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부유식 구조체의 상부에는 주로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물이 설치되며, 상부시설 용도에 따른 경사각 제한 및 이용자의 거주형태에 따른 연직가속도의
RMS(Root Mean Square) 제한이 있다(DNV, 2011; Nordforsk, 1987; ISO, 1997). 특히, 연직가속도는 구조체 내 모든 위치 중 가장 불리한 위치를 기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모듈러 부유식 구조체의 규모가 커질수록 구조체의 연단에서
발생하는 연직가속도가 사용성능을 지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개별 모듈러의 각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연직가속도의 RMS중 최대값을 모듈러
부유식 구조체의 동적응답으로 정하였고, 그 산정과정은 Fig. 2에 나타내었다. 산정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검토할 배치에 대한 모듈러 부유식 구조체의 운동 응답진폭연산자(Response
Amplitude Operator, RAO)를 산정하며, 두 번째 단계로 이를 조합하여 각 모서리 부의 연직가속도 응답진폭연산자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해당 값을 파랑하중스펙트럼과 곱하여 연직가속도 응답스펙트럼과 RMS 값을 산정한다.
2.1 수치해석
모듈러 부유식 구조체의 동적응답 해석은 DNV사에서 개발된 상용 파랑하중 해석 프로그램인 SESAM HydroD 모듈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HydroD는
경계요소법과 방사/회절 이론(radiation/diffraction theory)을 적용하여 파랑-구조물 상호작용을 분석한다(DNV, 2023). 또한, HydroD 전체좌표계의 연직방향 원점은 해수면을 의미하며, 이 기준을 바탕으로 파랑에 의한 모듈러의 동적응답을 평가한다. Fig. 3은 SESAM HydroD의 구동화면을 보여준다.
Fig. 3. SESAM HydroD Screenshot for 1×6 Arrangement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산정하기 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운동방정식은 Eq. (1)과 같다.
여기서, $M$는 구조물의 질량 행렬을, $A(ω)$, $C(ω)$는 각각 방사(Radiation)에 의한 추가 질량 행렬(added mass matrix)과
감쇠행렬을, $K_{hydrostatic}$은 복원력에 의한 강성행렬을, $K_{connection}$은 연결 요소에 의한 강성행렬을, $\xi$은
모듈의 응답을, 그리고 ${f}_{{wave}}$은 파랑에 의한 외력을 각각 나타낸다.
구조물의 응답은 각 모듈러별로 Surge($\xi_{1}$), Sway($\xi_{2}$), Heave($\xi_{3}$), Roll($\xi_{4}$),
Pitch($\xi_{5}$), Yaw($\xi_{6}$)의 6개의 자유도로 표현되고 전체 시스템의 자유도는 모듈러의 개수에 따라 확장된다. 예를
들어, N개의 모듈러로 구성된 시스템의 총 자유도는 6×N이 된다.
운동방정식으로부터 특정 파향에 대한 각 자유도별 응답진폭연산자를 산정할 수 있다. Fig. 4는 파향 0°일 때, 단일 모듈러의 Heave, Pitch에 대한 응답진폭연산자를 나타내며, 단일 모듈러의 고유진동수(0.650 rad/s, 고유주기
9.66초)를 확인할 수 있다.
Fig. 4. Heave, Pitch Response Amplitude Operator of Single Modular (Heading Angle: 0°). (a) Heave RAO, (b) Pitch RAO
본 연구에 적용된 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선행연구(Chen et al., 2023)와 응답진폭연산자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Chen et al., 2023)는 폭 50 m, 길이 100 m 직사각형 모양 부유식 구조체의 단일 모듈러 및 1×2, 1×3 배치일 때 파랑에 최초로 영향을 받는 모듈러의 Surge($\xi_{1}$),
Heave($\xi_{3}$), Pitch($\xi_{5}$) 응답진폭연산자를 도시하였으며 Table 1은 단일 모듈러의 제원을 나타낸다.
