1989년 일본 첨단재료기술협회 국제학회(JISSE I)에서 복합적층판의 제1모드 고유진동주파수를 구하는데 적용되어 2차원 부재의 진동해석으로 확장되었으며(Kim et al., 1989), 이후 1997년 첨가질량이 있는 양단 단순지지 타단 자유단의 경계조건을 갖는 특별직교이방성 복합적층판의 고유진동수 해석을 위해 Kim의 방법이 이용되었으며 해석의 간편성을 분석하였다(Hong et al., 1997). 원은 임의의 경계조건을 갖는 특별직교이방성 복합적층판의 형상비에 따라 Kim의 방법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본 해석방법의 정밀성과 간편성을 확인하였다(Won, 2002). 2006년에는 적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사등방성을 나타내는 $[\alpha\beta]_{r}$,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alpha\beta\beta\gamma\alpha\alpha\beta]_{r}$형태의 복합적층판이 사변 단순지지되고 $\alpha =-\beta$일 때 횡방향 하중과 등분포 축하중하에서 고유진동수 해석결과가 발표되었다(Won et al., 2006).

본 논문에서는 상기 Kim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중과 임의의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을 대상으로, 적층 수, 섬유 보강 방향, 첨가질량의 크기 및 위치와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가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매개변수에 대해 자중을 무시하고 첨가질량만을 고려한 해석한 결과와 자중을 고려한 해석결과의 비율을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판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시, 비교적 간단하게 계산되는 자중을 무시한 해석결과로부터 자중을 고려한 실제 고유진동수를 유추할 수 있도록 설계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해석 방법

해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에 이미 발표된(Won et al., 2006) 일부 내용을 본 논문에서 다시 제시하였다.

반복구조물의 고유진동수는 공명 상태에서 구조물의 처짐 모드 형상에 따라 확산하기 시작하는 주파수로 정의된다. 자유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처짐으로부터, 해당 처짐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관성력을 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결정된 모드 형상이 충분히 정확하다면, 반복 계산과정에서 수렴된 값과 바로 이전 값 사이의 상대적인 최대 처짐은 관성력 하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조물의 진동은 조화운동(harmonic motion)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진동의 진폭 형상은 삼각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 1모드만을 고려할 경우, 구조부재의 처짐 형상은 다음 eq. (1)과 같이 표현된다.

(1)
$w(x,\: y,\: t)=W(x,\: y)F(t)=W(x,\: y)\sin\omega t$

여기서 W는 최대 진폭, ω는 고유 진동 주파수, t는 시간이다.

Newton의 운동법칙에 따라 진동하는 질량 m의 동적 관성력은 다음 eq. (2)와 같이 표현된다.

(2)
$F=m\dfrac{\partial^{2}w}{\partial t^{2}}$

eq. (1)을 eq. (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eq. (3)을 얻을 수 있다.

(3)
$F=-m(\omega)^{2}W(x,\: y)\sin\omega t$

여기서 ω와 W는 미지수이다. 고유진동수 ω를 구하기 위해, 구조물의 특정 위치에서 최대 처짐의 진폭을 임의로 설정한다.

(4)
$w(i,\: j)^{(1)}=W(i,\: j)^{(1)}$

여기서 (i, j)는 계산에 고려된 지점 좌표를 의미한다. 이 값은 절대적인 값이 아니며, 경험적으로 적절한 값을 가정하는 것이 수렴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후 이 최대 진폭에 대응하는 동적 관성력은 다음 eq. (5)로 표현된다.

(5)
$F(i,\: j)^{(1)}=-m(i,\: j)[\omega(i,\: j)^{(1)}]^{2}w(i,\: j)^{(1)}$

이 관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변위는 처짐 영향계수를 이용하여 다음 eq. (6)으로 계산할 수 있다.

(6)
$w(i,\: j)^{(2)}=f\left(m(i,\: j)[\omega(i,\: j)^{(1)}]^{2}w(i,\: j)^{(1)}\right)$ $=\Sigma\Delta(i,\: j,\: k,\: l)\left(-m(i,\: j)[\omega(i,\: j)^{(1)}]^{2}w(i,\: j)^{(1)}\right)$

여기에서 $\Delta(i,\: j)$는 처짐에 대한 영향계수(deflection influence coefficient)이다.

