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일본국립연구개발법인해상 ․ 항만 ․ 항공기술연구소항만공항기술연구소전임연구원 (Port and Airport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Maritime, Port and Aviation Technology, Japan ․ yan-s2@p.mpat.go.jp)
  2. 종신회원 ․ (주)모든엔지니어링이사 (Modeun Engineering Co., Ltd. ․ ktmoon@jejunu.ac.kr)
  3. 종신회원 ․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명예교수 (Jeju National University ․ sypark@jejunu.ac.kr)
  4. 정회원 ․ 교신저자 ․ (주)모든엔지니어링대표 (Corresponding Author ․ Modeun Engineering Co., Ltd. ․ boosi311@daum.net)



겉보기비중, 건조밀도, 흡수율, 총 공극률, 일축압축강도, 화산암
Bulk specific gravity, Dry density, Absorption, Total porosity,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Volcanic rocks

1. 서 론

제주도의 지반은, 토사로 이루어진 얇은 표층 아래에 여러 차례의 화산활동으로 인하여 생성된 용암류 암반, 화산쇄설층 및 공동이 불규칙하게 발달된 층상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마다 다양한 지질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용암류 암반은, 용암 속에 존재하던 휘발성분이 빠져나가지 못하여 굳으면서 형성된 기공(Vesicle)이 불규칙적으로 발달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제주도의 독특한 지반특성으로 인하여 대규모 건설공사 및 지하수 개발 시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육·해상 풍력발전단지, 신항만, 공항 확장 등의 인프라시설 확충에 대비하여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공학적 관점에서의 물리·역학적 특성 및 설계에 반영할 지반강도정수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오래 전부터 제주도의 화산암에 대한 물리·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Choi, 1990; Kim and Choi, 1991; Eum, 2002; Kim, 2007; Nam et al., 2008a, 2008b, 2009; Cho et al., 2009; Moon et al., 2014; Yang, 2014, 2015a, 2015b, 2016, 2020, 2022; Yang and Sassa, 2016, 2017; Yang and Boo, 2019; Moon and Yang, 2020; Park and Moon, 2020).

공극률(Porosity)은 암석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하나로서, 풍화등급, 투수계수, 탄성파속도, 전기비저항, 강도, 변형성 등과 같은 물리·역학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Kelsall et al., 1986; Franklin and Dusseault, 1991; Al-Harthi et al., 1999; Saar and Manga, 1999; Tuğrul, 2004; Chang et al., 2006; Barton, 2007; Pola et al., 2010; Heap et al., 2022).

제주도 화산암의 공극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의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역학적 특성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는 화산암석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열린 기공(open vesicles, connected vesicles)과 관련된 흡수율(absorption) 또는 유효 공극률(effective porosity)을 사용하였다. 한편, 암석의 체적에 대한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closed vesicles, isolated vesicles) 체적의 비, 즉 총 공극률(total porosity)을 보고한 연구는 Choi(1990)와 Kim and Choi(1991)의 연구가 유일하다고 사료된다.

제주도 화산암은 흡수율(또는 유효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크게 두 개의 선형 관계(선형 회귀(1), 선형 회귀(2))로 나타낼 수 있으며(Fig. 1), 각각의 선형 관계에 해당하는 제주도 화산암은 탄성파속도비, 일축압축강도, 점착력 등의 특성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거동을 보인다(Yang, 2014, 2015a, 2015b; Yang and Sassa, 2016, 2017). 그리고, Fig. 1에 나타낸 결과를 바꾸어 말하자면, 제주도 화산암은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다르며, 그 비율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화산암이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어느 한 지역에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크게 다른 화산암이 분포함으로써(Yang, 2014), 제주도 화산암의 열린 기공과 관련된 물리적 특성(흡수율 또는 유효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를 비롯한 그 밖의 역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나타낼 시 그 관계를 명확하게 단정지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도 화산암의 역학적 특성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흡수율(또는 유효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두 개의 선형관계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든지(Yang, 2014, 2015a), 하나로 통합된 관계를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을 함께 반영하는 총 공극률을 앞서 언급한 화산암의 역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인자로 선정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 북부지역에서 채취한 화산암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실내시험 결과와 더불어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총 공극률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 파라미터와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Fig. 1.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nd Bulk Specific Gravity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Adapted fromYang (2020)). The Results ofKim and Choi(1991)Corresponding to Linear Regression (2) have been Modified to Reflect the Results of Choi (1990)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1.png

