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우
(Dongwoo Kim)
1iD
서병훈
(Byunghun Seo)
2iD
김동수
(Dongsu Kim)
3iD
조예림
(Yerim Jo)
4iD
이종혁
(Jonghyuk Lee)
5iD
최원
(Won Choi)
6†iD
-
정회원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과/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석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 btsct4409@snu.ac.kr)
-
정회원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 tjqudgns123@snu.ac.kr)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 xenonkds@snu.ac.kr)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 yl6289@snu.ac.kr)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Seoul National University ․ leejh314@snu.ac.kr)
-
종신회원 ․ 교신저자 ․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 지역시스템공학부 지역시스템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fembem@snu.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비닐온실, 시계열 예측, 트랜스포머, 구조해석
Key words
Greenhouse, Time series prediction, Transformer, Structural analysis
1. 서 론
2023년 기준, 국내 시설채소 재배를 위한 비닐온실의 면적은 52,721 ha로, 전체 시설재배 면적의 99.3 %를 차지하고 있다(MAFRA, 2024). 시설재배 온실은 일반적으로 비닐온실, 유리온실, 경질판온실로 분류되며, 이 중 비닐온실은 시공의 경제성과 설치 용이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21). 그러나 2020년 기준 전체 온실 중 내용연수가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시설이 96 %에 달하며, 기상재해에 대한 구조적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예‧특작시설 내재해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된 내재해형 규격시설은 2023년 기준 49 %에 불과하여, 비닐온실의 구조적 안전성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Lee, 2022; MAFRA, 2024).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폭설, 태풍 등의 자연재해가 더 빈번하고 강도 높게 발생하고 있다. EM-DAT(2025)에 따르면, 기상학적 자연재해(Meteorological Disaster)의 발생 건수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289건이었던 반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는 1,356건으로 급증했다. 특히 비닐온실은 설하중 및 풍하중에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재해로 인한 피해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국내 자연재해로 인한 사유 시설 피해액 중 41.6 %를 차지할 정도로 피해 규모가 큰 실정이다(MOIS, 2024).
폭설로 인한 비닐온실의 파괴는 태풍이나 폭우 등 단시간에 피해가 집중되는 재해와 달리,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발생한다. 따라서 수 시간 뒤의 적설심을
예측할 수 있다면, 농가는 사전 보강재 설치 등의 조치로 온실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기상청의 경보 시스템은 지역적 특성이나 온실
유형과 관계없이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농민이 실제로 대처가 필요한지, 또는 언제까지 조치를 완료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Jeong et al., 2022).
적설의 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Ahn et al.(2015)은 과거 40년간의 전국 기상관측소의 적설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미래 강설 가능량을 추정했으며, 그 결과를
전국 원예․특작시설물의 설계기준 적설 하중과 비교하였다. Oh and Chung(2017)은 기상 자료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소를 추가로 고려하여 대설 피해액을 예측하는 다중회귀모형을 적용한 바 있다. 또한, Kim et al. (2013)은 과거 기온, 강수량, 적설량을 입력 변수로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및 다중회귀 모형을 통해 미래 적설량을 예측했으며 인공신경망 모형이 기존 통계적
모형에 비해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기상 자료에 고도, 경․위도 등의 지리‧지형 정보를 결합하여, Random Forest(RF),
Support Vector
Machine(SVM), k-nearest neighbor(KNN) 등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적설량을 예측 연구가 다수 보고되었다(Hamidi et al., 2018; Zhang et al., 2019; Hoopes et al., 2023).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일별 또는 월별 적설 데이터를 예측하는 데 집중하였으나, Kim et al.(2021)과 Jeong et al.(2022)은 시간 단위의 적설심 변화를 예측하고자 각각 마코프 체인 모델과 베이지안 기반의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적설심 변화 경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예측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RMSE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한계점이 보고되었다(Kim et al., 2021; Jeong et al., 2022).
한편, 시계열 데이터 처리를 위해 설계된 인공신경망인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안된
Transformer 모델은 최근 시계열 예측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Vaswani et al., 2017; Lee et al., 2025). 실제로 Transformer 기반 모델은 기온 예측, 미세먼지 농도 예측, 의류 판매량 예측, 태양광 발전량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시계열
예측 모델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보인다(Wu et al., 2020; Bilgin et al., 2021; Kim et al., 2022b; Park et al., 2023; Lee et al., 2025).
이에 본 연구에서는 Transformer 모델을 활용하여 과거 6시간의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n시간 뒤의 적설심 및 풍속을 예측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LSTM 모델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아울러, 실제 비닐온실 피해 사례를 대상으로 본 모델을 적용하고, 예측된 기상 정보를 비닐온실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비닐온실의 안전율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농가는 폭설 발생 이전에 구조적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온실 붕괴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방법
2.1 Long Short-Term Memory (LSTM)
전통적인 순환 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안된 LSTM 모델은 시계열 데이터에서 시간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개발된 AI (Artificial
Intelligence) 모델이다. 기존 순환 신경망은 긴 시퀀스의 데이터 처리 시 역전파 단계에서 발생하는 기울기 소실 문제로 인해 먼 시점의 정보를
학습하는 데 제약이 있었으나, LSTM은 내부의 셀 상태와 세 가지 게이트(입력 게이트, 삭제 게이트, 출력 게이트)를 도입하여 정보의 저장, 제거,
전달 과정을 정교하게 제어한다. 이를 통해 LSTM은 장기간의 의존성을 유지하면서도 복잡한 시계열 패턴을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Lee and Bae, 2025).
Fig. 1에서 $x_{t}$, $h_{t}$는 입력과 출력, $C$, $t$는 cell state와 time step을 의미한다. 또한 $f_{t}$는 삭제
게이트, $i_{t}$는 입력 게이트, $o_{t}$는 출력 게이트다.
2.2 Transformer