공진 상태에서는 구조부재의 모든 지점에서 eq. (4)와 eq. (6)으로 계산된 변위가 동일해야 하므로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7)
$w(i,\: j)^{(1)}/w(i,\: j)^{(2)}=1$

eq. (7)로부터 각 지점의 고유진동수 ω(i, j)(1) 값을 계산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이 값은 지점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구조부재의 고유진동수는 부재의 모든 지점에서 동일해야 하므로 ω(i, j) 값이 모든 지점에서 충분히 동일해질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사이클(Cycle)에서 계산된 ω(i, j)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공학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며, 평균값을 사용하거나 최대 처짐 지점의 ω(i, j) 값을 선택하여 해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사이클에서는 다음 eq. (8)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 절대 처짐값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수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8)
$w(i,\: j)^{(3)}=f\left(m(i,\: j)[\omega(i,\: j)^{(2)}]^{2}w(i,\: j)^{(2)}\right)$

실제 설계 과정에서는 구조요소의 자중을 무시하므로써 진동해석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자중을 무시한 판에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P가 작용하는 경우, 임계 원진동수(critical circular frequency)는 다음 eq. (9)로 표현된다.

(9)
$\omega_{n}=\sqrt{\dfrac{g}{\delta_{st}}}$

여기서 $\delta_{st}$는 정적 처짐량이다.

자중을 무시하고 첨가질량만 고려하여 고유진동수를 계산할 경우, eq. (6) and (7)에 다음 eq. (10)으로 계산된 $[\omega(i,\: j)]^{2}$을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10)
$[\omega(i,\: j)]^{2}=\dfrac{1}{\left\{\Delta(i,\: j,\: i,\: j)・\dfrac{P(i,\: j)}{g}\right\}}$

여기서 $P(i,\: j)=N·q·a·b$이다.

판의 자중과 첨가질량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에는 다음 eq. (11)을 사용할 수 있다.

(11)

$w(i,\: j)^{(1)}=w(i,\: j)^{(2)}$

$=\left\{\sum^{k,\: l}\Delta(i,\: j,\: k,\: l)・m(k,\: l)・w(k,\: l)^{(1)}\right.$

$\left. +\sum^{m,\: n}\Delta(i,\: j,\: m,\: n)・\dfrac{P(m,\: n)}{g}・w(m,\: n)^{(1)}\right\}・[\omega(i,\: j)^{(1)}]^{2}$

여기서, (m, n)은 첨가질량의 위치이다. 따라서 판의 자중 무시 효과는 eq. (10)과 eq. (11)의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복합재료 구조물을 포함하여 불규칙한 단면과 이상적인 지지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경계조건과 관계없이 판을 여러 개의 요소로 분할하여 해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계산 결과의 정확성은 처짐 계산의 정밀도에 비례함이 확인되었다.

2.2 복합적층판의 영향계수

본 연구에서 고려한 복합적층판은 적층 수가 증가할수록 연계강성(coupling stiffness)이 감소하게 되어, 특별직교이방성(special orthotropic) 판의 해석 방정식을 적용할 경우 매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횡방향 하중 q(x, y)을 받는, 사변 단순지지된 특별직교이방성 적층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열과 습열효과는 무시하였다.

해당 판의 처짐과 외력은 다음 eq. (12) and (13) 같이 이중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로 표현할 수 있다.

(12)
$w(x,\: y)=\sum_{m=1}^{\infty}\sum_{n=1}^{\infty}w_{mn}\sin\dfrac{{m}\pi{x}}{{a}}\sin\dfrac{{n}\pi{y}}{{b}}$
(13)
$q(x,\: y)=\sum_{m=1}^{\infty}\sum_{n=1}^{\infty}q_{mn}\sin\dfrac{{m}\pi{x}}{{a}}\sin\dfrac{{n}\pi{y}}{{b}}$

여기서 a, b는 판의 길이 및 폭을 의미하며, m, n은 푸리에 급수의 항 번호를 나타낸다.

특별직교이방성 적층판의 지배방정식은 다음 eq. (14)와 같다.

(14)
$D_{11}\dfrac{\partial^{4}w}{\partial x^{4}}+2D_{3}\dfrac{\partial^{4}w}{\partial x^{2}\partial y^{2}}+D_{22}\dfrac{\partial^{4}w}{\partial y^{4}} = q(x,\: y)$

여기서 $D_{3}=D_{12}+2D_{66}$이다.

eq. (12) and (13)을 eq. (14)에 대입하고 m, n의 정해진 값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 eq. (15)와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15)
$w_{mn}=\dfrac{q_{mn}}{\pi^{4}\times DEN}$

여기서

(16)
$DEN=D_{1 1}\left(\dfrac{m}{a}\right)^{4}+2D_{3}\left(\dfrac{m}{a}\right)^{2}\left(\dfrac{n}{b}\right)^{2}+D_{22}\left(\dfrac{n}{b}\right)^{4}$

단순지지된 특별직교이방성 적층판에 대하여, Fig. 1과 같이 직사각형 면적 $u\times v$에 균등하게 분포된 부분하중 $q(x,\: y)$가 작용할 때 m과 n의 고정된 값에 대한 푸리에 계수 $q_{mn}$은 다음 eq. (17)과 같다.