2. 제주도 화산암 시편 및 시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 화북동, 조천읍 북촌리 및 애월읍 상가리와 어음리에서 채취한 화산암을 대상으로 다양한 물성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질도(GBDOP, KIGAM)에 따르면, 화북동에는 건입동하와이아이트(Qknh)와 영평동현무암(Qypb), 북촌리에는 선흘리현무암질안산암(Qsba), 상가리에는 금덕리현무암(Qkdb), 어음리에는 부면동조면현무암(Qbmtb)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채취한 화산암을 사용하였다.

암석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시편의 방향성 유지를 위해 지하수 관정 굴착시 채취된 동일심도의 화산암을 사용하였으며, 화북동에서 채취한 암석은 비트의 크기가 NX구경, 북촌리, 상가리 및 어음리에서 채취한 암석은 BX구경의 코어 시추기를 이용하였다. 암석시편의 직경(D=Avg.±SD)은 NX인 경우 51.31±0.81 mm, BX코어인 경우 43.29±0.48 mm였으며, 원주형으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암석의 압축강도시험 규정(KS E 3033, ASTM D7012)에 따라, 암석의 종횡비(D/H; D: 암석 시편의 직경, H: 암석 시편의 높이)가 약 0.5가 되도록 일축압축강도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Fig. 2는 시험에 사용된 암석 시편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화북동, (b)~(d)는 북촌리, (e)는 상가리, (f)는 어음리의 것이다.

Fig. 2. Test Specimens. (a) Hwabuk-dong, (b) Bukchon-ri A, (c) Bukchon-ri B, (d) Bukchon-ri C, (e) Sangga-ri, (f) Eoeum-ri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2.png

제작된 암석 시편의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겉보기비중/흡수율 시험(KS F2518, ASTM C97-02)과 일축압축강도시험(KS E 3033, ASTM D 7012)을 KS 및 ASTM 규격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암석 시편의 건조밀도(dry density, rd), 유효 공극률(effective porosity, ne) 및 총 공극률(total porosity, nt)은 ISRM에서 제시한 방법(Ulusay and Hudson, 2007)에 따라 각각의 물성값을 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암석 시편의 흡수율(absorption, w), 겉보기비중(bulk specific gravity, GB) 및 건조밀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암석 시편의 건조 무게, 수중 무게 및 표면건조 포화상태 무게를 전자저울(CBX-22KH, CAS)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밀도의 산정에 필요한 암석 시편의 체적은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암석 시편의 직경과 높이를 각각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암석 시편의 유효 공극률은 시편의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을 곱하여 부력 이용 방법에 의한 값(Ulusay and Hudson, 2007)으로 산정하였으며, 암석 시편의 총 공극률은 분쇄된 암석 입자에 대한 밀도(grain density, rs)를 측정한 후에 식 (1)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일축압축강도시험은 만능재료시험기(SGA-B-100PC, Shingang Precisionind Co. LTD)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
../../Resources/KSCE/Ksce.2024.44.6.0817/eq1.png

암석 시편의 다양한 물성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부록(Appendix)에 수록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UCS)는 암석 시편의 직경에 대한 영향을 교정하기 위하여 Hoek(2007)에 의해 제안된 식 (2)를 이용하여 교정하였다.

(2)
../../Resources/KSCE/Ksce.2024.44.6.0817/eq2.png

여기서, sc50은 직경이 50 mm인 암석 시편의 UCS, sc는 측정된 UCS를 나타낸다.