Transformer 모델은 Vaswani et al.(2017)에 의해 제안된 자연어 처리 기반의 딥러닝 모델로, 기존의 Seq2Seq 방식과 유사한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따르면서도,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어텐션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인코더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은 멀티-헤드 셀프 어텐션(Multi-head Self-Attention)과
피드포워드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의 두 주요 서브모듈로 구성된다. 이 서브모듈은 잔차 연결(Residual Connection)과
층 정규화(Layer Normalization)를 통해 학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디코더 또한 다중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계층은 마스킹된 멀티-헤드 어텐션, 인코더의 출력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멀티-헤드 어텐션, 그리고 피드포워드
신경망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디코더는 입력 시퀀스와 생성된 시퀀스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전통적인 순환 신경망은 입력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퀀스의 순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반면, Transformer는 모든 입력을 병렬로 처리하기 때문에 별도로 순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입력 임베딩에 포지셔널 인코딩(Positional Encoding)을 추가함으로써 시퀀스 내 각 요소의 위치 정보를
명시적으로 제공한다.
Transformer의 핵심은 셀프 어텐션(Self-Attention) 메커니즘에 있으며, 이는 동일한 입력으로부터 도출된 쿼리(Query), 키(Key),
값(Value) 벡터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각 값 벡터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어텐션 가중치는 쿼리와 키 간의 내적 연산 및 소프트맥스
정규화를 통해 산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입력 시퀀스 전체에 걸쳐 유연한 의존성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내부 연산을 병렬화할 수 있어 기존
순환 신경망 기반 모델에 비해 학습 속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2.3 기상 자료 전처리 및 모델 학습
본 연구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6시간의 기상 자료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하여, n시간(1~12시간) 뒤의 적설심 및 풍속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학습 및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를 위해 전라북도 정읍 지역의 기상관측소(관측소 번호 245)에서 관측된 1999년부터 2023년까지의 25년간
기상 자료를 활용했다. 정읍은 겨울철 상대적으로 높은 적설심이 자주 기록되며, 비닐온실 피해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본 연구의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기상 자료 내 결측치는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을 통해 처리하였으며, 적설심의 경우 결측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10시간 이내에 관측된 유효한 값이 존재할 경우에만 선형 보간을 적용하였다.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때는 해당 결측치를 0으로
처리하였다. 모델 학습 과정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Fig. 3과 같이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방식으로 적용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데이터는 0시부터 5시까지의 기상 자료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6시의 적설심 및 풍속을 출력으로 설정한다. 이후 두 번째 데이터는 1시부터 6시의 기상 자료를 입력, 7시의 적설심 및 풍속을 출력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1시간씩 순차적으로 윈도우를 이동시키며 학습 데이터를 구성했다.
적설심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를 선정하고자 기온, 풍속, 습도, 이슬점온도, 현지기압, 일조시간 간의 다중공선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은
독립변수 간의 선형 종속성을 의미하며, 그 정도가 높으면 회귀 분석에서 표준오차가 증가하거나, 특정 변수의 회귀 계수가 이론적으로 기대되는 방향과
반대되어 해석에 왜곡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in, 2010; Chan et al., 2022). 다중공선성의 판단에는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를 활용하며, 이는 다음 Eq. (1)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V}{if}_{i}$는 $i$번째 변수의 분산팽창계수, $R_{i}$는 $i$번째 변수를 다른 모든 독립변수에 대해 회귀 분석했을 때의
결정계수이다. 일반적으로 VIF 값이 5와 10 사이일 경우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10을 초과하면 다중공선성이 심각한 수준으로 간주한다.
Fig. 3. Example of Training Data Generation Using the Sliding Window Method For One-hour-ahead
Prediction
2.4 베이지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베이지안 최적화는 연산 비용이 높은 목적함수에 대해 최소 또는 최댓값을 산출하는 최적의 입력값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이다(Frazier, 2018). 딥러닝 모델은 한 번의 학습에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도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하이퍼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그리드 서치(Grid Search)는 가능한 모든 변수 조합을 탐색하지만, 변수의 수가 많으면 연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비효율적이다. 랜덤 서치(Random Search)는 변수 공간에서 무작위로 값을 선택해 탐색하는 방식으로 일부 효율성을 보장하지만,
국소 최적해(Local Optima)에 수렴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최적화 문제에 널리 사용되는 진화 기반 알고리즘(Evolutionary Optimization
Method)은 많은 반복과 연산이 필요하고, 예측 결과에 노이즈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Victoria and Maragatham, 2021).
반면, 베이지안 최적화는 사전 분포를 기반으로 달리 변수 선택 과정에 사전 정보를 반영하여 탐색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 방식은 순차적 모델 기반 최적화(Sequential
Model-based Global Optimization, SMBO)라고도 하며, 이전 단계에서의 하이퍼 파라미터와 그에 따른 목적함수 값을 기반으로
다음 시도할 하이퍼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탐색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Bergstra et al., 2011; Choi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Transformer 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베이지안 최적화를 통해 선정했다.
3. 적용 결과
3.1 적설심 및 풍속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 선정
모델 학습에 앞서, 적설심 및 풍속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온(℃), 풍속(m/s), 습도(%), 이슬점온도(℃), 현지기압(hPa),
일조시간(h)을 대상으로 다중공선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에 대한 분산팽창계수는 Table 1에 제시되어 있으며, 그 결과 기온, 습도, 이슬점온도, 현지기압의 분산팽창계수가 10을 초과하여 다중공선성이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Table 2에서 제시된 변수 간 상관계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이슬점온도와 현지기압을 독립변수 목록에서 제외했다. 해당 변수를 제거한