(17)
$$\begin{aligned} q_{m n}= & \frac{4 q}{a b u v} \int_{\xi-u / 2}^{\xi+u / 2} \int_{\eta-v / 2}^{\eta+v / 2} \sin \left(\frac{\mathrm{~m} \pi \mathrm{x}}{\mathrm{a}}\right) \sin \left(\frac{\mathrm{n} \pi \mathrm{y}}{\mathrm{~b}}\right) \mathrm{dy} \mathrm{dx} \\ = & \frac{16 q}{\pi^2 m n u v} \sin \left(\frac{\mathrm{~m} \pi \xi}{\mathrm{a}}\right) \sin \left(\frac{\mathrm{n} \pi \eta}{\mathrm{~b}}\right) \\ & \times \sin \left(\frac{\mathrm{m} \pi \mathrm{u}}{2 a}\right) \sin \left(\frac{\mathrm{n} \pi \mathrm{v}}{2 \mathrm{~b}}\right) \end{aligned}$$

$u arrow 0$이고 $v arrow 0$인 집중하중의 경우에 eq. (17)은 다음 eq. (18)로 된다.

(18)
$$ \lim _{u \rightarrow 0} \sin \left(\frac{\mathrm{~m} \pi \mathrm{u}}{2 \mathrm{a}}\right)=\frac{\mathrm{m} \pi \mathrm{u}}{2 \mathrm{a}}, \quad \lim _{v \rightarrow 0} \sin \left(\frac{\mathrm{n} \pi \mathrm{v}}{2 \mathrm{~b}}\right)=\frac{\mathrm{n} \pi \mathrm{v}}{2 \mathrm{~b}} $$

eq. (18)을 eq. (17)에 대입하면 다음 eq. (19)와 같이 된다.

(19)
$$ q_{m n}=\frac{4 q}{a b} \sin \left(\frac{\mathrm{~m} \pi \xi}{\mathrm{a}}\right) \sin \left(\frac{\mathrm{n} \pi \eta}{\mathrm{~b}}\right) $$

이로부터 처짐 영향계수(influence coefficient)는 다음 eq. (20)으로 계산할 수 있다.

(20)
$$ \begin{aligned} w(x, y)= & \Delta(x, y, \xi, \eta) \\ = & \frac{4}{\pi^4 a b} \times \sum_{m=1}^{\infty} \sum_{n=1}^{\infty} \frac{\sin \frac{\mathrm{m} \pi \xi}{\mathrm{a}} \sin \frac{\mathrm{n} \pi \eta}{\mathrm{~b}}}{D E N} \\ & \times \sin \frac{m \pi x}{a} \sin \frac{\mathrm{n} \pi \mathrm{y}}{\mathrm{~b}} \end{aligned} $$

eq. (20)으로부터 계산된 처짐 영향계수와 앞 절에서 설명한 고유진동수 해석방법을 조합하여, 복합적층판의 고유진동수를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Fig. 1. Considered Laminated Plate under Transverse Load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png

3. 수치 해석

본 연구에서는 $\alpha =-\beta$일 때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형태의 적층판을 대상으로 고유진동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적층판들은 적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굽힘-비틀림 연계강성인 $D_{16}$, $D_{26}$ 그리고 굽힘-전단 연계강성 $B_{16}$, $B_{26}$ 값이 점차 감소하여 유사등방성(Quasi-Isotropic)판 거동을 나타내므로, 특별직교이방성(Special Orthotropic) 적층판에 대한 이론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해석에 사용된 모든 ply의 재료물성치는 다음과 같이 동일한 값을 적용하였다.

$$ \begin{aligned} & E_1=38.6 G P a, E_2=8.27 G P a, \nu_{12}=0.26, \nu_{21}=0.0557, \\ & G_{12}=4.14 G P a, h_0=0.000125 m \quad a=b=1 m \end{aligned} $$