3. 결과 및 분석

3.1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적 특성 간의 관계

3.1.1 건조밀도와 겉보기비중의 관계

겉보기비중과 암석의 공극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흡수율 및 총 공극률의 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제주도 화산암의 겉보기비중과 건조밀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시험한 화산암의 겉보기비중에 대한 건조밀도를 Fig. 3에 도식하였다. 겉보기비중과 건조밀도 사이에는 양(+)의 선형 관계에 있으며, 겉보기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건조밀도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겉보기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건조밀도와의 차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Fig. 2(a)의 가장 왼쪽 그리고 (d), (f)에 나타낸 암석 시편과 같이 기공이 발달한 화산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겉보기비중과 건조밀도 산정 시 암석 시편의 체적을 측정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기공이 발달하지 않은 암석 시편의 경우, 체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부력이용 방법과 캘리퍼스를 이용하는 방법의 차이가 거의 없지만 암석 시편에 기공이 발달한 경우 그 차이는 증가하게 된다. 부력법을 이용하여 기공이 크게 발달한 암석 시편의 체적을 측정할 경우, 크게 발달한 기공은 수분을 보지(retention)할 수 없기 때문에 암석 시편의 표면건조 포화상태 무게는 과소 평가되며, 이에 따라 암석 시편의 체적 또한 상대적으로 작게 평가하게 된다. 그 결과, 겉보기비중은 건조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평가된다. 한편, 암석 표면의 기공이 매우 발달한 제주도 화산암의 경우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암석 시편의 체적을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Choi, 1990), 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Fig. 3. Relationship between Bulk Specific Gravity and Dry Density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3.png

3.1.2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과 Kim and Choi(1991)가 보고한 제주도 북서부에 분포하는 화산암에 대한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를 Fig.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Fig. 1에 나타낸 선형회귀 (1)과 (2)에 해당하는 선형 근사선을 Fig. 4에 함께 도식하였다. 흡수율과 겉보기비중 사이에는 음(-)의 선형 관계에 있으며, 흡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비중은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Fig.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 또한 흡수율과 겉보기비중 사이의 관계는 크게 두 개의 선형 근사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선형근사에 해당하는 암석은 흡수율의 증가에 따른 겉보기비중의 감소율이 크게 다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대부분의 화산암은 선형 회귀(1)에 해당하며, 화북동에서 채취한 일부 화산암과 Kim and Choi(1991)가 보고한 화산암석의 대부분은 선형 회귀 (2)에 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4.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and Bulk Specific Gravity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4.png

3.1.3 유효 공극률과 총 공극률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의 유효 공극률과 총 공극률의 관계를 Fig. 5에 나타내었으며,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도 함께 도식하였다. Fig. 4의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과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각각의 암석은 유효 공극률의 증가에 따른 총 공극률의 증가율이 크게 다르며, 선형 회귀 (1)에 해당하는 암석이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암석에 비해 그 증가율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을 포함하여 Fig. 1에 나타낸 모든 제주도 화산암은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과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각각의 암석에 따라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서로 다르며, 그 비율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뉠 수 있으며, 선형 회귀 (1)에 해당하는 암석이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암석에 비해 닫힌 기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Porosity and Total Porosity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5.png

3.1.4 총 공극률과 건조밀도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의 건조밀도와 총 공극률의 관계를 Fig. 6에 나타내었다. 제주도 화산암의 총 공극률과 건조밀도는 음(-)의 선형 관계에 있으며, 총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건조밀도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룬 화산암 입자의 밀도는 2.789~3.128 g/cm3 범위로 그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Appendix Table 1), 건조밀도와 총 공극률의 상관성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Tuğrul(2004)은, 퇴적암, 화성암 등의 총 공극률과 건조밀도는 음(-)의 선형 관계에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와 정합하고 있다.

