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국립한국해양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Nationa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ptkwes@naver.com)
  2. 정회원․교신저자․도건이엔씨 (Corresponding author․Dogeon Engineering & Construction․dgenc77@hanmail.net)
  3. 정회원․광림엔지니어링 이사 (Kwanglim Engineering Co., Ltd․sckang74@nate.com)
  4. 정회원․국립한국해양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Nationa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kth67399@kmou.ac.kr)



수평배수층, 성토, 연약지반, 급속 침하 및 융기, 성토속도
Horizontal drainage layer, Embankment fill, Soft ground, Rapid settlement and heaving, Fill rate

1. 서 론

최근 부산항 신항에서는 허용침하를 초과하는 잔류침하 발생으로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현황 측량을 통한 2022년 기준 신항내 잔류지반침하 현황 조사 결과를 보면 Table 1과 같다. 이 침하량은 레벨 측량을 통해 측정한 값이다. 컨테이너 5부두의 경우 허용침하량 10 cm을 크게 초과하는 47.5 cm 침하가 발생하여 유지보수가 이루어진 상태이다(Fig. 1).

2024년에 개장한 서컨테이너 2-5(운영사 동원글로벌터미널) 자동화 부두와 2032년 개장 예정인 부산항 진해신항은 침하문제에 더 민감한 스마트, 자동화 항만으로 구축되므로 잔류침하 문제는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잔류침하 문제는 이론뿐만 아니라 설계와 시공 등에서 원인을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해 왔지만 시공장비의 능력 부족, 지반 개량 재료의 특성치 분석 한계, 계측기술 한계 등으로 대심도 연약지반의 침하에 대한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상당 기간을 지내왔다(Bo et al., 1998; Arulrajah et al., 2003; Nomura et al., 2008; Kim et al., 2021; Kang et al., 2021).

2010년 전후로 계측기술의 발달로 실제 침하량을 측정하여 이 값으로 이론을 보완하게 되어 과거보다는 개량기술이 크게 향상되었고 시공기술과 장비 또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화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과 경비를 최적화할 수 있었고, 또 준공 후의 실제와 예상침하량 사이의 차이도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런데도, 대심도 연약지반, 특히 준설점토를 매립한 부산항 신항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현장에서 준공 후의 실제침하량이 예상잔류침하량보다 상당히 크게 발생하였다(Chung et al., 2009; Kim et al., 2015; Jung et al., 2022).

Jang(2020)Kim et al.(2021)은 이런 문제를 인지하고 부산항 신항과 관련된 방대한 양의 기존 자료조사 및 분석, 침하 현황 측량, 설계 및 시방기준의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평배수층의 변형이 잔류침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장 참조). 수평배수층 관련 기존 연구 및 설계기준은 수평배수층의 두께가 온전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전제조건하에 소요 통수능산정, 모래를 대신하는 대체 재료 등과 관련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Kim et al., 2002; Lee et al., 200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1). 하지만 지반개량과정에서 수평배수층의 단면이 변형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 부산항 신항에서 기존에 수행된 사업으로부터 획득한 계측 자료 분석를 통해 수평배수층의 변형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통해 현장시험에 필요한 조건(성토높이, 성토속도, 집수정 간격)을 결정하여 수평배수층 변형 확인 현장시험에 적용하여 계측을 통해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검토해 보았다.

Table 1. Residual Settlement Amount That Occurred after Completion of Busan New Port (Busan Regional Office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4)

Pier

Completion date

(yyyy.mm)

Period of operation

(year, as of December 2022)

Settlement after completion (cm)

Container pier 1

2005.02~2005.12

17.0 ~ 17.8

7.6 ~ 47.2

Container pier 2

2006.12~2009.05

13.6 ~ 16.0

1.4 ~ 30.7

Container pier 3

2009.05

13.6

-5.6 ~ 12.1

Container pier 4

2010.02

12.8

-0.4 ~ 30.9

Container pier 5

2012.01

10.9

0.5 ~ 47.5

Ungdong hinterland phase 1

2013.11~2014.05

8.6 ~ 9.1

18.0 ~ 146.0

Fig. 1. Residual Settlement of Container Pier 5 in Busan Port New Port after Construction Completion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png