Table 1. Natural Frequencies, $\omega_{{n}}/\sqrt{\rho{h}}$, of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Type Laminates,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alpha$) and Number of Laminate(r). ($\alpha =-\beta$, ${a}={b}=1{m}$)

                  r

α                  

1

2

3

4

5

6

7

8

9

and

90°

This

15.29

43.25

79.46

122.51

170.96

224.74

283.19

346.00

412.86

Whitney

15.31

43.32

79.57

122.51

171.22

225.07

283.62

346.52

413.48

This/Whit

0.9986

0.9986

0.9986

0.9985

0.9985

0.9985

0.9985

0.9985

0.9985

15°

and

75°

This

16.02

45.31

83.23

128.13

179.07

235.39

296.63

362.41

432.44

Whitney

16.03

45.36

83.35

128.32

179.34

235.75

297.09

362.97

433.11

This/Whit

0.9993

0.9987

0.9986

0.9985

0.9985

0.9985

0.9985

0.9985

0.9985

30°

and

60°

This

17.38

49.15

90.30

139.01

194.28

255.38

321.82

393.19

469.17

Whitney

17.38

49.21

90.42

139.22

194.58

255.79

322.33

393.82

469.92

This/Whit

1.0004

.09989

0.9987

0.9985

0.9984

0.9984

0.9984

0.9984

0.9984

45°

This

18.02

50.97

93.64

144.15

201.46

264.83

333.72

407.73

486.52

Whitney

18.01

51.02

93.76

144.37

201.77

265.24

334.24

408.37

487.29

This/Whit

1.0004

0.9990

0.9987

0.9985

0.9985

0.9985

0.9984

0.9984

0.9984

적층판의 경계조건은 네 변이 모두 단순지지된(Simply Supported on All Edges)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해석결과의 신뢰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Whitney가 제시한 방법(Whitney and Leissa, 1969)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해석방법으로 각각 고유진동수를 산출하였으며, 두 방법에 의해 계산된 고유진동수의 비율을 Table 1Fig.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적층 수가 증가할수록 두 방법의 고유진동수 값이 점차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적층 수 증가에 따른 복합판의 유사등방성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로부터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형태의 적층판은 모든 섬유 보강각도에 대하여 적층수 r = 4일 경우 고유진동수 비율이 0.9985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r = 4인 경우를 기준으로 복합적층판에 대한 고유진동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첨가질량의 위치는 Fig. 3과 같이 판의 크기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동일하게 5등분하여 각 부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치하였다. 각 위치는 (1,1)에서 (5,5)까지 총 25개 지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첨가질량의 크기는 $1/5\times 1/5\times\rho h(q_{0}/g)$를 기준으로 이를 배수로 하여 변수를 설정하였다. 여기서 $\rho$, h g는 각각 질량 밀도, 판의 두께 그리고 중력가속도를 의미한다.

균일단면의 복합적층판은 횡방향 등분포하중 $q_{0}$를 받는 것으로 가정하고 첫 번째 모드에 대하여 초기 모드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mathrm{W}(\mathrm{i}, \mathrm{j})^{(1)}=\left|\begin{array}{ccccc} 10 & 20 & 30 & 20 & 10 \\ 20 & 30 & 40 & 30 & 20 \\ 30 & 40 & 50 & 40 & 30 \\ 20 & 30 & 40 & 30 & 20 \\ 10 & 20 & 30 & 20 & 10 \end{array}\right| $$

영향면은 eq. (20)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 영향계수를 eq. (10) and (11)에 적용하여 적층 수와 섬유 보강각도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는 Fig. 4에 나타내었으며, 해석결과 섬유 보강 방향이 (0°, 90°)와 (15°, 75°) 그리고 (30°, 60°)인 경우 동일한 진동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후의 해석결과에서는 판의 자중을 무시하고 첨가질량만 고려한 경우를 ‘Mass only’로, 자중과 첨가질량을 모두 고려한 경우를‘Total’로 각각 표기하였다. 또한, 자중과 첨가질량을 모두 고려한 고유진동수를 자중을 무시하고 첨가질량만 고려한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을 ‘T/M’으로 표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Fig. 2. Natural Frequency Ratio by Two Methods for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Type Laminate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2.png

Fig. 3. Location of Attached Mass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3.png

Fig. 4. Natural Frequencies, $\omega_{{n}}/\sqrt{\rho{h}}$, according to the Angle Orientation and Number of Laminate for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Type Laminate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4.png