후 다시 산출한 분산팽창계수는 Table 3에 나타나 있으며, 모든 변수 분산팽창계수가 5보다 작아져 다중공선성 문제가 해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적설심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는 기온, 풍속, 습도, 일조시간, 적설심으로 구성하였으며, 풍속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는 기온, 풍속, 습도,
일조시간으로 설정하였다.
Table 1.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Analysis for Predictor Variables
Variable
|
VIF
|
Temperature
|
243.0
|
Wind Speed
|
2.8
|
Humidity
|
297.3
|
Dew Point
|
157.2
|
Field Elevation Pressure
|
468.8
|
Sunshine Duration
|
2.3
|
Table 2. Correlation Matrix of Predictor Variables
Variable
|
Temperature
|
Wind Speed
|
Humidity
|
Dew Point
|
Field Elevation Pressure
|
Sunshine Duration
|
Temperature
|
-
|
0.16
|
-0.073
|
0.9
|
-0.76
|
0.21
|
Wind Speed
|
0.16
|
-
|
-0.37
|
-0.013
|
-0.17
|
0.33
|
Humidity
|
-0.073
|
-0.37
|
-
|
0.36
|
-0.18
|
-0.6
|
Dew Point
|
0.9
|
-0.013
|
0.36
|
-
|
-0.79
|
-0.073
|
Field Elevation Pressure
|
-0.76
|
-0.17
|
-0.18
|
-0.79
|
-
|
0.035
|
Sunshine Duration
|
0.21
|
0.33
|
-0.6
|
-0.073
|
0.035
|
-
|
Table 3.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After Removing Highly Correlated Variables
Variable
|
VIF
|
Temperature
|
2.8
|
Wind Speed
|
2.5
|
Humidity
|
2.8
|
Sunshine Duration
|
1.7
|
3.2 Transformer 모델을 통한 적설심 및 풍속 예측 결과
정읍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1999년부터 2023년까지 총 25년간 기상 자료를 활용하여, 직전 6시간의 기상 정보를 바탕으로 1시간부터 12시간
뒤까지의 적설심을 예측하는 총 12개의 Transformer 모델을 학습시켰다. 모델 학습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3:1의
비율로 학습 및 검증 데이터를 분할하여 수행했으며, 나머지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5년치 데이터를 테스트에 활용했다.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는 적설심이 관측된 경우로만 구성하였으며, 입력 시퀀스인 6시간 동안의 기상 자료 중 절반 이상에서 적설심이 3 cm 이상인
경우만을 포함시켰다. 이는 모든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모델이 낮은 적설심 구간에 과적합되어 예측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의 최종 목표가 비닐온실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 및 파괴 가능성 예측에 있는 만큼, 실제 파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0~2 cm 구간은 학습에서
제외하고 3 cm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Transformer 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는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통해 RMSE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예측 결과, 1시간 뒤의 적설심 예측의 경우 RMSE가 0.660 cm로 가장 낮았으며, 12시간 뒤 예측에서는 3.785 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예측 결과는 Fig. 5에 도시하였다. 여기서는 1, 3, 6, 9, 12시간 뒤의 적설심 예측 결과를 시각화하였으며, 예측 시점이 멀어질수록 정확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인 시계열 경향은 잘 추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2 값은 최대 0.99, 최소 0.76 수준으로 나타나, 모델이 전반적인 적설심의 패턴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다만, 예측 시점이 멀어질수록 예측값이 실측값보다 다소 과다 추정되며, 예측값이 실측값보다 오른쪽으로 평행 이동된 듯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적설심이 비정상성(Non-stationary) 특성을 가지는 시계열 데이터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Non- stationary 데이터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평균, 분산 등 통계적 특성이 변화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Cheng et al., 2015).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LSTM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계열 예측 모델에서 예측 성능을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Hao et al., 2022).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예측 모델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non-stationarity를 완화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Dai et al., 2024; Contreras-Reyes et al., 2024; Han et al., 2024).
그러나 Transformer 기반 모델은 어텐션 메커니즘을 통해 시계열의 절대적 시간 흐름에 의존하지 않고, 입출력 간의 복잡한 관계 및 패턴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non-stationary 데이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iu et al., 2024; Qian, 2025). 실제로 본 연구에서도 6시간 이내의 단기 예측에서는 비정상성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후 장기 예측에 대해서도 비닐온실 구조해석 결과에서
실질적인 영향을 줄 정도의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풍속 예측을 위해 정읍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1999년부터 2023년까지의 25년간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1시간부터 12시간 뒤까지의 풍속을 예측하는
총 12개의 Transformer 모델을 학습시켰다. 모델 학습 방식은 적설심 예측과 동일하게 1999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3:1로 학습
및 검증용으로 분할하였으며, 나머지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통해
설정하였으며, 이때 최적화 기준은 RMSE가 아닌 결정계수(R2)로 설정하였다. 최적화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1시간 뒤의 풍속을 예측 결과에서 R2가 0.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시간 뒤 예측에서는 0.17로 가장 낮아, 예측 시점이 멀어질수록 풍속의 변동성을 모델이 충분히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적설심 예측 결과와 달리, 풍속 예측에서는 극댓값에 대한 예측 정확도가 낮고, 전반적으로 예측값이 실제보다 과소 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 데이터의 약 98 %가 풍속이 0~4 m/s 범위에 분포되어 있어 고풍속 구간에 대한 학습이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RMSE는 최소 0.81 m/s에서 최대 1.30 m/s로,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Ku et al., 2019; Kim et al., 2022a). 다만, 일반적으로 비닐온실의 구조적 피해는 태풍과 같은 특수 상황을 제외하면 강풍보다는 폭설에 의한 하중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적설심 예측에 보다 중점을 두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4. RMSE Over Different Prediction Lead Times (Snow Depth Prediction)
Fig. 5. n Hour(s) Snow Depth Forecast Results (n : 1, 3, 6, 9, 12). (a) 1 Hour Snow
Depth Forecast Results, (b) 3 Hours Snow Depth Forecast Results, (c) 6 Hours Snow
Depth Forecast Results, (d) 9 Hours Snow Depth Forecast Results, (e) 12 Hours Snow
Depth Forecast Results