2. 기존 계측자료 결과 분석을 통한 수평배수층 변형 사례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에서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극단적으로 표현한 모식도가 Fig. 2이다. 지반개량을 위한 급속한 재하성토는 수평배수층의 침하와 융기를 발생시켜 수평배수층의 단면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하성토는 인접부 성토, 집수정 가동, 중차량 이동 등 성토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포함한다. 수평배수층의 단면 축소는 압밀수의 배수지연 및 배수고립 구간의 발생을 유발하여 불균질 지반개량과 압밀지연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장기 잔류침하 문제를 유발시킨다.

Fig. 3은 부산항 신항에서 발생한 지표침하판의 재하성토에 따른 침하 결과로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계측 결과 중 하나이다. 그림은 원본 각 공구 마다 계측사가 다른 관계로 그림의 형태가 다르다. 계측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부산항 신항 각 공구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재하성토 과정에서 지반의 융기와 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빨간색 원). 그림을 자세히 보면, 특히 재하성토 초기(성토 높이 0~4.0 m)에 침하 변형 경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부산항 신항 지역이 준설점토가 원지반점토 상부에 매립되어 있어 초기 재하성토에 지반의 변형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각 공구별 집수정 간격은 100 m 이상이었다.

Fig. 2. Schematic Diagram of Horizontal Drainage Layer Deformation according to Preloading in Deep Soft Ground with Dredged Clay Dumped at the Upper Part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2.png

Fig. 3. Settlement due to Embankment Filling of in Busan New Port. (a) Ungdong Hinterland Phase 1, Zone 3, (b) Ungdong Hinterland Phase 1, Zone 4, (c) West Container Zone 2-5, (d) West Container Zone 2-6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3-1.png../../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3-2.png

3. 시험시공

3.1 개요

현장시험은 부산항 신항 일원 배후단지 지역에서 수행하였다(Fig. 4). 수평배수층은 PET 매트(Polyester mat)(300 kN/m) 설치 후 2.0 m 높이의 쇄석(40 mm 이하)을 포설하면서 수평배수관 및 집수정을 시공하였다. 수평배수층 포설 후 PVD(Prefabricated \vertical Drain) 시공을 완료 후 2023년 11월 9일부터 2023년 12월 8일까지 성토높이 1.5 m(0.5 m씩 3회), 성토속도 3.3 cm/일(1.0 m/month)로 쇄석(Φ200~300 mm)으로 재하성토를 실시하였다. 시험시공 부지에는 4개소의 집수정이 60 m 간격으로 설치되었다. 수평배수층 두께, 성토높이, 성토속도, 집수정 간격 등은 기존 연구 Kim et al.(2021)의 결과와 2절에서 제시된 각 공구별 계측자료와 집수정 설치 위치 등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종합하면, 시험은 수평배수층 두께, 1회 재하성토 쌓기 두께, 성토 속도, 집수정 간격을 고정한 상태로 실시하여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검토하였다.

Fig. 5는 현장시험 구간 지층상태이다. 상부에 점토준설매립층, 그리고 그 하부에 원지반점토층이 분포한다. 시험구역의 평균 준설점토매립층 두께는 10 m이고, 상부원지반점토 두께는 15 m, 그리고 하부원지반점토 두께 14 m 정도이다. 연약지반 개량은 47 m 정도 깊이까지 이루어졌다.

