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종신회원 ․ 교신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공학박사 (Corresponding Author ․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yjjeong@kict.re.kr)
  2. 종신회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전임연구원, 공학박사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jeongsookim@kict.re.kr)
  3. 종신회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공학박사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ytkim@kict.re.kr)



부유체, 동요, 인간 편안함, 동요지표 평가, 가속도
Floating structure, Motion, Human comfort, Motion index evaluation, Acceleration

1. 서 론

최근 해상 공간의 친환경적 활용 측면에서 해상 부유식 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부유식 해상 인프라는 크게 산업용 플랜트, 항만 등과 같은 산업시설물의 용도와 해상도시와 같이 인간 활동을 위한 용도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부유식 구조물은 컨테이너 적재용 항만, 석유・LNG 등의 에너지 저장 플랫폼 등 산업시설물의 탑재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최근에는 재생에너지의 문제점인 출력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덴마크 Net-zero race 프로젝트와 같이 해상풍력단지 등의 재생에너지 단지에 부유식 재생에너지 허브로 적용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산업시설물 용도의 부유식 인프라에 대한 사용성(Serviceability) 가이드라인은 주로 장비의 고장 및 오작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사각(Pitch angle) 위주의 사용성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다(Jeong et al., 2023).

산업시설물 용도와 병행하여 최근에는 부산시 해상도시(오셔닉스) 프로젝트,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프로젝트 등 부유식 해상도시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부유식 해상도시에서는 기존의 산업시설물 용도와는 달리, 상시적인 인간 활동과 거주가 이루어지므로 부유체의 동요(파랑 모션)가 인간의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멀미 등의 불쾌감)이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체에서는 부유체의 동요가 인간의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한 수준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사용성이라 하며, 인간이 느끼는 신체적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유체의 동요에 따른 가속도 위주의 사용성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다(Jeong et al., 2023; Kim et al., 2024). 이러한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체에 대한 사용성 가이드라인은 해상도시뿐만 아니라 부유식 해상풍력 등과 같은 해상 산업시설물 용도의 부유식 인프라에서 유지관리시 작업인력 건강에 대한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Schwarzkopf et al., 2018).

본 논문에서는 해상도시와 같은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식 인프라에 적용 가능한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부유체의 동요 관련 사용성 가이드라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부유체 동요 관련 사용성 평가방법을 정립하고, 부유체 수조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유체의 동요에 따른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사용성 지표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편안함 관련 사용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요 목적으로, 이의 주요 영향인자인 수직 가속도에 대한 평가방법을 다루었다. 경사각은 부유체 상부에 시설물이 설치된 경우 시설물 관점(장비 고장, 운영 등)에서의 사용성 지표이고, 경사각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 논문에서는 제외하였다.

2. 인체 편안함에 대한 부유체 동요 사용성 가이드라인

2.1 부유체 동요 사용성 가이드라인

독일의 Aachen 공대와 Cranfield 대학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의 유지관리시 인간 활동에 미치는 부유체의 동요 관련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해 EU Horizon 프로젝트를 통해 해양구조물(선박 포함)의 동요에 대한 여러 가지 사용성 가이드라인들을 분석하였다(Schwarzkopf et al., 2018). 이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에서 인간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성 가이드라인의 요구조건은, 첫째, 부유체의 동요주기인 0.1~0.5 Hz의 주파수 영역을 포함해야 하고, 둘째, 인간의 불편함에 대한 주요 성분인 수직방향 동요에 대한 기준값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선박(ISO, 2000)과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동요에 대한 사용성 가이드라인들은 부유체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의 유지관리시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체 동요 관련 사용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은 ISO 2631-1:1997(1997) 정도이고, Nordforsk(1987) 가이드라인은 선박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 부유식 해상 플랫폼에서의 인간 작업성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어 참고할만하다고 언급하고 있다(Schwarzkopf et al., 2018; Sindre, 2012). 이외에, NR 636(Bureau Veritas, 2016)은 부유체에서 인간의 거주성과 편안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만, 수직방향 동요에 대한 기준값이 제시되지 않고 주파수 영역이 1~80 Hz 범위에서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2.2 ISO 2031-1:1997

ISO 2631-1:1997(ISO, 1997)에서는 모든 형태의 진동(동요)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주파수 가중 RMS (Frequency weighted RMS(Root Mean Square)) 가속도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인체의 건강 또는 편안함에 대한 주파수 영역은 0.5~80 Hz 범위이고, 멀미에 대한 주파수 영역은 0.1~0.5 Hz 범위로 제시하고 있다(Ahn, 2014). 전반적으로 인체가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하는 진동(동요)은 약 0.315~0.63 m/s2의 가속도이며(Table 1 참조) 진동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인체의 건강과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을 Fig. 1과 같이 Health Guidance Caution Zone으로 도시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진동 노출시간 24시간에서는 0.25 m/s2의 가속도에서, 노출시간 4~8시간에서는 약 0.5 m/s2의 가속도에서 부터 인체의 불쾌감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aha et al., 2020).