Table 4. Optimized Hyper-parameters and RMSE Results of Transformer Models for Snow
Depth Forecasting
n
|
dmodel
|
Batch Size
|
Head Number
|
Layer Number
|
Learning Rate
|
Dropout Rate
|
RMSE (cm)
|
1
|
128
|
32
|
16
|
1
|
0.00060
|
0.08
|
0.660
|
2
|
256
|
16
|
16
|
1
|
0.00470
|
0.40
|
1.002
|
3
|
256
|
16
|
4
|
1
|
0.00320
|
0.01
|
1.405
|
4
|
256
|
64
|
16
|
1
|
0.00100
|
0.15
|
1.907
|
5
|
128
|
64
|
4
|
3
|
0.00056
|
0.02
|
2.239
|
6
|
128
|
16
|
8
|
1
|
0.00097
|
0.20
|
2.593
|
7
|
256
|
32
|
2
|
1
|
0.00092
|
0.23
|
2.749
|
8
|
256
|
32
|
4
|
1
|
0.00055
|
0.05
|
3.048
|
9
|
128
|
16
|
2
|
2
|
0.00056
|
0.30
|
3.145
|
10
|
256
|
32
|
8
|
1
|
0.00034
|
0.14
|
3.586
|
11
|
128
|
16
|
16
|
1
|
0.00050
|
0.22
|
3.671
|
12
|
256
|
64
|
16
|
3
|
0.00016
|
0.11
|
3.785
|
Table 5. Optimized Hyper-Parameters and R2 Results of Transformer Models for Wind Speed Forecasting
n
|
dmodel
|
Batch Size
|
Head Number
|
Layer Number
|
Learning Rate
|
Dropout Rate
|
R2
|
1
|
64
|
128
|
16
|
1
|
0.00001
|
0.15
|
0.67
|
2
|
64
|
16
|
16
|
1
|
0.00001
|
0.19
|
0.56
|
3
|
64
|
32
|
2
|
1
|
0.00077
|
0.08
|
0.48
|
4
|
64
|
32
|
16
|
1
|
0.00001
|
0.03
|
0.40
|
5
|
256
|
32
|
2
|
1
|
0.00036
|
0.13
|
0.29
|
6
|
128
|
64
|
8
|
2
|
0.00003
|
0.29
|
0.28
|
7
|
128
|
128
|
16
|
1
|
0.00013
|
0.30
|
0.23
|
8
|
128
|
32
|
4
|
2
|
0.00029
|
0.10
|
0.22
|
9
|
512
|
16
|
4
|
1
|
0.00009
|
0.28
|
0.19
|
10
|
64
|
128
|
4
|
1
|
0.00005
|
0.16
|
0.19
|
11
|
64
|
128
|
16
|
1
|
0.00004
|
0.25
|
0.19
|
12
|
512
|
64
|
8
|
2
|
0.00090
|
0.24
|
0.17
|
3.3 Transformer 모델과 LSTM 모델 성능 비교
본 연구에서는 적설심 및 풍속 예측을 위한 모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한 Transformer 모델과 기존 시계열 예측에 널리 사용되는 LSTM
모델 간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LSTM 모델 또한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하이퍼 파라미터를 설정하였으며, 학습 조건은 Transformer
모델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예측 결과는 적설심과 풍속 각각에 대해 Table 6, 7에 제시하였다. 적설심 예측의 경우, 1시간부터 7시간 뒤 예측까지는 LSTM 모델이 더 낮은 RMSE를 기록하며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8시간
이후부터는 Transformer 모델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나타냈다. 풍속 예측의 경우에는 두 모델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5시간
이후부터는 Transformer 모델이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모델의 통계적 지표로는 Transformer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으나, Fig. 8에 도시하였듯이, LSTM 모델의 경우 적설심 시계열의 비정상성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실측값보다 예측값이 시간상 우측으로 평행 이동된 양상을
뚜렷하게 보였다. 이는 모델이 입력된 적설심 시계열을 단순히 단순히 n시간 뒤로 이동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Transformer
모델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었다. 또한 LSTM 모델은 예측 시점이 멀어질수록 극댓값 구간에서 실제보다 과도하게 큰 값을 출력하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비닐온실의 파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온실 구조 특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약 20 cm 이상의 적설심이 예측되는 시점과 그 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Transformer 모델은 예측의 안정성과 극한값 처리에서 LSTM 모델보다 더 적절한 시계열 예측 모델로
판단된다.
Fig. 6. R2 Over Different Prediction Lead Times (Wind Speed Prediction)
Fig. 7. n Hour(s) Wind Speed Forecast Results (n : 1, 6, 12). (a) 1 Hour Wind Speed
Forecast Results, (b) 1 Hour Wind Speed Forecast Results (Subset of 500 Samples),
(c) 6 Hours Wind Speed Forecast Results, (d) 6 Hours Wind Speed Forecast Results (Subset
of 500 Samples), (e) 12 Hours Wind Speed Forecast Results, (f) 12 Hours Wind Speed
Forecast Results (Subset of 500 Samples)
Fig. 8. Temporal Shift Effect in Snow Depth Forecasts by LSTM Model (9 Hours Forecast)
Table 6. Comparison of Snow Depth Forecasting RMSE(cm) Performance between Transformer
and LSTM Models
n
|
Transformer
|
LSTM
|
1
|
0.660
|
0.651
|
2
|
1.002
|
1.009
|
3
|
1.405
|
1.367
|
4
|
1.907
|
1.670
|
5
|
2.239
|
2.056
|
6
|
2.593
|
2.362
|
7
|
2.749
|
2.651
|
8
|
3.048
|
3.076
|
9
|
3.145
|
3.200
|
10
|
3.586
|
3.777
|
11
|
3.671
|
3.850
|
12
|
3.785
|
4.059
|
Table 7. Comparison of Wind Speed Forecasting R2 Performance between Transformer and LSTM Models
n
|
Transformer
|
LSTM
|
1
|
0.67
|
0.68
|
2
|
0.56
|
0.56
|
3
|
0.48
|
0.47
|
4
|
0.40
|
0.39
|
5
|
0.29
|
0.27
|
6
|
0.28
|
0.27
|
7
|
0.23
|
0.22
|
8
|
0.22
|
0.20
|
9
|
0.19
|
0.18
|
10
|
0.19
|
0.13
|
11
|
0.19
|
0.13
|
12
|
0.17
|
0.12
|
3.4 기상 예측을 통한 비닐온실 안전율 예측
본 연구에서는 실제 폭설로 인해 비닐온실 파괴가 발생한 사례에 Transformer 기반 기상 예측 모델을 적용하고,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닐온실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율을 산정하였다. 피해 사례는 행정안전부의 연도별 재해연보를 통해 수집된 강원도의 1998년부터 2021년까지 폭설에
의한 비닐온실 피해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기간의 기상 자료 또한 함께 수집하였다.
각 사례에 대해 재해 발생 기간 동안 1~12시간 뒤의 적설심 및 풍속을 Transformer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구조해석에서는 해당 예측값
중 최댓값을 활용하였다. 이는 재해연보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재해 발생 기간과 피해 면적에 국한되며, 정확한 피해 발생 시간이나 위치는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구조해석은 Seo et al.(2025)이 개발한 비닐온실 반강결 연결부를 고려한 비선형 구조해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해석 대상은 대표적인 내재해형 비닐온실 규격인 10-단동-5형으로
설정하였다. 적설심의 경우 건설(Dry Snow)을 가정하여 밀도 1,000 N/m3으로 두고 해석하였다. 예측된 적설심을 $D_{s}$, 풍속을 $V_{w}$라 하고, 지붕 경사도 계수를 $C_{s}$, 풍압계수를 $C_{w}$라
하면 온실 위치별 적설하중($W_{s}$) 및 풍하중 ($W_{w}$)은 다음 식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지붕 경사도 계수와 풍압계수는 각각
Table 8, 9와 같다. 최종적으로 적설하중 및 풍하중은 다음 Fig. 9, 10과 같이 적용하였다.