위 결과를 통하여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크게 다른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적 특성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총 공극률을 이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rosity and Dry Density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6.png

3.1.5 총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에 대한 총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를 Fig. 7에 나타내었으며, 이와 함께 Kim and Choi (1991)의 연구결과를 도식하였다. Figs. 3 and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유추할 수 있듯이, 제주도 화산암의 총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는 하나의 음(-)의 선형 관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총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비중은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총 공극률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에 비해 Kim and Choi(1991)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흩어져 있기 때문에 총 공극률과 건조밀도 사이의 결정계수(Fig. 6)에 비해 작은 결정계수를 보이고 있지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7.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rosity and Bulk Specific Gravity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7.png

3.2 제주도 화산암의 물리적 특성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3.2.1 겉보기 비중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의 겉보기비중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를 Fig. 8에 나타내었으며, 이와 함께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를 도식하였다. 겉보기비중과 일축압축강도 사이에는 멱함수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겉보기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Fig. 4에 나타낸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과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각각의 암석은 겉보기비중의 증가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증가율이 크게 다름을 알 수 있다.

Fig. 8. Relationship between Bulk Specific Gravity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8.png

3.2.2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의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를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와 함께 Fig. 9에 나타내었다.

Fig. 9.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on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9.png

Yang(2014)에 의하면, 제주도 화산암의 흡수율과 유효 공극률은 상관관계가 높은 양(+)의 선형 관계에 있으며, 제주도 화산암의 일축압축강도는 유효 공극률에 비해 흡수율과 그 상관성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준용하여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만을 나타내었다. Fig. 9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멱함수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그 결정계수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율이 약 3 % 이상인 구간에서는 흡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는 서서히 감소하고, 흡수율이 약 3 % 미만인 구간에서는 흡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앞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또한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과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각각의 암석은 흡수율의 증가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감소율이 다르며, 그 거동이 구분됨을 알 수 있다.

3.2.3 총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본 연구에서 다룬 제주도 화산암의 총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를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와 함께 Fig. 10에 도식하였다. Fig. 10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총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는 멱함수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Fig. 9에 나타낸 흡수율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에 비해 낮은 결정계수를 보이고 있지만, 그 상관관계는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Figs. 8 and 9의 결과와 달리, 총 공극률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는, 흡수율과 겉보기비중 사이의 두 개의 선형 관계와 상관없이 하나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닫힌 기공의 영향을 총 공극률에서는 반영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총 공극률의 증가에 따라 단면의 유효압축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일축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제주도 화산암과 같이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크게 다른 암석의 역학적 특성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총 공극률을 이용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총 공극률을 산정하지 못할 시, 겉보기비중(또는 건조밀도)와 흡수율(또는 유효 공극률)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후, 각각의 상관관계에 해당하는 암석을 구분하여, 해당 암석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Fig. 10.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rosity and Uniaxial Com- pressive Strength
../../Resources/KSCE/Ksce.2024.44.6.0817/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북부 지역에서 채취한 화산암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당해 실내시험 결과와 Kim and Choi(1991)의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총 공극률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와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를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 화산암은 흡수율과 겉보기비중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크게 두 개의 선형 관계(선형 회귀 (1), 선형 회귀 (2))로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공극률과 겉보기비중(건조밀도) 사이의 관계는 하나의 선형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2) 제주도 화산암의 흡수율과 겉보기비중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에 해당하는 암석이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암석에 비해 닫힌 기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3) 제주도 화산암의 일축압축강도와 겉보기비중 및 흡수율의 각각의 관계에 있어서, 선형 회귀 (1) 또는 선형 회귀 (2)에 해당하는 각각의 암석은 서로 다른 거동을 보이고 있다.

(4) 제주도 화산암의 일축압축강도와 총 공극률의 관계는 흡수율과 겉보기비중 사이의 두 개의 선형 관계와 상관없이 하나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5) 제주도 화산암과 같이 열린 기공과 닫힌 기공의 비율이 크게 다른 암석의 역학적 특성을 적절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총 공극률을 이용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총 공극률을 산정하지 못할 시 겉보기비중(또는 건조밀도)와 흡수율(또는 유효 공극률) 사이의 관계를 검토한 후 각각의 상관관계에 해당하는 암석을 구분하여 해당 암석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ppendix

Table 1. Summary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Intact Rocks Sampled in Hwabuk, Bukchon, Sangga, and Eoeum