Table 1. Reactions to Vibration Magnitudes

Acceleration

Human comfort level

< 0.315 m/s2

not uncomfortable

0.315∼0.63 m/s2

a little uncomfortable

0.50∼1.0 m/s2

fairly uncomfortable

0.8∼1.6 m/s2

uncomfortable

1.25∼2.5 m/s2

very uncomfortable

> 2 m/s2

extremely uncomfortable

Fig. 1. Health Guidance Caution Zone (ISO 2631-1:1997)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1.png

2.3 인간의 편안함 관련 부유체의 동요 지표

2.3.1 일반 RMS(Root Mean Square) 가속도

NordForsk(1987) 등 일부 가이드라인에서는 일반 RMS 가속도를 평가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 RMS 가속도는 주파수 가중이 이루어지지 않은(frequency unweighted) RMS 가속도를 의미한다. 일반 RMS 가속도는 특정 시간 동안 측정된 순간 가속도 제곱 합의 평균에 대한 제곱근으로 표현되는 측정 시간동안의 등(equivalent) 가속도 개념으로, 진동의 에너지 함량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진폭을 의미한다.

(1)
$a_{un}=\left\{\dfrac{1}{T}\int_{0}^{T}[a(t)]^{2}dt\right\}^{1/2}$

여기서, $a_{un}$는 일반 RMS 가속도를, $a(t)$는 계측된 가속도 시간영역 신호를, $T$는 가속도 측정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2.3.2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

진동(동요)이 인체의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주파수 의존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ISO, ABS, NR 등의 주요 가이드라인에서는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평가지표로 제시하고 있으며(Schwarzkopf et al., 2018; Ahn, 2014), 사용 환경에 대한 몇 가지의 주파수 가중함수를 제공하고 있다. 주파수 가중함수를 이용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2)
$a_{w}=\left\{\dfrac{1}{T}\int_{0}^{T}[a_{w}(t)]^{2}dt\right\}^{1/2}$

여기서, $a_{w}$는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a_{w}(t)$는 주파수 가중 가속도의 시간영역 신호(계측된 가속도 신호에 주파수 가중함수가 곱해진 값)를, $T$는 가속도 측정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에서는 “주파수 가중”과 “RMS”의 두 가지 개념이 적용된다. 여기서 주파수 가중은 주파수영역이고 RMS는 시간영역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싱 개념이다. 따라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을 오가는 데이터 프로세싱이 필요하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산정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Fig. 2에 나타내었다(ISO, 1997; Marjanen, 2010; Choi et al., 2011).

주파수 가중함수는 인체에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동요)은 그대로 두고 인체에 덜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동요)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념이다(Kee and Park, 2013). ISO 2631-1:1997에서는 진동(동요)이 인간의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파수 가중함수를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 0.5~80 Hz 범위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주파수 가중함수(Wk와 Wd)와 주파수 영역 0.1~0.5 Hz 범위에서 멀미에 대한 수직방향 주파수 가중함수(Wf)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부유식 인프라의 동요 주기는 대부분 파랑 주기와 유사하므로, 부유식 인프라의 주파수는 대부분 0.05~1.0 Hz내에 분포한다. 따라서 이 주파수 영역에서 지배적인 멀미에 대한 가중함수(Wf)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가중함수가 된다(ISO, 1997; Estibaliz et al., 2022; Choi et al., 2011; Ahn, 2014).