구조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온실 피해 면적과 (전체 온실 면적) / (안전율) 값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피해 사례는 경기도 전체를 단위로
제공되므로, 속초, 철원, 춘천 등 개별 시군 단위의 피해 발생 지역은 구분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경기도 내 각 지역의 온실 면적에 안전율을 나눈
값을 모두 합산하여 대푯값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Fig. 10에 제시하였으며, 피해 면적과 (온실 면적)/(안전율) 값 사이의 결정계수는 0.243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첫째로는 구조해석 대상 온실의 규격을 10-단동-5형 하나로 고정하여 해석한 것이다. 실제 설치되어 있는
온실은 내재해형 온실이 아닌 오래된 비규격 온실도 많이 존재할뿐더러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연동온실도 다수 존재하므로, 내재해형 단동 온실 규격
하나로 통일하여 해석한 것은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한다. 둘째로, 피해 발생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었던 점이다. 제공되어 있는 피해
사례의 경우 시간 단위로 피해 면적이 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닌 일 단위로 피해 면적이 제시되어 있어 정확한 파괴 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행정구역
상 도단위로 피해 면적이 주어지기 때문에 어느 시군에서 발생한 피해인지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셋째, 지역별로 연도별 온실 면적이 제공되지 않아
특정 연도의 시군별 온실 면적을 기준으로 피해가 발생한 연도의 해당 지역 온실 면적을 선형 보간으로 추정하여 현실적이지 못할 수 있다. 넷째로 본래
파괴 확률은 수천에서 수만번의 구조해석 결과에 따라 산정되는 값인데 비해, 이와 비교한 실제 사례는 극히 적으므로 낮은 상관계수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다수의 가정과 한계가 수반된 제한된 데이터 조건에서 분석이 진행되어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나, 추후에는 안전율이 아닌 파괴확률의 산정, 피해 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 인자의 도입 등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예측 기반 구조 파괴확률 산정 기법의 현장 적용이 가능해질
것이다.
Fig. 9. Load Conditions of Greenhouse for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a) Snow
Load Distribution, (b) Wind Load Distribution
Fig. 10.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Structural Safety Index (Greenhouse Area/Safety
Factor) and Observed Greenhouse Damage Area
Table 8. Roof Slope Coefficients of Greenhouse according to Arch Slope
Arch Slope
|
0-20
|
20-30
|
30-40
|
40-50
|
50-60
|
60-90
|
Roof Slope Coefficient ($C_{s}$)
|
1.0
|
0.875
|
0.625
|
0.375
|
0.125
|
0
|
Table 9. Wind Pressure Coefficients of Greenhouse according to Roof Radius
Wind Pressure Coefficient
|
Central Angle (°)
|
Roof Radius (m)
|
3.5
|
4.0
|
4.5
|
5.0
|
5.5
|
$C_{w1}$
|
-
|
0.8
|
0.8
|
0.8
|
0.8
|
0.8
|
$C_{w2}$
|
0-20
|
0.1
|
0.1
|
0.1
|
0.2
|
0.2
|
$C_{w3}$
|
20-40
|
-0.9
|
-0.9
|
-0.8
|
-0.6
|
-0.3
|
$C_{w4}$
|
40-65
|
-1.5
|
-1.5
|
-1.3
|
-0.6
|
-0.6
|
$C_{w5}$
|
65-90
|
-1.7
|
-1.7
|
-1.6
|
-1.2
|
-0.6
|
$C_{w6}$
|
90-115
|
-1.6
|
-1.6
|
-1.6
|
-1.2
|
-0.7
|
$C_{w7}$
|
115-140
|
-1.0
|
-1.0
|
-0.9
|
-0.8
|
-0.6
|
$C_{w8}$
|
140-160
|
-0.4
|
-0.4
|
-0.4
|
-0.6
|
-0.6
|
$C_{w9}$
|
160-180
|
-0.3
|
-0.3
|
-0.4
|
-0.5
|
-0.6
|
$C_{w10}$
|
-
|
-0.3
|
-0.3
|
-0.3
|
-0.4
|
-0.5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폭설로 인한 비닐온실의 구조적 파괴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설심 및
풍속을 예측하는 Transformer 기반 기상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닐온실의 안전율을 산정하였다.
제안된 Transformer 모델은 직전 6시간의 기온, 풍속, 습도, 일조시간, 적설심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1시간부터 12시간 뒤까지의 적설심
및 풍속을 예측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풍속 예측 시에는 적설심 변수를 독립변수에서 제외하였다. 예측 성능평가 결과, 적설심의 경우 RMSE가 0.66
cm에서 3.78 cm의 범위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풍속의 경우 R2가 0.17에서 0.67 사이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강풍으로 인한 피해는 주로 여름철 태풍 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폭설에 의한 온실
파괴를 미리 대비하는 것이 주요 목표인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풍속은 적설심보다 비닐온실의 구조 안정성 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계열 예측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LSTM 모델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Transformer 모델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LSTM 모델은 통계적 성능 지표에서는 Transformer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적설심 및 풍속 시계열의 비정상성 특성으로 인해 예측값이 실측값에
비해 시간상 우측으로 평행 이동된 형태로 출력되는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에 예측의 정확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Transformer 모델이
더 적절한 시계열 예측 모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폭설로 인한 비닐온실 피해 사례에 Transformer 모델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계산된 안전율과 실제 피해
면적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해석 기반 안전율의 예측이 실제 피해 발생 가능성과 큰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여러 한계점으로 인한 결과로, 추후 파괴확률의 산정, 추가 인자의 도입 등을 통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예측 모델을
활용하면 향후 비닐온실의 파괴가 우려되는 시점 사전에 인지하고, 농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보강재 설치 등의 사전 조치를 적시에 취할 수 있어 피해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적설심 및 풍속 시계열의 비정상성 특성으로 인한 예측 정확도 저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데이터 전처리 방식 개선 또는 Transformer
기반의 더 발전된 AI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풍속 예측의 경우 더 높은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요 영향 인자를 추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2022-MOIS61-003 (RS-2022-ND634022) of Development
Risk Prediction Technology of Storm and Flood for Climate Chang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unded by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MOIS, Korea).
References
"Ahn, S. R., Lee, J. W. and Kim, S. J. (2015). “Projection of future snowfall and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5, No. 3, pp. 545-556, https://doi.org/
10.12652/Ksce.2015.35.3.0545 (in Korean)."

