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교신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 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 ahnjunhhyuk@kict.re.kr)



상변화 물질, 다중벽탄소나노튜브,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 마이크로캡슐
PCM, MWCNT, High-efficiency thermal storage cement composite, Microcapsule

1. 서 론

국내 건설 산업은 1962년부터 시작된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해 다수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1980~1990년대부터 주거 및 교통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단기간에 다수의 건축물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약 30년이 지난 현재 과거에 건축되었던 건물 및 사회기반시설은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시행령을 개정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준공된 후 20~30년 이하의 건축물 중 각 지역의 조례로 정하는 기간이 지난 건축물을 노후화 건축물로 분류하였으며 노후화 건축물로 인한 재해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철저한 안전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0년 기준 건축물 현황 통계 보도 자료에 의하면 건축물 사용이 승인된 후 이후 30년 이상 된 건물은 전국 38.8 %이며 20~30년 미만인 건축물은 20 %이며 1980~90년대 건설된 건축물들이 현재 30년이 넘어가면서 노후 건축물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매년 계속 증가할 것을 전망하였다(MLTMA, 2021).

이와 같이 노후화된 건축물의 증가는 국내 건축물의 구조적 기능 저하를 야기하고 이로 인한 사고의 발생 확률을 증가시켜 안전적, 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건축물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부재가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중성화, 동결융해, 염해 등의 환경적인 손상으로 구조적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특히 동결융해의 경우 습도, 비, 자연현상으로 수분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콘크리트의 공극에 수분이 침투하여 공극 내에 수분이 포화되고 포화된 수분이 동결 융해를 진행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공극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내부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다(Kim et al., 2010). 이는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 표면 박리, 팝아웃 같은 피해를 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철근 콘크리트에서 발생할 경우 콘크리트에 균열을 가속화시키고 이로 인해 수밀성 저하를 촉진시키므로 철근에 수분의 접근을 쉽게 하여 철근과 물이 접촉하고 이로 인한 철근의 부식을 발생시킨다. 철근이 부식되어 철근의 단면적이 감소하게 되면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공간이 생겨 두 재료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며 철근의 인장 응력 또한 감소시킨다(Šavija, 2018).

이에 콘크리트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을 콘크리트에 적용을 위한 시도는 계속 이루어져 왔다(Jin et al., 2023). 하지만 상변화 물질을 콘크리트에 혼입 시에 발생하는 강도 저하, 유출, 콘크리트의 낮은 열전도성 등의 제한사항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강도 저하의 경우 상변화 물질을 1 % 추가할 때마다 콘크리트의 강도가 13 % 강도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Hunger et al.,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 PCM을 강도 저하 및 유출을 방지하며 혼입한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를 개발하여 열선을 매립한 환경에서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를 이용하여 적은 에너지로도 영하의 온도에서 열을 방출하고 영상의 온도에서는 열을 저장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2. 구성 재료의 특성 평가

2.1 상변화 물질의 특성

잠열은 물질의 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로 정의되며,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은 외부 온도에 따라 열을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물질로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외부 환경의 열에너지를 잠열 형태로 흡수 및 저장하여 주변 온도를 낮추고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외부에 저장되었던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온도를 높이는 특성을 갖고 있는 물질이다(Skovajsa et al., 2017). 이러한 잠열 특성은 현열 저장 성능과 비교하여 열저장 성능이 뛰어나고 상변화 온도가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Riffat et al., 2015). 이에 본 연구는 외부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동결로 인한 수명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변화 물질의 잠열을 사용할 계획이며 상변화 물질은 국내 화공업계에서 다루는 N-par-14 제품으로 파라핀계 유기 PCM을 사용하였다. PCM의 상세 사항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상변화 물질을 가공하지 않고 시멘트 복합체 내에 혼입 시 실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상변화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시멘트 복합체의 물/결합재 비의 증가가 발생하게 되고(Cunha et al., 2020) PCM이 시멘트 복합체로부터 유출이 발생하여 시멘트 복합체 내부에 공극이 발생하여 시멘트 복합체의 강도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Sakulich and Bentz, 2012).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PCM (N-par-14)을 국내 업체에서 마이크로캡슐화 시켜 공급하는 m-PCM을 사용하였다. 또한 m-PCM이 마이크로캡슐 쉘 내에 PCM을 안정하게 함유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FT-I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Fig. 1과 같이 PCM의 탄소와 수소의 결합(C-H bonding)에서 관찰되는 분자 진동이 m-PCM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므로 PCM의 탄소와 수소의 결합(C-H bonding)에 의한 피크이며 이는 m-PCM은 PCM을 안정적으로 코팅하였음을 의미한다(Michael, 2013).