Fig. 2. Evaluation Process of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2.png
Fig. 3. Frequency Weighted Functions (ISO 2631-1:1997)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3.png

3. 인간의 편안함 관련 사용성 지표 산정 및 분석

부유체에 대한 수조실험 데이터(Jeong et al., 2014)를 이용하여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사용성 지표를 평가하였다. Fig. 4에 나타난 부유체의 수조실험에 이용한 파랑조건은 규칙파의 경우 파고 1.55 m, 파랑주기 12 s.이고 불규칙파의 경우 파고 1.55 m, 주기 12 s.를 이용하였다. 이상의 파랑조건은 실제 조건에 대한 것이고 수조실험에서는 Froude 상사율 0.05(1/20)을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는 일반 RMS 가속도와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의 두 가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 범위와 파랑 특성(규칙파, 불규칙파)에 대해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Fig. 4. Small Scale Test of Floating Structure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4.png

3.1 규칙파 조건

부유체에 대해 규칙파 조건에서 수행된 수조실험 결과, 부유체의 수직방향 동요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를 Fig. 5(a)에 나타내었다. 먼저, 파랑주기 12 s.에서 측정된 시간이력 가속도에 대해 일반 RMS 가속도를 산정하였으며, 다음으로, 2장에 나타난 방법에 따라 파랑주기 12 s.에 대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산정하여 Fig. 5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파랑주기 6 s.에 대해 동일한 방법에 의한 평가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규칙파 조건에 대한 부유체의 사용성 지표 산정 결과는 Table 2 나타내었다.

Fig. 5.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Regular Wave 12 s. (0.083 Hz). (a) Measured and Frequency Weighted Acceleration, (b) Frequency Spectrum and Frequency Weighted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5.png

규칙파 조건에서 부유체의 사용성 지표에 대한 평가결과, 파랑주기 12 s.(0.083 Hz)의 규칙파 조건에서 계측된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에 대한 일반 RMS 가속도는 0.717 m/s2을,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0.163 m/s2을 각각 나타내었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의 약 22.7 % 수준으로, 이는 주파수 가중함수가 주파수 의존적이라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 0.16 Hz (6.25 s.) 근방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를 나타내고,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인 0.083 Hz 근방의 주파수영역에서는 낮은 가중치가 반영된 것에 기안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Regular Wave)

Items

Wave period

12 s.(0.083 Hz)

Wave period

6 s.(0.166 Hz)

RMS (m/s2)

F.W. RMS

(m/s2)

RMS (m/s2)

F.W. RMS

(m/s2)

MAX

1.188

0.262

1.188

0.558

RMS

0.717

0.163

0.717

0.356

AVG

0.641

0.147

0.641

0.319

RMS/AVG

1.12

1.11

1.12

1.11

이러한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주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데이터의 진폭은 그대로 유지한 채 주기를 인위적으로 1/2 축소시킨 경우(파랑주기 6 s.(0.17 Hz))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성 지표를 평가하였다. 이 경우에 대한 사용성 지표 평가과정은 Fig. 6에, 평가결과는 Table 2 각각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파랑주기 6 s.(0.17 Hz)의 규칙파 조건의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0.356 m/s2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의 약 50.0 % 수준으로, 이는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인 0.17 Hz 근방 주파수영역에서의 높은 가중치가 반영된 것에 기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부유체의 주기가 주파수 가중함수의 가장 높은 가중치 영역인 0.17 Hz 근처에 분포할 지라도, 타 주파수영역에서의 낮은 가중치 영향으로 전체적인 동요 에너지(면적)의 감소가 이루어지므로 시간영역에서의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 보다 낮은 수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Regular Wave 6 s. (0.17 Hz). (a) Measured and Frequency Weighted Acceleration, (b) Frequency Spectrum and Frequency Weighted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6.png

일반적으로 정현파 조건에서 최대값(MAX), RMS 및 평균값(AVG)의 상관관계는 (RMS=1.11×AVG)이고 (MAX=1.414× RMS)으로 알려져 있다(ITS, 2016). 본 연구의 규칙파 조건은 정현파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하며, RMS는 평균값의 약 1.11~1.12배를 나타내어 이론적인 상관관계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값은 RMS의 약 1.57~1.66배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론적인 정현파에서는 파형에 따른 최대값이 일정하지만, 본 연구에서의 실험 데이터는 규칙파일지라도 여러 가지 요인으로 파형별 최대값이 약간의 변이를 나타내고 있고, 본 분석에서는 그 중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여 RMS와의 상관관계를 산정하였으므로 이론적인 1.414배 보다 다소 크게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3.2 불규칙파 조건

부유체에 대해 불규칙파 조건(JONSWAP, γ=3.3)에서 수행된 수조실험 결과, 부유체의 수직방향 동요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를 Fig. 7(a)에 나타내었다. 규칙파의 경우와 동일하게 먼저, 파랑주기 12 s.에서 측정된 시간이력 가속도에 대해 일반 RMS 가속도를 산정하였으며, 다음으로, 2장에 나타난 방법에 따라 파랑주기 12 s.에 대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를 산정하여 Fig. 7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파랑주기 6 s.에 대해 동일한 방법에 의한 평가 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불규칙파 조건에 대한 사용성 지표 산정 결과는 Table 3 나타내었다.