4. 결과 분석

4.1 적층수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

복합적층판의 적층수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형태의 적층판을 대상으로 $\alpha =-\beta =30^{\circ}$일 때 적층수(r)를 ${r}=4,\: 8,\: 12$로 변화시키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판의 각 위치에 첨가질량의 크기를 달리하여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Tables 2~10Figs. 5~7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 5. Ratio of T/M according to Number of Laminate(r) and N Times of Self-Weight at the Point from (1,1) to (3,1)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5.png

Fig. 6. Ratio of T/M according to Number of Laminate(r) and N Times of Self-Weight at the Point from (1,2) to (3,2)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6.png

Fig. 7. Ratio of T/M according to Number of Laminate(r) and N Times of Self-Weight at the Point from (1,3) to (3,3)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7.png

Table 2.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1,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207.64

134.94

0.6499

587.28

381.66

0.6499

1,078.9

701.15

0.6499

2

146.82

125.03

0.8516

415.27

353.60

0.8515

762.90

649.60

0.8515

3

119.88

110.90

0.9251

339.07

313.63

0.9250

622.91

576.12

0.9249

4

103.82

98.87

0.9523

293.64

279.49

0.9518

539.45

513.45

0.9518

5

92.86

89.64

0.9653

262.64

253.41

0.9649

482.50

465.45

0.9647

Table 3.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2,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134.81

111.28

0.8255

381.30

314.72

0.8254

700.48

578.16

0.8254

2

95.32

87.66

0.9196

269.62

247.84

0.9192

495.32

455.25

0.9191

3

77.83

73.82

0.9485

220.14

208.79

0.9484

404.42

383.47

0.9482

4

67.40

64.89

0.9628

190.65

183.41

0.9620

350.24

336.95

0.9621

5

60.29

58.51

0.9705

170.52

165.48

0.9704

313.27

303.87

0.9700

Table 4.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3,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125.59

104.25

0.8301

355.22

295.28

0.8313

652.59

542.40

0.8311

2

88.81

81.51

0.9178

251.18

230.40

0.9173

461.45

423.26

0.9172

3

72.51

68.60

0.9461

205.09

194.03

0.9461

376.77

356.31

0.9457

4

62.80

60.38

0.9615

177.61

170.48

0.9599

326.29

313.20

0.9599

5

56.17

54.45

0.9694

158.86

153.79

0.9681

291.85

282.52

0.9680

Table 5.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1,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147.84

114.97

0.7777

418.14

325.20

0.7777

768.17

597.44

0.7777

2

104.54

93.26

0.8921

295.67

263.74

0.8920

543.18

484.51

0.8920

3

85.35

79.47

0.9311

241.41

224.64

0.9305

443.50

412.69

0.9305

4

73.92

70.18

0.9494

209.07

198.40

0.9490

384.09

364.48

0.9489

5

66.11

63.47

0.9601

187.00

179.52

0.9600

343.54

329.69

0.9597

Tables 2~4에 정리된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으며 Tables 5~7에 정리된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고 Tables 8~10에 정리된 결과를 Fig.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범례를 ‘척층수(첨가질량의 위치)’로 표시하였으며 첨가질량의 증가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비율(T/M)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Table 6.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2,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79.74

72.01

0.9031

225.53

203.82

0.9037

414.33

374.44

0.9037

2

56.38

53.57

0.9502

159.48

151.51

0.9500

292.98

278.39

0.9502

3

46.04

44.44

0.9652

130.21

125.84

0.9664

239.21

231.18

0.9664

4

39.90

38.83

0.9732

112.77

109.91

0.9746

207.17

201.92

0.9747

5

35.66

34.92

0.9792

100.86

98.81

0.9797

185.30

181.53

0.9797

Table 7.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3,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71.20

64.92

0.9118

201.38

183.63

0.9119

369.95

337.35

0.9119

2

50.34

48.10

0.9555

142.39

135.83

0.9539

261.59

249.54

0.9539

3

41.11

39.88

0.9701

116.26

112.80

0.9702

213.59

206.93

0.9688

4

35.60

34.80

0.9775

100.69

98.43

0.9776

184.98

180.83

0.9776

5

31.84

31.27

0.9821

90.06

88.44

0.9820

165.45

162.48

0.9820

Table 8.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1,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140.50