Fig. 4. Test Construction Site and Water Collecting Well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4.png

Fig. 5. Ground Condition of Test Site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5.png

3.2 계측기 설치 및 측정 빈도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검토하여 위하여 지표침하계,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층별침하계를 설치하였다(Table 2). Fig. 6은 계측기 설치 위치도다. 지표침하판은 수평배수층 상부에서 침하량을 측정하여 수평배수층의 단면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레벨기를 이용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간극수압계는 수평배수층과 점토층에 설치하여 간극수압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중 수평배수층에 설치한 간극수압계는 수평배수층 하부 0.1~0.4 m 지점에 설치되었다. 간극수압계는 성토 후 점토층에서의 과잉간극수압 생성 및 소산속도를 평가하고, 수평배수재의 통수능(간접적으로 단면변화) 분석과 수평배수층 내 과잉간극수압 발생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하수위계는 정수압 측정, 수평배수층 배수효과 검증 및 집수정 운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확인이 목적이다. 층별침하계는 지층별 침하량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으로 수평배수층 단면 변화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계측기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계측기로 특별히 스크류타입을 사용하였다(Fig. 7). 지반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봉을 보호관(파상형 경질관(ELP)으로 천공심도까지 설치하고,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측정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켰다(Kim et al., 2023). 측정 방법은 지표침하판과 동일하게 레벨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부산신항의 상부지반은 비배수전단강도가 5.0 kPa 이하의 준설매립점토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스크류앵커는 자체 중량에 의한 지반 관입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 70 mm 길이 1.5 m를 적용하였다.

Table 2. Quantity of Instrument Installation and Frequency of Measurement

Instrument

Installation quantity

Measurement frequency during embankment fill

Before

During

After

Settlement plate

19

Initial value 2 times

1 time/day

3 times/week

Porewater pressure gauge

40

Initial value 2 times

1 time/day

3 times/week

Ground water level

17

Initial value 2 times

1 time/day

3 times/week

Multi-layer settlement gauge

16

Initial value 2 times

1 time/day

3 times/week

Fig. 6. Schematic Diagram of Instruments Installation in Each Ground Layer and Study Site after Installa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a) Schematic Diagram of Instruments Installation, (b) Study Site after Installa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6-1.png../../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6-2.png

Fig. 7. Screw-Type Multi-Layer Settlement Gauge : (Left) Schematic Diagram, (Right) Actual Screw Anchor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7-1.png../../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7-2.png

4. 시험시공 계측 결과

4.1 지표침하판

계측결과, 성토속도 제어로 인해 급격한 침하발생 및 융기현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8). 2024년 3월 22일까지 2.17~3.38 m 침하가 발생하였으며, 성토 이후 서서히 침하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시험시공 구간의 부등침하는 60 m 구간에서 최대 0.67 m 정도 발생하였지만 침하속도의 급격한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Fig. 8. Representative Results of Settlement Plate Gauge according to Elapsed Time. (a) SP-1, (b) SP-3, (c) SP-5, (d) SP-7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8.png

4.2 간극수압계

수평배수층에 설치된 간극수압계 측정결과, 25.10~38.73 kPa 정도로 측정되었다(Fig. 9). 전체적인 지반 침하로 인해 간극수압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과잉간극수압은 측정결과 3.7~14.3 kPa 정도 발생하였다.

Fig. 9. Results of Pore Pressure Gauge Installed in Horizontal Drainage Layer according to Elapsed Time. (a) PZ-4-1, (b) PZ-4-2, (c) PZ-6, (d) PZ-7-1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9.png

4.3 지하수위계

지반의 침하로 지하수위는 수평배수층 상부 성토층에 존재하고 초기단계에서부터 집수정 운용 전까지는 전 구간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였다(Fig. 10). 집수정 운용 후 15일간 4.2 cm/일 정도의 속도인 0.63~0.65 m 정도의 지하수위가 저감하였으며, 이는 집수정 운용기간 동안 평균 침하속도가 0.80 cm/일임을 감안하면 집수정 운용에 따른 압밀수 유출속도는 5.0 cm/day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 Results of Ground Water Level according to Elapsed Time. (a) WL-1, (b) WL-3, (c) WL-5, (d) WL-7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0.png

Table 3. Preload Embankment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nd Presented in the Road Design Manual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20)

Type of ground

Preload embankment rate

Thick clay ground and thick peat soil ground with thick deposits of organic soil

3 cm/day

General clay ground

5 cm/day

Thin clay ground and thin peat soil ground with almost no organic soil

10 cm/day

4.4 층별침하계

총 재하성토 1.5 m에 의하여 침하가 발생하여 지표침하판과 층별침하계 침하 경향과 거의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Fig. 11(a)). 준설매립층, 상부 원지반점토, 하부원지반 점도, 미개량 기층에 대한 지층별 침하량을 좀 더 자세히 보면, 상부 원지반점토층의 심도가 두꺼워 크게 발생하지만 지층 깊이 1 m 당 침하량은 준설점토매립층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11(b)).