Site

Specimen

No.

w

(%)

GB

rd

(g/cm3)

rs

(g/cm3)

ne

(%)

nt

(%)

sc

(MPa)

sc50

(MPa)

Hwabuk-dong

SS-1

3.29

2.09

2.017

2.981

6.86

32.33

36.15

36.44

SS-2

7.99

2.26

2.232

3.01

18.04

25.84

29.85

29.91

JC-1

1.79

2.68

2.636

2.951

4.81

10.68

54.04

54.17

JC-2

2.20

2.55

2.506

2.955

5.61

15.19

50.93

51.07

HB-2

1.34

2.81

2.785

3.078

3.75

9.52

120.83

121.80

NI-1

4.41

2.21

2.040

2.928

9.75

30.31

NI-2

7.67

1.71

1.507

2.915

13.11

48.29

NI-3

2.33

2.50

2.342

3.062

5.80

23.52

Bukchon-ri

CDA-1

1.94

2.591

2.587

2.979

5.03

13.16

61.41

59.75

CDA-2

2.03

2.579

2.576

2.965

5.24

13.12

59.04

57.43

CDA-3

1.96

2.6

2.594

2.907

5.10

10.77

77.45

75.37

CDA-4

2.02

2.591

2.584

2.954

5.23

12.53

69.87

67.97

CDA-5

1.97

2.584

2.58

2.994

5.09

13.83

59.2

57.60

CDB-1

1.72

2.627

2.603

3.018

4.52

13.75

96.09

93.48

CDB-2

1.71

2.624

2.617

3.04

4.49

13.91

115.58

112.42

CDB-3

1.81

2.617

2.592

3.009

4.74

13.86

83.02

80.76

CDB-4

1.76

2.637

2.627

2.999

4.64

12.40

57.84

56.27

CDB-5

1.85

2.623

2.594

3.011

4.85

13.85

60.6

58.95

CDC-1

3.04

2.321

2.2

2.856

7.06

22.97

28.89

28.10

CDC-2

2.62

2.38

2.291

2.859

6.24

19.87

37.85

36.83

CDC-3

2.56

2.381

2.306

2.861

6.10

19.40

38.1

37.05

CDC-4

2.38

2.39

2.301

2.945

5.69

21.87

43.24

42.07

CDC-5

2.31

2.448

2.367

3.036

5.65

22.04

73.17

71.20

CWA-1

2.04

2.598

2.631

2.959

5.30

11.08

CWA-2

1.98

2.604

2.656

3.026

5.16

12.23

CWA-3

2.12

2.58

2.62

3.016

5.47

13.13

CWA-4

2.11

2.601

2.615

2.938

5.49

10.99

CWA-5

2.12

2.606

2.594

2.995

5.52

13.39

CWB-1

2.01

2.63

2.654

3.066

5.29

13.44

CWB-2

2.01

2.635

2.633

3.004

5.30

12.35

CWB-3

1.92

2.619

2.649

3.02

5.03

12.28

CWB-4

1.9

2.625

2.637

2.986

4.99

11.69

CWB-5

1.98

2.631

2.65

3.128

5.21

15.28

CWC-1

2.82

2.385

2.361

2.987

6.73

20.96

CWC-2

2.99

2.415

2.392

2.939

7.22

18.61

CWC-3

2.7

2.403

2.141

2.935

6.49

27.05

CWC-4

2.68

2.441

2.173

2.858

6.54

23.97

CWC-5

3.11

2.361

2.083

2.919

7.34

28.64

TDA-1

2.42

2.594

2.565

3.02

6.28

15.07

TDA-2

2.34

2.586

2.569

2.971

6.05

13.53

TDA-3

2.3

2.604

2.561

2.986

5.99

14.23

TDA-4

2.43

2.609

2.545

3.04

6.34

16.28

TDA-5

2.35

2.62

2.571

2.971

6.16

13.46

TDB-1

1.93

2.655

2.613

3.054

5.12

14.44

TDB-2

2.2

2.65

2.627

3.006

5.83

12.61

TDB-3

1.84

2.659

2.618

2.982

4.89

12.21

TDB-4

1.89

2.65

2.552

3.025

5.01

15.64

TDB-5

1.93

2.635

2.596

3.01

5.09

13.75

TDC-1

4.13

2.313

1.993

2.789

9.55

28.54

TDC-2

2.52

2.504

2.359

2.858

6.31

17.46

TDC-3

2.47

2.463

2.324

2.855

6.08

18.60

TDC-4

2.41

2.439

2.282

2.832

5.88

19.42

TDC-5

4.23

2.334

2.067

2.905

9.87

28.85

TWA-1

2

2.617

2.616

2.966

5.23

11.80

TWA-2

2.12

2.61