불규칙파 조건에서 부유체의 사용성 지표에 대한 평가결과, 파랑주기 12 s.(0.083 Hz)의 불규칙파 조건에서 계측된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에 대한 일반 RMS 가속도는 0.463 m/s2을,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0.073 m/s2을 각각 나타내었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의 약 15.8 % 수준을 나타내었다.

불규칙파 조건에 대해서도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주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데이터의 진폭은 그대로 유지한 채 주기를 인위적으로 1/2 축소시킨 경우(파랑주기 6 s.(0.17 Hz))에 대해서도 사용성 지표를 평가하였다. 이 경우에 대한 사용성 지표 평가과정은 Fig. 8에, 평가결과는 Table 3 각각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파랑주기 6 s.(0.17 Hz)의 불규칙파 조건의 가속도 시간이력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0.191 m/s2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의 약 41.3 % 수준으로, 이는 부유체의 동요 주파수인 0.17 Hz 근방 주파수영역에서의 높은 가중치가 반영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규칙파의 경우와 동일하게, 부유체의 주기가 주파수 가중함수의 가장 높은 가중치 영역인 0.17 Hz 근처에 분포할 지라도, 타 주파수영역에서의 낮은 가중치 영향으로 전체적인 동요 에너지(면적)의 감소가 이루어지므로 시간영역에서의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 보다 낮은 수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 대비 적은 값을 나타내며 이는 Kim et al.(2007)의 연구결과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는 주파수 가중함수가 인체에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동요)은 그대로 두고 인체에 덜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모션)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념이라 전체적인 동요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Irregular Wave 12 s. (0.083 Hz). (a) Measured and Frequency Weighted Acceleration, (b) Frequency Spectrum and Frequency Weighted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7.png
Fig. 8.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Irregular Wave 6 s. (0.17 Hz). (a) Measured and Frequency Weighted Acceleration, (b) Frequency Spectrum and Frequency Weighted Function
../../Resources/KSCE/Ksce.2024.44.5.0595/fig8.png
Table 3. Frequency Weighted RMS Acceleration (Irregular Wave)

Items

Wave period

12 s.(0.083 Hz)

Wave period

6 s.(0.166 Hz)

RMS

(m/s2)

F.W. RMS

(m/s2)

RMS

(m/s2)

F.W. RMS

(m/s2)