SESAM HydroD로 동일한 조건에 대한 모델링 및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Fig. 5는 선행연구의 1×3 배치에 대한 응답진폭연산자와의 비교결과를 보여준다. 선행연구에서는 1×3 배치에서 Surge의 경우 1.8 rad/s에서 약간의
교란(disturbance)이 발생하고, Pitch의 경우. 0.5-1.0 rad/s에서 세 개의 피크가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검증모델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도 모든 경우의 응답진폭연산자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어, 본 연구에 적용된 해석이 멀티 모듈러 배치에 따른
유체장 변화의 영향을 적절히 모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 Comparison of RAO Results for Verification (1x3 Arrangement). (a) Surge RAO, (b) Heave RAO, (c) Pitch RAO
Table 1. Properties and Dimensions for Single Modular of Previous Study(Chen et al., 2023)
Description
|
Value
|
Modular [m]
|
100×50×5
|
Draft [m]
|
2.0
|
z coordinate of COG [m]
|
2.5
|
Radiation of gyration
[m]
|
Rx
|
14.500
|
Ry
|
28.900
|
Rz
|
32.270
|
모듈러간 연결조건은 상대변위의 구속정도에 따라 강결, 힌지, 유니버셜조인트, 볼-소켓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실제 현장에서는 강결 혹은 힌지연결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강결연결 대비 모듈러의 상대거동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는 힌지연결을 채택하였다. 힌지의 방향은 모듈러간 Pitch($\xi_{5}$)
방향 상대회전거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는 연결부 하중 분담을 위해 다수의 연결장치로 연결조건을 구현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결장치로 인한 강성매트릭스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모듈러 중앙 한 점에만 연결점을 두어 상대병진변위를 구속하고 강성매트릭스의 Roll($\xi_{4}$),
Yaw($\xi_{6}$) 방향 자유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강성을 추가하여 상대회전변위를 구속하였다. 모듈러간 힌지 연결을 운동방정식에 반영하기 위해
각 모듈러에 연결 장치가 설치되는 연결점(Connection Point, CP)을 정의하였다. 모듈러의 응답은 연결 위치에서의 국부 변위로 변환되며,
이를 통해 인접 모듈러의 연결점 간 상대 변위를 산정하고, 그로부터 각 모듈러에 작용하는 연결 장치에 의한 힘을 계산하였다. 이때, 상대 병진 변위를
구속하는 강성 $k_{x}$, $k_{y}$, $k_{z}$는 9×109 N/m, Roll 및 Yaw를 구속하는 강성 $k_{rot}$은 9×1011
N·m/rad로 적용하였다.
Eq. (2)는 모듈러 $i$와 인접한 모듈러 $j$ 사이의 연결장치로 인한 강성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x_{i}$, $y_{i}$, $z_{i}$),
($x_{j}$, $y_{j}$, $z_{j}$)는 각각 모듈러 $i$, $j$의 원점기준 각 연결점의 좌표이고, Fig. 6 및 Fig. 7에서 나타내듯이, 연결장치의 방향은 파향 0°, 연결점의 위치는 해수면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x_{i}$, $y_{i}$, $z_{i}$), ($x_{j}$,
$y_{j}$, $z_{j}$)는 (25, 0, 0), (-25, 0, 0)과 같다.
Fig. 6. Location of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Modulars (xz-Plane View)
Fig. 7. Location of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Modulars (xy-Plane View)
각 모서리에서의 연직가속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운동방정식을 통해 산정된 모듈러 운동성분의 응답진폭연산자를 Eq. (3)과 같이 조합하여 각 모서리의 연직변위 응답진폭연산자를 산정한 후, Eq. (4)와 같이 연직변위 응답진폭연산자를 연직가속도 응답진폭연산자로 변환하였다.
여기서, $H_{M,\: z}(\omega)$, $H_{A,\: z}(\omega)$는 개별 모듈러의 모서리 연직변위와 연직가속도의 응답진폭연산자이며,
$H_{heave}(\omega)$, $H_{\pi{tch}}(\omega)$, $H_{roll}(\omega)$는 개별 모듈러의 운동성분 중 Heave,
Pitch 및 Roll의 응답진폭연산자이다. 여기서, $\omega$는 각주파수(rad/s)를 의미하며 $x,\: y$는 모듈러의 원점 기준 각
모서리의 좌표를 나타낸다.
Eq. (5)와 같이, 산정된 가속도 응답진폭연산자와 정의된 파랑 조건, 즉 파랑스펙트럼을 곱하여 연직가속도 스펙트럼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연직가속도 스펙트럼을
적분하여 각 모듈러 모서리에서의 연직가속도 RMS를 산정하여, 그 중에 최대값을 대표 응답으로 정하였다.
여기서, $H_{A,\: z}(\omega)$, $S_{A,\: z}(\omega)$, $\sigma_{A,\: z}$는 각각 모서리 연직가속도의
응답진폭연산자, 스펙트럼, RMS를 의미하고, $S_{J}(\omega)$는 파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