"Alin, A. (2010). “Multicollinearity.” WIREs Computational Statistics, Vol. 2, No.
3, pp. 370-374, https://doi.org/10.1002/wics.84."

"Bergstra, J., Baardenet, R., Bengio, Y. and Kegl, B. (2011). “Algorithms fo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4, Spain, pp. 1-9."

"Bilgin, O., Mąka, P., Vergutz, T. and Mehrkanoon, S. (2021). “TENT: Tensorized encoder
transformer for temperature forecasting.” arXiv preprint arXiv, 2106.14742, https://doi.org/
10.48550/arXiv.2106.14742."

"Chan, J. Y. L., Leow, S. M. H., Bea, K. T., Cheng, W. K., Phoong, S. W., Hong, Z.
W. and Chen, Y. L. (2022). “Mitigating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and its machine
learning approach: a review.” Mathematics, Vol. 10, No. 8, 1283, https://doi.org/10.3390/
math10081283."

"Cheng, C., Sa-Ngasoongsong, A., Beyca, O., Le, T., Yang, H., Kong, Z. and Bukkapatnam,
S. T. (2015). “Time series forecasting for nonlinear and non-stationary processes:
a review and comparative study.” IIE Transactions, Vol. 47, No. 10, pp. 1053-1071,
https://doi.org/10.1080/0740817X.2014.999180."