MAX

1.778

0.247

1.778

0.662

RMS

0.463

0.073

0.463

0.191

AVG

0.364

0.058

0.364

0.154

RMS/AVG

1.27

1.26

1.27

1.24

3.3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검토

이상의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부유체의 사용성 지표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규칙파 조건에서의 일반 RMS 가속도는 약 0.717 m/s2 를 나타내어 ISO 2631-1의 “fairy uncomfortable(상당히 불편함)”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파랑주기 12 s.에서는 약 0.163 m/s2을 나타내어 “not uncomfortable(불편함이 없음)” 등급을, 파랑주기 6 s.에서는 약 0.356 m/s2을 나타내어 “a little uncomfortable(약간 불편함)” 등급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불규칙파 조건에서의 일반 RMS 가속도는 약 0.463 m/s2를 나타내어 ISO 2631-1의 “a little uncomfortable(약간 불편함)”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파랑주기 12 s.에서는 약 0.073 m/s2, 파랑주기 6 s.에서는 약 0.191 m/s2을 각각 나타내어 모두 “not uncomfortable(불편함이 없음)”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해상도시와 같은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식 인프라에서, 인간의 편안함에 대한 부유체의 동요 관련 사용성 평가방법을 정립하고, 수조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유체의 동요에 따른 사용성 지표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ISO 2631-1:1997에서 명시하고 있는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성 지표를 평가한 결과,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주파수 영역 의존적이라 부유체의 동요 주기가 사용성 지표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파수 가중 RMS 가속도는 일반 RMS 가속도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주파수 가중함수가 인체에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동요)은 그대로 두고 인체에 덜 민감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동요) 크기를 감소시키는 개념에 기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식 인프라에서 인간 활동 중심의 부유체 동요와 사용성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된 분야로, 아직 사용성 평가지표와 이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토론의 여지가 많은 실정이다. 최근 부유식 해상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단지, 해상도시 등의 출현에 따라 부유식 인프라에서 인간 활동과 부유체 동요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점점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인간 활동 부유체의 동요와 사용성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가이드라인 정립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결과는 이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is supported by the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KAIA)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rant RS-2023-00250727) through the Korea Floating Infrastructure Research Cen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1 
"Ahn, S. J. (2014).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whole body vibration-ISO 2631.” Sound and Vibration, Vol. 24, No. 5, pp. 46- 50."URL
2 
"Bureau Veritas (2016). Rule Note NR 636: Comfort and health on-board Offshore Units, France."URL
3 
"Choi, H. S., Jung, D. J., Kim, S. D. and Cheung, J. H. (2011). “The vibration comfort evaluation of the shaking table mass foundation.”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EESK, Vol. 15, No. 2, pp. 53-60 (in Korean)."DOI
4 
"Estibaliz, A., Jon, G. Z., Oscar, M. C., Jon, A. R. and Ines, C. (2022). “Analysis of the motion sickness and the lack of comfort in car passengers.” Applied Science-MDPI, Vol. 12, No. 8, 3717."DOI
5 
"ISO (1997).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whole body vibration Part 1: General requirement, ISO 2631-1:1997."URL
6 
"ISO (2000). Mechanical vibration-Guidelines for the measurement, reporting and evaluation of vibration with regard to habitability on passenger and merchant ships. ISO 6954:2000."URL
7 
"ITS (2016). How to express amplitude units wnen measuring vibration(acceleration, velocity, displacement, RMS, Peak to Peak). www.its21.co.kr(https://blog.naver.com/its-21/220725632643)."URL
8 
"Jeong, Y. J., Kim, J., Park, J. H., Kim, Y. T. and Park, M. S. (2023). “A study on serviceability recommendations for human activity-oriented floating structures.” KSCE 2023 Convention, KSCE, Yeosu, South Korea (in Korean)."URL
9 
"Jeong, Y. J., Park, M. S., Lee, D. H. and You, Y. J. (2014). “Experimental study on hydrodynamic behaviors of hybrid floating body with cylinders.” 33rd Int. Conference on Ocean, Offshore and Arctic Eng.(OMAE 2014), OMAE2014-23179, San Francisco, USA."DOI
10 
"Kee, D. H. and Park, H. S. (2013). “Measurement and frequency weighting functions for human vibratio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for Korea, ESK, Vol. 32, No. 4, pp. 309-319 (in Korean)."URL
11 
"Kim, J., Jeong, Y. J. and Kim, Y. T. (2024). “Frequency-domain analysis for motion of floating structures with perforated wal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KSCOE, Vol. 36, No. 1, pp. 1-10 (in Korean)."DOI
12 
"Kim, J., Welcome, D. E., Dong, R. G., Song, W. J. and Hayden, C. (2007). “Time-frequency characterization of hand-transmitted, impulsive vibration using analytic wavelet transform.”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Elsevier), Vol. 308, pp. 98-111."DOI
13 
"Marjanen, Y. (2010). Validation and improvement of the ISO 2631-1(1997) standard method for evaluating disconfort from whole-body vibration in multi-axis environment, Ph.D. thesis of Loughborough University, UK."URL
14 
"Nordforsk (1987). Assessment of ship performance in a seaway: The Nordic co-operative project: seakeeping performance of ships, Nordic Co-operative Organization for Applied Research."URL
15 
"Saha, G. K., Mahdi, M. A. and Kona, A. A. (2020). “A study on motion sickness incidence at several positions of a ship in irregular waves.” Int. Shipping Conference, Koljata, India."URL
16 
"Schwarzkopf, M. A., Scheu, M. N., Altay, O. and Kolios, A. (2018). “Whole body vibration on offshore structures: an evaluation of existing guidelines for assessing low frequency motions.” 28th Int. Ocean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ISOPE 2018), Sapporo, Japan."URL
17 
"Sindre, M. (2012). Design criteria for offshore feed barge, Master thesis of NTNU, Norway."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