Fig. 11. Results of Settlement Plate and Multi-Layer Settlement Gauges (a) Summed Up and (b) Individual Layer of Each Stratum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1.png

5. 시험시공 계측 결과의 분석 및 고찰

5.1 지표침하판

4장의 각 계측기의 계측결과를 보면 성토속도 제어로 인해 급격한 침하발생 및 융기현상 없는 것으로 나타나 수평배수층의 배수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단면 변형(침하나 융기)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성토 시 과다 침하 및 융기가 되지 않도록 성토관리(1회 성토높이 0.5 m, 성토속도 3.3 cm/일)를 실시하면 집수정간 이격거리(60 m) 구간에서 부등침하를 충분히 제어하여 수평배수층에서 지하수 흐름을 허용 동수구배 이내로 관리할 수 있다.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초기 성토 0~4.0 m 재하성토 높이에서는 별도 관리기준을 수립하여 시공 중 기준 이내가 되도록 엄격한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국가건설기준 지반공사 표준시방서에도 성토 속도와 관련된 기준은 없고 성토 두께와 관련하여 1층 두께를 0.3 m 이하고 제시하고 있다. 도로공사 표준시방서에는 흙쌓기 1층 두께를 0.5 m 이하로 제시하고 있다. 성토속도와 관련된 기준은 현재 도로설계편람에 제시한 기준이 존재한다.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은 국가설계기준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성토 두께 및 성토 속도와 관련된 규정은 없어 도로설계편람의 보통의 점토질 지반에 적용하는 5 cm/일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Fig. 12는 지표침하판 계측결과(4.1절 참조)를 시간에 따른 지반의 침하속도로 나타낸 것이다. 성토 초기에 침하속도가 증가하나 이후 서서히 침하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위치별 침하속도가 차이가 있는 것은 인접성토 영향이다. 위치별로 침하속도의 미소한 차이는 보이고 있지만 전단변형에 의한 침하나 융기 등의 현상은 나타나지 않아, 이 결과를 기준으로 보면 준설매립지반에서 성토초기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 약 3.3 cm/일(1.0 m/월) 성토 속도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Fig. 12. Settlement Rate of Representative Poi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 SP-1, (b) SP-3, (c) SP-5, (d) SP-7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2.png

5.2 간극수압계

4.2절의 간극수압 측정 결과를 보면, 수평배수층에 설치된 간극수압은 25.10~38.73 kPa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지반의 침하로 간극수압계 센서가 침하하고, 이로 인한 정수압 증가로 간극수압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시공 시 재하되는 성토재는 투수계수가 큰 사석으로, 수평배수층으로 배출된 압밀수는 성토체로 쉽게 유입되며, 수평배수층 내 과잉간극수압은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였지만 약 3.7~14.3 kPa 정도의 과잉간극수압 발생하였다. 성토 초기단계에서는 과잉간극수압이 미미하였으나 침하가 계속 진행될수록 전구간 과잉간극수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인은 수평배수층 단면의 축소가 아니고, 1 m 간격의 PVD 시공으로 인해 분리매트(PET, 300 kN/m)가 손상되고 소성유동이 큰 준설매립점토가 압밀수 배출과정에서 수평배수층 내부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수평배수층 내 간극수압계는 수평배수층 하부 0.1~0.4 m 지점에 설치되어 있어 간극수압계 설치단면을 고려하면 준설점토가 유입되어 기능저하가 발생하는 구간은 수평배수층 하부 0.5 m 이상일 것이다(Fig. 13(a)).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수에 의한 공저법으로 수평배수층에 대한 투수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Fig. 13(b)와 같다. 준설매립점토의 유입이 예상된 하부 수평배수층 심도인 GL(-)3.2~(-)3.4 m 지점에서 투수계수는 4.49×10-3~1.78×10-2 cm/sec(평균 9.24×10-3 cm/sec) 정도로 나타났으며, 상부 수평배수층에서의 평균 투수계수(1.27×10-1 cm/sec)보다 13.7배 정도 작게 평가되었다. 간극수압 측정결과와 현장투수계수 결과, 수평배수층 하부 0.2~0.3 m 정도는 PVD 시공으로 준설매립점토가 유입됨으로 설계 시 수평배수층 단면 감소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는 재하성토에 따른 수평배수층의 단면 변화와는 별개이다.