2.624

2.979

5.53

11.92

TWA-3

2.14

2.607

2.625

2.913

5.58

9.89

TWA-4

2.1

2.592

2.587

2.853

5.44

9.32

TWA-5

2.37

2.612

2.625

2.949

6.19

10.99

TWB-1

1.84

2.633

2.624

3.049

4.84

13.94

TWB-2

1.97

2.621

2.642

3.066

5.16

13.83

TWB-3

1.97

2.647

2.644

3.036

5.21

12.91

TWB-4

1.66

2.62

2.675

3.095

4.35

13.57

TWB-5

1.85

2.641

2.678

3.082

4.89

13.11

TWC-1

2.67

2.457

2.414

2.895

6.56

16.61

TWC-2

2.79

2.402

2.324

2.851

6.70

18.48

TWC-3

2.68

2.429

2.354

2.854

6.51

17.52

TWC-4

2.45

2.473

2.419

2.928

6.06

17.38

TWC-5

3.69

2.28

2.106

2.995

8.41

29.68

Sangga

-ri

SCD-1

1.113

2.744

2.714

2.960

3.05

8.32

94.66

92.42

SCD-2

1.229

2.729

2.717

2.977

3.35

8.72

91.48

89.30

SCD-3

1.065

2.77

2.754

3.035

2.95

9.27

95.69

93.44

SCD-4

1.232

2.73

2.717

2.974

3.36

8.64

88.81

86.58

SCD-5

1.404

2.693

2.677

2.954

3.78

9.39

74.59

72.81

SCW-1

1.134

2.761

2.750

2.975

3.13

7.57

SCW-2

1.074

2.765

2.751

3.049

2.97

9.77

SCW-3

1.116

2.756

2.724

3.011

3.08

9.54

SCW-4

1.308

2.721

2.705

2.970

3.56

8.93

SCW-5

1.086

2.775

2.749

2.990

3.01

8.07

STD-1

1.206

2.705

2.657

2.968

3.26

10.48

STD-2

0.912

2.752

2.699

3.058

2.51

11.74

STD-3

1.005

2.763

2.747

3.024

2.78

9.16

STD-4

1.133

2.729

2.650

3.038

3.09

12.77

STD-5

1.244

2.662

2.622

2.982

3.31

12.06

STW-1

1.062

2.756

2.719

3.017

2.93

9.87

STW-2

0.947

2.799

2.720

3.053

2.65

10.91

STW-3

1.031

2.752

2.742

3.076

2.84

10.85

STW-4

1.277

2.71

2.668

2.979

3.46

10.42

STW-5

1.235

2.701

2.663

2.959

3.34

9.99

Eoeum

-ri

ECD-1

2.584

2.379

2.226

2.831

6.15

21.38

22.95

22.40

ECD-2

2.728

2.295

2.199

2.792

6.26

21.25

38.79

37.85

ECD-3

2.561

2.222

2.115

2.890

5.69

26.81

29.68

28.96

ECD-4

2.19

2.263

2.155

2.879

4.96

25.16

29.47

28.75

ECD-5

2.49

2.282

2.174

2.895

5.68

24.89

26.48

25.85

ECW-1

2.858

2.296

2.171

2.863

6.56

24.16

ECW-2

2.617

2.312

2.215

2.909

6.05

23.84

ECW-3

2.318

2.274

2.125

2.969

5.27

28.41

ECW-4

2.526

2.24

2.148

2.939

5.66

26.91

ECW-5

2.412

2.24

2.126

2.911

5.40

26.95

ETD-1

2.444

2.406

2.249

2.935

5.88

23.39

ETD-2

2.248

2.331

1.890

2.908

5.24

35.00

ETD-3

2.271

2.321

2.244

2.935

5.27

23.53

ETD-4

1.867

2.491

2.140

2.970

4.65

27.93

ETD-5

1.793

2.506

2.048

2.958

4.49

30.78

ETW-1

2.587

2.311

2.119

2.875

5.98

26.28

ETW-2

2.545

2.301

2.107

2.855

5.86

26.20

ETW-3

2.495

2.302

2.171

2.880

5.74

24.61

ETW-4

1.907

2.576

2.137

2.813

4.91

24.04

ETW-5

1.852

2.597

2.197

2.836

4.81

22.51

w: absorption, GB: bulk specific gravity, rd: dry density, rs: grain density, ne: effective porosity(=w·GB), nt: total porosity, sc: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UCS), sc50: corrected UCS by Eq. (2).