109.17

0.7770

397.38

308.79

0.7771

730.03

567.47

0.7773

2

99.35

88.03

0.8861

280.99

248.97

0.8860

516.21

457.39

0.8861

3

81.12

75.04

0.9250

229.43

212.26

0.9252

421.48

389.94

0.9252

4

70.25

66.35

0.9445

198.69

187.66

0.9445

365.02

344.75

0.9445

5

62.83

60.06

0.9559

177.71

169.87

0.9559

326.48

312.07

0.9559

Table 9. Natural Frequency Ratio(T/1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2,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73.27

66.34

0.9054

207.23

187.64

0.9055

380.70

344.72

0.9055

2

51.81

49.24

0.9504

146.53

139.26

0.9504

269.20

255.83

0.9503

3

42.30

40.88

0.9664

119.64

115.62

0.9664

219.80

212.40

0.9663

4

36.63

35.78

0.9768

103.61

100.98

0.9746

190.35

185.50

0.9745

5

32.77

32.16

0.9814

92.68

90.78

0.9795

170.26

166.77

0.9795

Figs. 5~7로부터 첨가질량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고유진동수의 비율(T/M)은 1에 점차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고 첨가질량의 위치가 판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빠른 수렴을 보였다. 그러나 적층수의 변화에 따른 T/M 값의 변동은 미미하여,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의 고유진동수 비율(T/M)은 적층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복합적층판의 적층수가 증가하더라도 자중과 첨가질량의 상대적 영향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의미한다.

Table 10. Natural Frequency Ratio(T/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e(r) and Attached Mass N Times the Self-Weight at (3,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

4

8

12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39.01

 

 

393.19

 

 

722.33

 

1

64.76

59.28

0.9154

183.18

167.66

0.9153

336.53

308.02

0.9154

2

45.80

43.75

0.9552

129.53

123.73

0.9552

237.96

227.31

0.9552

3

37.39

36.26

0.9698

105.76

102.55

0.9697

194.30

188.39

0.9696

4

32.38

31.69

0.9787

91.59

89.48

0.9770

168.27

164.39

0.9770

5

28.96

28.46

0.9827

81.92

80.40

0.9815

150.50

147.71

0.9815

4.2 섬유 보강 방향과 첨가질량 위치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

앞에서 기준으로 결정한 복합적층판의 적층수 ${r}=4$일 경우 첨가질량의 크기와 섬유 보강 방향 그리고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Tables 11~19Figs. 8~16에 나타내었다.

적층판의 적층 수, 섬유 보강 방향, 첨가질량의 크기 및 위치와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가 고유진동수의 비율(T/M)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모든 그래프의 스케일을 동일하게 하였다.

해석 결과로부터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에서 자중을 무시한 경우와 고려한 경우의 고유진동수 비는 첨가질량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매우 현저하게 변화되었다. 특히, x축과 y축에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점 (1,1), (2,2), (3,3)에서는 모든 섬유 보강 방향에 대해 동일한 고유진동수 비를 나타내었으며,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라 섬유 보강 방향의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질량이 증가할수록 자중을 무시한 효과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첨가질량이 자중의 3배 이상인 경우 자중을 무시하고 고유진동수를 계산하면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라 최대 7.5 %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첨가질량의 크기가 자중과 동일한 경우 지지점 모서리 부근에서는 최대 35 %의 차이를, 판의 중앙에서는 8.5 %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8.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1,1)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8.png

Fig. 9.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1,2)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9.png

Fig. 10.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1,3)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0.png

Fig. 11.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2,1)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1.png

Fig. 12.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2,2)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2.png

Fig. 13.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2,3)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3.png

Fig. 14.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3,1)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4.png

Fig. 15.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3,2)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5.png

Fig. 16. Ratio of T/M according to Angle Orientation and Magnitude of Attached Mass at (3,3)

../../Resources/KSCE/Ksce.2025.45.4.0445/fig16.png

Table 11.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1,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182.65

118.73

0.6500

191.36

124.37

0.6499

207.64

134.94

0.6499

215.39

139.94

0.6497

2

129.16

109.91

0.8510

135.31

115.17

0.8512

146.82

125.03

0.8516

152.31

129.70

0.8516

3

105.46

97.46

0.9241

110.48

102.12

0.9243

119.88

110.90

0.9251

124.36

115.07

0.9253

4

91.33

86.87

0.9512

95.68

91.05

0.9516

103.82

98.87

0.9523

107.70

102.59

0.9526

5

81.69

78.77

0.9643

85.58

82.56

0.9647

92.86

89.64

0.9653

96.33

93.01

0.9655

Table 12.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1,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136.76