Fig. 1. PCM and m-PCM FT-IR Spectra. (a) 500~4000 Range Molecular Vibration Spectrum, (b) 2800~3000 Range Carbon-Hydrogen Bond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1.png
Table 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CM (N-par-14)

Item

Characteristic

Item

Characteristic

Vapour Pressure

5 Pa at 20℃

Type

Tetradecane

Vapour Density

6.4

Odour

Faint

Relative Density

0.7665 (15℃/4℃)

pH

7

Auto ignition temperature

220℃ at 1 atm

Melting point/Freezing point

6℃ at 1 atm

Viscosity

2.08 cSt at 40℃

Initial Bolilng point and Boiling Range

244~250℃

Molecuar Weight

198

Flash point

113℃

2.2 CNT의 특성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는 강도와 탄성이 매우 우수한 재료이며 긴 종횡비를 가지고 있어 전기전도율 및 열전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다양한 연구에서 증명하였다(Kyoung et al., 2022). CNT를 시멘트 복합체에 적용하였을 때 시멘트와 골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계면 천이대를 더 조밀하게 만들어 미세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강도 증진의 효과를 발생시킨다(Michael, 2013).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을 높여 PCM 물질과 열선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PCM 물질 함유에 따른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C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NT는 합성 비용이 저렴하여 현재 건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 Tube, MWCNT)를 사용하였다(Kim et al., 2019) (Table 2 참고).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CNTs(Kim et al., 2019)

Item

Jeno Tube 6A

Young's Modulus (TPa)

0.2~0.95

Tensile Strength (GPa)

11~150

Elongation at break (%)

-

Diameter (nm)

5~7

Length ( m)

50~150

Purity (wt. %)

min. 96.5

Bulk Density (g/ml)

0.07~0.09

BET (m2/g)

500~700

3.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 제작

3.1 배합설계

OPC, MWCNT와 실리카 퓸의 함량에 따른 역학적·열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이들 성분을 포함한 시멘트 복합체를 제작하였으며, 비교 대상인 OPC와 비교하여 m-PCM 첨가가 가져오는 역학적·열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5, P10, 및 P15를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m-PCM이 혼입된 시편에 비해 MWCNT 및 실리카 퓸을 같이 혼입한 시편의 성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CSP5, CSP10 및 CSP15를 제작하였다. 또한 m-PCM은 바인더 질량 대비 각각 5 %, 10 %의 비율로 혼입되었다. 또한 MWCNT는 바인더 질량(시멘트 + 실리카 퓸)에 대해 0.05 %가 추가하였으며, 실리카 퓸은 시멘트 질량의 10 %를 대체하도록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였다. 고효율 열에너지 저장 시멘트 복합체 시편의 배합비는 ACI 211.4R-08 기준으로 설계하였다(Table 3 참고). 이는 포틀랜드 시멘트 및 다른 시멘트 재료들을 활용한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의 비율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는 52 MPa을 OPC의 목표 압축 강도로 결정하고 재료 비율을 선택하였다.