Fig. 13. In the Horizontal Drainage Layer. (a) Schematic Diagram of Pore Pressure Gauge Installation Location and Clay Inflow, and (b) Permeability Coefficient Measurement Results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3.png

5.3 지하수위계

지하수위계 설치 초기 상태에서는 압밀수가 수평배수층으로 유입되는 시간적 차이로 인하여 위치별로 지하수위 높이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재하 성토에 따른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대부분 수평배수층 상부 성토층에 존재한다. 침하가 진행될수록 집수정 운용 유무와 관계없이 시험시공 구간 수평배수층에 설치한 지하수위계의 수위는 거의 일정한 레벨에 존재하고 있다.

2024년 3월 7일부터 3월 22일까지 15일간 시험시공 구간에 설치된 집수정 4개소를 운용했으며, 운용 이후 0.62~0.64 m 정도의 지하수위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수정 운용 여부에 따라 지하수위가 변동하므로 재하성토 초기부터 집수정 운영이 필요하며, 최소한 평균 침하속도(압밀수 유입량)보다 압밀수 유출속도가 크도록 집수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Fig. 14를 보면 우천 이후에는 3개 시기에 지하수위가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지하수위 상승 높이가 강우량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수평배수공법 설계 시는 강우 시 지반에 침투하는 강수량은 10 % 내외 적용하고 있는데, 당 현장처럼 투수성이 좋은 성토재를 사용하는 경우 강수량 100 %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Fig. 14. Change in Groundwater Level according to Rainfall at WL-3 in the Study Site

../../Resources/KSCE/Ksce.2025.45.2.0237/fig14.png

5.4 층별침하계

예상한 바와 같이 스크류타입의 층별침하계 설치로 침하량이 지표침하판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평배수층의 급속한 침하나 융기 발생없이 시공 전 수평배수층 단면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성토 관리가 양호할 경우 수평배수층에서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층별침하계 계측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다.

4.4절 지층별 침하발생 경향을 보면 원지반점토 상부에서 가장 큰 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준설점토매립층(약 10 m)에서 0.873~1.206 m 침하가 발생하여 전체침하량에 대비하여 30.2~ 36.6 % 발생하였다. 원지반점토 상부(두께 15 m)에서는 1.290~ 1.423 m 침하가 발생하여 전체침하량에 대비하여 42.3~49.3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지반점토 하부(두께 14 m)에서는 0.513~0.699 m 침하가 발생하여 전체침하량에 대비하여 18.3~ 21.3 % 발생하였다. 그리고 미개량층(두께 3 m) : 0.035 m 침하 발생하여 작지만 전체침하량에 대비하여 1.3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지반점토 상부에서 침하가 크게 발생한 것은 해당 지반의 두께 심도가 상대적으로 두껍기 때문이다.