"Choi, Y., Yoon, D., Choi, J. and Byun, J. (2020). “Hyperparameter search for facies
classification with bayesian optimization.”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ol. 23, No. 3, pp. 157-167, https://doi.org/10.7582/GGE.2020.23.3.00157."

"Contreras-Reyes, J. E., Jeldes-Delgado, F. and Carrasco, R. (2024). “Jensen-Detrended
Cross-Correlation function for non-stationary time series with application to Latin
American stock market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Vol.
654, 130115, https://doi.org/10.1016/j.physa.2024.130115."

"Dai, T., Wu, B., Liu, P., Li, N., Yuerong, X., Xia, S. T. and Zhu, Z. (2024). “DDN:
Dual-domain dynamic normalization for non-stationary time series forecasting.”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37, Canada, pp. 1-28."

"EM-DAT. (2025). The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Available at: https://www.emdat.be. (Accessed 3 April 2025)."

"Frazier, P. I. (2018). “Bayesian optimization.” Recent Advances in Optimization and
Modeling of Contemporary Problems, pp. 255-278, https://doi.org/10.1287/educ.2018.0188."

"Hamidi, O., Tapak, L., Abbasi, H. and Maryanaji, Z. (2018). “Application of random
forest time series,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models in prediction of snowfall (a case study of Alvand in the middle Zagros,
Ira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34, pp. 769-776, https://doi.org/10.1007/s00704-017-2300-9."

"Han, H., Liu, Z., Barrios Barrios, M., Li, J., Zeng, Z., Sarhan, N. and Awwad, E.
M. (2024).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 for non-stationary series pattern extraction
using deep learning and GARCH modeling.” Journal of Cloud Computing, Vol. 13, 2, https://doi.org/10.1186/s13677-023-00576-7."

"Hao, W., Sun, X., Wang, C., Chen, H. and Huang, L. (2022). “A hybrid EMD-LSTM model
for non-stationary wave prediction in offshore China.” Ocean Engineering, Vol. 246,
110566, https://doi.org/10.1016/j.oceaneng.2022.110566."

"Hochreiter, S. and Schmidhuber, J. (1997).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Vol. 9, No. 8, pp. 1735-1780, https://doi.org/10.1162/neco.1997.9.8.1735."

"Hoopes, C. A., Castro, C. L., Behrangi, A., Ehsani, M. R. and Broxton, P. (2023).
“Improving prediction of mountain snowfall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Meteorological Applications, Vol. 30, No. 6, e2153, https://doi.org/10.1002/met.2153."

"Jeong, Y., Lee, S., Lee, J., Seo, B., Kim, D., Seo, Y. and Choi, W. (2022). “Development
of a stochastic snow depth prediction model using a bayesian deep learn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4, No. 6, pp. 35-41,
https://doi.org/10.5389/KSAE.2022.64.6.035 (in Korean)."