Table 3. Mixture Design of Thermal Energy Storage Cement Composite Specimens

Name

Binder

m-PCM

Standard Sand

MWCNT

Water

SP

(Superplasticizer)

Cement

Silica fume

OPC

978.82

-

-

783.05

-

391.53

-

C

978.82

-

-

783.05

0.51

391.53

4.90

S

880.93

97.88

-

783.05

-

391.53

-

P5

978.82

-

48.94

783.05

-

391.53

4.90

P10

978.82

-

97.88

783.05

-

391.53

4.90

P15

978.82

-

146.82

783.05

-

391.53

4.90

CSP5

880.93

97.88

48.94

783.05

0.51

391.53

4.90

CSP10

880.93

97.88

97.88

783.05

0.51

391.53

4.90

CSP15

880.93

97.88

146.82

783.05

0.51

391.53

4.90

3.2 MWCNT의 분산

MWCNT는 나노 단위의 입자 크기 갖고 있어 비표면적이 넓어 표면에너지 또는 계면에너지(Surface Energy)가 크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나노 크기의 특성상 원자 간 인력으로 인한 응집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다(Konsta-Gdoutos et al., 2019). 이러한 현상은 MWCNT가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에서 응집되어 시멘트 복합체의 기계적, 열적 성능의 향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계면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인 유동화제(Superp; asticizer)를 사용하여 물과 혼합된 분산액을 제작하고, 이 분산액에 CNT를 혼입하였다(유동화제와 CNT의 비율은 1:4). 다음으로, 500 MHz 주파수의 프로브 초음파 세포 분해기를 이용해 초음파 분산 처리를 실시하였다(Zahir et al., 2019; Kim et al., 2017) (Fig. 2, Table 4 참고).

Table 4. Ultrasonic Dispersion Conditions

Item

Power(W)

Single Ultrasonic Pulse Time(s)

Interval Time(s)

Total Dispersion Time(min)

OPC

1800

20

10

30

Fig. 2. Ultrasonic Dispersion Process Schematic Diagram(Haider et al., 2022)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2.png

3.3 시편 제작

본 연구에서는 PCM 혼입시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의 핵심 재료인 m-PCM, CNT 및 실리카 퓸의 혼입으로 인한 성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역학적 성능 실험인 압축강도, 휨강도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용 시편 제작은 ASTM C 31 기준에 의거하여 압축강도용 50 × 50 × 50 mm 입방형 시편과 휨강도 실험용 40 × 40 × 160 mm 빔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열선이 내장된 환경에서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의 개발을 목표로 하기에 열선 기반의 일반 시멘트 복합체와 m-PCM을 포함한 고성능 열저장 시멘트를 열적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열선은 펠릭스 코리아에서 제작된 정온전선 ENCM416-15M을 활용하였다. 열적 실험을 위해 콘크리트의 열적 성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복합체 주위에 단열소재를 이용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를 위한 100 × 100 × 100 mm의 입방형의 몰드를 제작하였다(Fig. 3 참조). 콘크리트의 제작은 ASTM C 31 기준을 응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열 성능 측정을 위한 열전대를 타설 중에 시편의 정중앙에 삽입하였다.

Fig. 3. Hot Wire Cement Composite Mold. (a) Constant Temperaure Electric Wire, (b) Floor Plate Heating Installation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3.png

4. 고효율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 성능 평가 및 분석

4.1 압축강도 실험

압축강도 실험용 시멘트 복합체 시편의 압축강도 측정은 ASTM C39 표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Fig. 4(a)는 각 시멘트 복합체의 일축 압축실험 결과를 힘-변위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본 실험의 강도 기준값인 OPC의 평균 압축강도는 58.72 MPa이다. MWCNT만 첨가된 C의 63.43 MPa로, OPC보다 약 8 % 높은 수치를 나타났다. 또한 실리카 퓸만 첨가된 S 케이스의 평균 압축강도는 64.69 MPa로, OPC에 비해 압축강도가 10 % 향상되었다. 그러나 m-PCM을 첨가하였을 때 강도가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m-PCM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의 감소가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때 P5의 평균 압축강도는 40.39 MPa로, OPC와 비교했을 때 31.2 % 감소했다. 또한 P10과 P15의 압축강도는 각각 33.59 MPa와 29.1 MPa로, OPC 대비 42.8 % 및 50.4 %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강도 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m-PCM 시멘트 복합체에 MWCNT와 실리카 퓸을 사용한 결과 강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P5의 평균 압축강도는 46.4 MPa로 P5에 비해 15.5 % 개선되었으며, CSP10은 39.94 MPa로 P10 대비 18.9 % 개선되었고 CSP15의 평균 압축강도는 33.19 MPa로, P15에 비해 13.9 % 상승하였다.