101.74

0.7439

141.32

106.27

0.7520

147.83

114.97

0.7777

146.12

117.41

0.8035

2

96.71

84.43

0.8730

99.93

87.78

0.8784

104.54

93.26

0.8921

103.35

93.80

0.9076

3

78.96

72.45

0.9176

81.59

75.19

0.9216

85.35

79.47

0.9311

84.39

79.39

0.9408

4

68.38

64.22

0.9392

70.66

66.58

0.9423

73.92

70.18

0.9494

73.08

69.94

0.9570

5

61.16

58.22

0.9519

63.20

60.31

0.9543

66.11

63.47

0.9601

65.37

63.15

0.9660

Table 13.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1,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131.71

97.87

0.7431

135.55

102.03

0.7527

140.50

109.17

0.7770

137.41

110.87

0.8069

2

93.13

80.28

0.8620

95.85

83.29

0.8690

99.35

88.03

0.8861

97.17

88.35

0.9092

3

76.04

69.03

0.9078

78.26

71.45

0.9130

81.12

75.04

0.9250

79.34

74.45

0.9384

4

65.86

61.32

0.9311

67.78

63.38

0.9351

70.25

66.35

0.9445

68.71

65.57

0.9543

5

58.90

55.67

0.9452

60.62

57.49

0.9484

62.83

60.16

0.9575

61.45

59.23

0.9639

Table 14.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2,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114.46

96.25

0.8409

120.89

101.27

0.8377

134.81

111.28

0.8255

146.16

117.41

0.8033

2

80.93

75.02

0.9270

85.48

79.12

0.9256

95.32

87.66

0.9196

103.35

93.80

0.9076

3

66.08

62.96

0.9528

69.80

66.45

0.9520

77.83

73.82

0.9485

84.39

79.39

0.9408

4

57.23

55.28

0.9659

60.45

58.35

0.9653

67.40

64.89

0.9628

73.08

69.94

0.9570

5

51.19

49.80

0.9728

54.06

52.58

0.9726

60.29

58.51

0.9705

65.37

63.15

0.9660

Table 15.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2,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70.09

63.25

0.9024

73.46

66.31

0.9027

79.74

72.01

0.9031

82.70

74.70

0.9033

2

49.56

47.06

0.9496

51.95

49.34

0.9498

56.38

53.57

0.9502

58.48

55.56

0.9501

3

40.47

39.09

0.9659

42.41

40.93

0.9651

46.04

44.44

0.9652

47.75

46.09

0.9652

4

35.05

34.13

0.9738

36.73

35.77

0.9739

39.87

38.83

0.9739

41.35

40.28

0.9741

5

31.35

30.69

0.9789

32.85

32.17

0.9793

35.66

34.92

0.9792

36.98

36.22

0.9794

Table 16.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2,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65.64

59.12

0.9007

68.38

61.69

0.9022

73.27

66.34

0.9054

74.89

68.07

0.9089

2

46.41

43.98

0.9476

48.35

45.86

0.9485

51.81

49.24

0.9504

52.96

50.43

0.9522

3

37.90

36.55

0.9644

39.48

38.10

0.9650

42.30

40.88

0.9664

43.24

41.93

0.9697

4

32.82

31.93

0.9729

34.19

33.28

0.9734

36.63

35.78

0.9768

37.45

36.59

0.9770

5

29.35

28.72

0.9785

30.58

30.00

0.9810

32.77

32.16

0.9814

33.49

32.88

0.9818

Table 17.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3,1).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106.11

89.88

0.8470

112.14

94.65

0.8440

125.59

104.25

0.8301

137.41

110.87

0.8069

2

75.03

69.46

0.9258

79.29

73.30

0.9245

88.81

81.51

0.9178

97.17

88.35

0.9092

3

61.26

58.26

0.9510

64.74

61.52

0.9503

72.51

68.60

0.9461

79.34

74.45

0.9384

4

53.05

51.21

0.9653

56.07

54.09

0.9647

62.80

60.38

0.9615

68.71

65.57

0.9543

5

47.45

46.14

0.9724

50.15

48.74

0.9719

56.17

54.45

0.9694

61.45

59.23

0.9639

Table 18.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3,2).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61.61