References

1 
"Al-Harthi, A. A., Al-Amri, R. M. and Shehata, W. M. (1999). “The porosity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vesicular basalt in saudi arabia.” Engineering Geology, Vol. 54, pp. 313-320, https://doi.org/10.1016/s0013-7952(99)00050-2."DOI
2 
"Barton, N. (2007). Rock Quality, Seismic Velocity, Attenuation and Anisotropy, Taylor & Francis, London, p. 729, https://doi.org/10.1201 /9780203964453."DOI
3 
"Chang, C., Zoback, M. D. and Khaksar, A. (2006). “Empirical relations between rock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in sedimentary rocks.”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 Engineering, Vol. 51, pp. 223-237, https://doi.org/10.1016/j.petrol.2006.01.003."DOI
4 
"Cho, T. C., Lee, S. B., Hwang, T. J. and Won, K. S. (2009). “Variation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allasan trachyte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weathering.”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9, No. 4, pp. 287-303 (in Korean)."URL
5 
"Choi, O. G. (1990). “Rock Mechanical properties of aewol-kosan area northwestern part in Jeju Island, Korea.” Bokhyeon Geology, Vol. 12, pp. 12-30 (in Korean)."URL
6 
"Eum, K. Y. (2002).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in Chejudo,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p. 63 (in Korean)."URL
7 
"Franklin, J. A. and Dusseault, M. B. (1991). Rock Engineering Applications, McGraw-Hill, New York, p. 600."URL
8 
"Geo Big Data Open Platform,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https://data.kigam.re.kr/."URL
9 
"Heap, M. J., Meyer, G. G., Noël, C., Wadsworth, F. B., Baud, P., and Violay, M. E. S. (2022). “The permeability of porous volcanic rock through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ol. 127, c2022JB024600, https://doi.org/10.1029/2022jb024600."DOI
10 
"Hoek, E. (2007). Practical Rock Engineering, http://www.rocscience.com, p. 342."URL
11 
"Kelsall, P. C., Watters, R. J. and Franzone, J. G. (1986). “Engineering characterization of fissured, weathered dolerite and vesicular basalt.” The 27th U.S. Symposium on Rock Mechanics (USRMS), Tuscaloosa, Alabama, pp. 77-84."URL
12 
"Kim, J. H. (2007).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 in Pyoseonri Basalt,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p. 93 (in Korean)."URL
13 
"Kim, Y. K. and Choi, O. G. (1991).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 No. 1, pp. 19-37 (in Korean)."URL
14 
"Moon, K. and Yang, S. (2020).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estimated from brazilian tensile strength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6, No. 2, pp. 17-28, https://doi.org/10.7843/kgs.2020.36.2.17 (in Korean)."DOI
15 
"Moon, K., Park, S., Kim, Y. and Yang, S. (2014).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salt in jeju island with relation to poro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4, No. 4, pp. 1215-1225, https://doi.org/10.12652/Ksce.2014.34.4.1215 (in Korean)."DOI
16 
"Nam, J. M., Yun, J. M. and Song, Y. S. (2009). “Estimation to the strength of basalt in jeju is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9, No. 2, pp. 153-163 (in Korean)."URL
17 
"Nam, J. M., Yun, J. M., Song, Y. S. and Kim, J. H. (2008a). “Analysis of engineering properties to basalt in Ch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7, No. 1, pp. 12-21 (in Korean)."URL
18 
"Nam, J. M., Yun, J. M., Song, Y. S. and Kim, J. H. (2008b).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to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of basalt in Cheju Islan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8, No. 2, pp. 215-225 (in Korean)."URL