"Kim, D., Jeong, Y., Lee, S., Lee, J., Hwang, K. and Choi, W. (2021). “Development
of snow load sensor and analysis of warning criterion for heavy snow disaster prevention
alarm system in plastic greenhous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3, No. 2, pp. 75-84, https://doi.org/ 10.5389/KSAE.2021.63.2.075
(in Korean)."

"Kim, S. O., Park, J. H. and Hwang, K. H. (2022a). “Minimizing estimation errors of
a wind velocity forecasting technique that functions as an early warning system in
the agricultural secto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24, No. 2, pp. 63-77, https://doi.org/10.5532/KJAFM.2022.24.2.63 (in Korean)."

"Kim, Y. G., Kim, B. J. and Ahn, S. M. (2022b). “Application of a spatiotemporal transformer
model for improving fine dust forecasting performance.”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28, No. 1, pp. 329-352, http://dx.doi.org/10.13088/ jiis.2022.28.1.329
(in Korean)."

"Kim, Y., Kang, N., Kim, S. and Kim, H. (2013). “Evaluation for snowfall depth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KOSHAM, Vol. 13,
No. 2, pp. 269-280, http://dx.doi.org/10.9798/KOSHAM.2013.13.2.269 (in Korean)."

"Ku, S. K., Hong, S. M., Kim, K. Y. and Kwon, J. (2019). “Development for estimation
improvement model of wind velocity using deep neural network.”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ol. 23, No. 6, pp. 597-604, https://doi.org/ 10.12673/jant.2019.23.6.597
(in Korean)."

"Lee, J. W. (2022). “Greenhouse design and disaster prevention.”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4, No. 1, pp. 43-53 (in Korean)."

"Lee, J. W., Park, T. N., Jo, Y. W., Jeong, S. Y., Hwang, J. H., Ahn, T. Y., Mun,
H. R., Kim, H. H. and Kim, S. B. (2025). “Long-term sales forecasting for apparel
sales based on transform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 51, No. 1, pp. 48-60, https://doi.org/10.7232/JKIIE.2025.51.1.048 (in Korean)."

"Lee, S. and Bae, H. B. (2025).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LSTM-based time series data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8, No. 1, pp. 24-31, http://dx.doi.org/10.17661/jkiiect.2025.18.1.24
(in Korean)."

"Lee, S., Jeong, Y., Lee, J., Chung, G. and Choi, W. (2020). “Development of a heavy
snowfall alarm model using a Markov chain for disaster prevention to greenhouses.”
Biosystems Engineering, Vol. 200, pp. 353-365, https://doi.org/10.1016/ j.biosystemseng.2020.10.01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24). Greenhouse Statistics
and Vegetable Yield Trends in 2023 (in Korean)."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24). 2020 Disaster Report (in Korean)."

"Niu, X., Liu, Y. and Ma, M. (2024). “A transformer-based model for time series prediction
of remote sensing data.” Advanced Intelligent Computing Technology and Applications,
Vol. 14876, pp. 188-200, https://doi.org/10.1007/978-981-97-5666-7_16."

"Oh, Y. R. and Chung, G. (2017). “Estimation of snow damage and proposal of snow damage
threshold based on historical disaste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2, pp. 325-331, https://doi.org/10.12652/Ksce.2017.37.2.0325
(in Korean)."

"Park, J. M., Lee, D. W., Jo, G. and Yoon, H. S. (2023). “Transformer-based photovoltaic
power prediction model utilizing multiple weather forecast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43, No. 6, pp. 87-95, https://doi.org/10.7836/ kses.2023.43.6.087
(in Korean)."

"Qian, Y. (2025). “An enhanced transformer framework with incremental learning for
online stock price prediction.” PLOS One, Vol. 20, No. 1, e0316955, https://doi.org/10.1371/journal.
pone.0316955."

"Seo, B. H., Lee, S., Kim, D. K., Lee, J. H., Kim, D. S., Kim, D. W., Jo, Y. and Choi,
W. (2025).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procedure of plastic single-span greenhouses
considering semi-rigid clamp joints.” Results in Engineering, Vol. 25, 104106, https://doi.org/10.1016/j.rineng.2025.104106."

"Vaswani, A., Shazeer, N., Parmar, N., Uszkoreit, J., Jones, L., Gomez, A. N., Kaiser,
L. and Polosukhin, I. (2017). “Attention is all you need.”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30, United States of America, pp. 1-11."

"Victoria, A. H. and Maragatham, G. (2021). “Automatic tuning of hyperparameters using
bayesian optimization.” Evolving Systems, Vol. 12, No. 1, pp. 217-223, https://doi.org/10.1007/s12530-020-09345-2."

"Wu, S., Xiao, X., Ding, Q., Zhao, P., Wei, Y. and Huang, J. (2020). “Adversarial
sparse transformer for time series forecasting.”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33, Online, pp. 1-11."

"Zhang, X., Li, X., Li, L., Zhang, S. and Qin, Q. (2019).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nowfall and snowfall prediction in the Tianshan Mountains, Northwest China.” Journal
of Arid Land, Vol. 11, pp. 15-28, https://doi.org/10.1007/s40333-018-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