56.38

0.9151

64.86

59.31

0.9144

71.20

64.92

0.9118

74.89

68.07

0.9089

2

43.56

41.67

0.9566

45.86

43.85

0.9562

50.34

48.10

0.9555

52.96

50.43

0.9522

3

35.57

34.53

0.9708

37.45

36.35

0.9706

41.11

39.88

0.9701

43.24

41.93

0.9697

4

30.81

30.13

0.9779

32.43

31.71

0.9778

35.60

34.80

0.9775

37.45

36.59

0.9770

5

27.55

27.07

0.9826

29.01

28.49

0.9821

31.84

31.27

0.9821

33.49

32.88

0.9818

Table 19. Ratio(T/M) of Natural Frequency by Attached Mass at (3,3). $[\alpha\beta\beta\alpha\alpha\beta]_{{r}}$, ${r}=4$

Angle

0˚ and 90˚

15˚ and 75˚

30˚ and 60˚

45˚

N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Mass

only

Total

T/M

0

 

122.33

 

 

128.13

 

 

139.01

 

 

144.15

 

1

57.08

52.22

0.9149

59.73

54.66

0.9151

64.77

59.28

0.9154

67.18

61.48

0.9152

2

40.36

38.55

0.9552

42.24

40.34

0.9550

45.80

43.75

0.9552

47.50

45.37

0.9552

3

32.96

31.95

0.9694

34.49

33.43

0.9693

37.39

36.26

0.9698

38.79

37.61

0.9696

4

28.54

27.92

0.9783

29.87

29.22

0.9782

32.38

31.69

0.9787

33.59

32.86

0.9783

5

25.53

25.08

0.9824

26.71

26.25

0.9828

28.96

28.46

0.9827

30.04

29.52

0.9827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의 고유진동수 비에 대한 자중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층수, 섬유 보강 방향, 첨가질량의 크기 및 위치를 변수로 설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복합적층판의 적층수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율(T/M)의 변동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가질량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T/M 값은 1에 점차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복합적층판의 적층수가 증가하더라도 자중과 첨가질량의 상대적 영향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의미한다. 또한 첨가질량의 위치가 판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T/M 값이 1에 빠르게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2) 섬유 보강 방향과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른 해석 결과, 첨가질량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자중을 고려한 경우와 무시한 경우의 고유진동수 비는 매우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x축과 y축에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점 (1,1), (2,2), (3,3)에서는 모든 섬유 보강 방향에 대해 동일한 고유진동수 비를 나타내었으며,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라 섬유 보강 방향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첨가질량이 증가할수록 자중을 무시한 효과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첨가질량이 자중의 3배 이상인 경우 자중을 무시하고 고유진동수를 계산하면 첨가질량의 위치에 따라 최대 7.5%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첨가질량이 자중과 동일한 경우, 지지점 모서리 부근에서는 최대 35 %, 판의 중앙에서는 약 8.5 %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복합적층판 구조물 설계 시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경우 자중을 무시한 단순 해석값으로부터 실제 고유진동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첨가질량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영향은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첨가질량이 존재하는 복합적층판의 동적 해석 및 설계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RISE)” through the Gangwon RISE Center,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the Gangwon State.

References

1 
"Hong, D. W., Shim, D. S. and Park, J. S. (1997). “A study on the natural frequency of composite laminated plate under attached point mass/masses.”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0, No. 1, pp. 149-158 (in Korean)."URL
2 
"Kim, D. H. (1974). “A method of vibration analysis of irregularly shaped structural elements.”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gineering Problems in Creating Coastal Industrial Sites, Seoul, Korea, pp. 39-63."URL
3 
"Kim, D. H., Hwang, J. W. and Chun, D. S. (1989). “A simple method of vibration analysis of irregularly shaped composite structural elements.” First Japan Int’l SAMPE Symposium, November 28-December 1, pp. 863-868."URL
4 
"Pretlove, A. J. (1987). “A simple and accurate method for calculating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cies of beams with attached ma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15, No. 4, Ellis Horwood Ltd, Chichester, England, pp. 257-266."URL
5 
"Whitney, J. M. and Leissa, A. W. (1969). “Analysis of heterogeneous anisotropic plates.” Journal of Applied Mechanics, Vol. 36, No. 2, pp. 261-266, https://doi.org/10.1115/1.3564618."DOI
6 
"Won, C. M. (2002). “A simple method of obtaining exact values of the natural frequencies of vibration for some composite laminated structures with various boundary condi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14, No. 1, pp. 23-29 (in Korean)."URL
7 
"Won, C. M., Yun, K. K. and Lee, J. H. (2006). “A simple but exact method for vibration analysis fo composite laminated plates with all edges simply supported and under lateral and in-plane loading.” Thin-Walled Structures, Vol. 44, No. 2, pp. 247-253, https://doi.org/10.1016/j.tws.2006.01.00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