19 
"Park, S. and Moon, K. (2020).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salt in jeju island with relation to moisture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6, No. 7, pp. 29-40, https://doi.org/10.7843/kgs.2020.36.7.29 (in Korean)."DOI
20 
"Pola, A., Crosta, G. B., Castellanza, R., Agliardi, F., Fusi, N., Barberini, V., Norini, G. and Villa, A. (2010). “Relationships between porosity and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in weathered volcanic rocks.” The ISRM International Workshop on Rock Mechanics and Geoengineering in Volcanic Environments, Puerto de la Cruz, Spain, pp. 73-78, https://doi.org/10.1201/b10549-11"DOI
21 
"Saar, M. O. and Manga, M. (1999). “Permeability-porosity relationship in vesicular basal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6, No. 1, pp. 111-114, https://doi.org/10.1029/1998gl900256."DOI
22 
"Tuğrul, A. (2004). “The effect of weathering on pore geometr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selected rock types from Turkey.” Engineering Geology, Vol. 75, pp. 215-227, https://doi.org/10.1016/j.enggeo.2004.05.008."DOI
23 
"Ulusay, R. and Hudson, J. A. (2007). The Complete ISRM Suggested Methods for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1974-2006, ISRM Turkish National Group and the ISRM, Turkey, p. 628."URL
24 
"Yang, S. (2014).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0, No. 11, pp. 39-49, https://doi.org/10.7843/kgs.2014.30.11.39 (in Korean)."DOI
25 
"Yang, S. (2015a).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salts in northwestern and southeaster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1, No. 7, pp. 41-52, https://doi.org/10.7843/kgs.2015.31.7.41 (in Korean)."DOI
26 
"Yang, S. (2015b).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basalt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1, No. 11, pp. 33-40, https://doi.org/10.7843/kgs.2015.31.11.33 (in Korean)."DOI
27 
"Yang, S. (2016). “Strength parameters of basalts in Jeju Is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2, No. 3, pp. 15-27, https://doi.org/10.7843/kgs.2016.32.3.15 (in Korean)."DOI
28 
"Yang, S. (2020). “Estimation of hoek-brown constant mi for the basaltic intact rock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6, No. 10, pp. 21-31, https://doi.org/10.7843/kgs.2020.36.10.21 (in Korean)."DOI
29 
"Yang, S. (2022). “Simplified estimation of the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of volcanic intact rocks in Jeju Island using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or brazilian tensile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8, No. 10, pp. 5-15, https://doi.org/10.7843/kgs.2022.38.10.5 (in Korean)."DOI
30 
"Yang, S. and Boo, S. P. (2019). “Estimation of deformation modulus of basaltic rock masses in northeastern and northwester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35, No. 1, pp. 5-15, https://doi.org/10.7843/kgs.2019.35.1.5 (in Korean)."DOI
31 
"Yang, S. and Sassa, S. (2016).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strength parameters due to vesicular property of basalts.” Journal of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r. B3, Vol. 72, No. 2, pp. 437-442, https://doi.org/10.2208/jscejoe.72.I_437 (in Japanese)."DOI
32 
"Yang, S. and Sassa, S. (2017). “Effects of porosity on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vesicular basalts.” Proceedings of the 27th International Ocean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pp. 705-711."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