6. 결 론

수평배수층의 변형을 검토관련, 기존계측자료 문헌검토와 지표침하, 간극수압, 지하수위, 층별침하를 측정한 현장시험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존계측자료 문헌 검토 결과, 부산항 신항 각 공구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재하성토 과정에서 지반의 융기와 침하가 발생하였다. 특히 재하성토 초기(성토 높이 0~4.0 m)에 침하와 융기 변형 경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부산항 신항 지역이 준설점토가 원지반점토 상부에 매립되어 있어 초기 재하성토에 지반의 변형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지표침하 계측결과, 성토 제어로 인해 급격한 침하발생 및 융기현상 없는 것으로 나타나 수평배수층의 배수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단면 변형(침하나 융기)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성토 시 과다 침하 및 융기가 되지 않도록 성토관리(1회 성토높이 0.5 m, 성토속도 3.3 cm/일)를 실시하면 집수정간 이격거리(60 m) 구간에서 부등침하를 충분히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극수압 계측결과, 수평배수층에 설치된 간극수압은 전체적인 지반 침하로 인해 간극수압계가 침하함에 따라 수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정수압의 증가로 판단되며 수평배수층의 단면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 측정결과, 재하 성토에 따른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대부분 수평배수층 상부 성토층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하가 진행될수록 집수정 운용 유무와 관계없이 시험시공 구간 수평배수층에 설치한 지하수위계의 수위는 거의 일정한 레벨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그 원인은 투수성이 큰 성토재의 영향으로 지하수위가 일정한 레벨로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다.

층별침하계 측정결과, 스크류타입의 층별침하계 설치로 침하경향이 지표침하 계측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계측결과, 초기성토에 의한 수평배수층의 급속한 침하나 융기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공 전 수평배수층 단면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Busan Port Construc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ferences

1 
"Arulrajah, A., Nikraz, H. and Bo, M. W. (2003). “Factors affecting field settlement assessment and back-analysis by the Asaoka and Hyperbolic methods.” Australian Geomechanics, Vol. 38, No. 2, pp. 29-37."URL
2 
"Bo, M. W., Arulrajah, A. and Choa, V. (1998). “Instrumentation and monitoring of soil improvement work in land reclamation projects.”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IAEU Congress, Rotterdam, pp. 1333-1392."URL
3 
"Busan Regional Office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4). A report of Busan Port Jinhae New Port ground performance improvement research, pp. 653 (in Korean)."URL
4 
"Chung, S. G., Lee, N. K. and Kim, S. R. (2009). “Hyperbolic method for prediction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performance.”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35, No. 10, pp. 640-642."DOI
5 
"Jang, J.-G.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field Conditions at the field of soft ground, Ph.D. Dissertations, Pusan Nation University, pp. 219 (in Korean)."URL
6 
"Jung, N.-Y., Kang, S.-C. and Kim, T.-H. (2022). “Instrumentation management of the deep soft ground with dredged clay reclaimed in the upper.”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8, No. 12, pp. 67-78, https://doi.org/10.7843/kgs.2022.38.12.67 (in Korean)."DOI
7 
"Kang, G., Kim, T.-H. and Yun, S.-K. (2021). “Measured performance and analysis of the residual settlement of a PVD-improved marine soft ground.”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Vol. 20, No. 5, pp. 1055-1066, https://doi.org/10.1007/s11802-021-4625-3."DOI
8 
"Kim, T.-H., Kang, S.-C., Jang, J.-G. and Heo, S.-H. (2023). “Instrumentation management of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deep soft ground with dredged clay reclaimed in the upper.”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22, No. 1, pp. 87-96, https://doi.org/10.12814/jkgss.2023.22.1.087 (in Korean)."DOI
9 
"Kim, T.-H., Yoo, S.-H., Jang J.-G., Kim, T.-O., Heo, S.-H., Kang, S.-C. and Park, J.-S. (2021). “A report on improvement measures f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oft ground improvement work sta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170 (in Korean)."URL
10 
"Kim, H.-T., Kim, S.-K. and Kong, K.-Y. (2002). “Required discharge capacity for horizontal drains installed with \vertical drain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8, No. 1, pp. 59-70 (in Korean)."URL
11 
"Kim, J.-H., Kang, S.-H. and Kim, T.-H. (2015). “Settlement prediction for staged filling construction on the PVD-improved soft ground using SPSFC method.” Procedi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Vol. 15, pp. 146-151, https://doi.org/10.1016/j.proeps.2015.08.036."DOI
12 
"Lee, J.-Y., Chun, H.-P., Jeong, W.-C. and Lim, H.-S. (2008). “A study on utilization of recycled aggregates as lateral drain for soft ground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4, No. 10, pp. 5-15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