Fig. 4. 28-Day Average Strength of Thermal Energy Storage Cement Composite. (a) Compressive Strength, (b) Bending Strength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4.png

4.2 휨강도 실험

휨강도 실험용 시멘트 복합체 시편의 압축강도 실험은 ASTM C78에 따라 수행되었다. Fig. 4(b)는 각 시멘트 복합체에 대해 2톤 UTM을 사용하여 0.05 mm/분의 변위 속도로 3-Point Bending Test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힘 대 변위 그래프이다. OPC에 비해 C는 43 % 증가하였으며 S는 28.7 % 증가하였으나 m-PCM을 추가한 시멘트 복합체의 휨강도는 감소하였다. e-PCM을 혼입한 P5, P10 및 P15의 평균 휨강도는 각각 3.31 MPa, 3.69 MPa 및 3.76 MPa이다. 압축강도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MWCNT 와 실리카퓸을 사용한 대조군의 경우 m-PCM으로 인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CSP5의 P5에 비해 44.4 % 향상되었고 CSP10는 P10에 비해 23.1 % 향상이 되었으며 CSP15은 P15에 비해 15.7 % 향상되었다.

4.3 상변화 물질 혼입 시멘트 복합체 미세구조 분석

본 연구는 나노소재를 사용하여 강도 증진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미세구조를 SEM을 통해 분석하여 나노소재가 어떤 효과를 주었는지 확인하였다. 미세구조를 분석을 위해 OPC, P10 및 CSP10의 28일간 양생된 시편을 실내 온도 20℃의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Fig. 5는 OPC, P10 및 CSP10에 혼입된 MWCNT를 SEM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다. Fig. 5(b) 및 (c)의 시편의 미세구조에서는 m-PCM의 유실로 인한 공극을 볼 수 있다. 이는 시편의 실험을 위해 실험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 m-PCM이 부서지면서 유체 상태인 PCM이 유실됨을 됨을 보여주었다. Fig. 5의 결과는 앞선 역학적 실험에서 시편 파괴 시 m-PCM이 파괴되며 PCM이 유출되는 현상과 상응한다. 이러한 현상에서 PCM이 유실된 부분에 공극이 발생하고 공극 부가 최약부가 되어 OPC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강도 및 휨강도가 낮게 나오는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Fig. 5(d)는 나노 단위의 배율에서 CSP10 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이 이미지를 통해 실리카 퓸의 수화물을 확인하였으며 분산된 MWCNT가 시멘트 매트릭스 중 C-S-H 표면과 내부를 관통하여 혼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WCNT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MWCNT와 실리카 퓸이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미세구조를 개선하였고 이로 인해 역학적 성능 증진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Fig. 5. OPC, P10 and CSP10 Microstructure SEM Images. (a) OPC, (b) P10, (c) CSP10, (d) MWCNTs Dispersed in CSP10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5.png

4.4 상변화 물질 혼입 시멘트 복합체 열적성능 분석

외부 온도가 -5℃에서 시멘트 복합체에 내장되어 있는 열선을 작동시켜 시편의 온도가 15℃ 이상일 때 가동을 중단 후 이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때 열선의 운영 주기는 750분으로 하였다. Fig. 6은 열선 가동 및 중단에 각 시멘트 복합체의 열적 거동이다. 전체적으로 열선이 작동하면 시편의 온도는 내부 온도보다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OPC, P10 및 P15가 온도가 가장 느리게 증가하였으며 C 및 CSP10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선이 중단되면 OPC의 온도가 가장 빠르게 감소되었고 m-PCM이 혼입된 P10 및 P15은 PCM이 열에너지를 방출해 온도가 저하가 느리게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온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CSP10도 PCM의 열에너지가 방출하는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또한 Fig. 5는 열선 가동 구간에서 OPC의 15℃ 도달시간과 비교 시편의 15℃ 도달시간 차이와 열선 중단 구간에서 0℃에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낸 표이다. 이때 0℃에 가장 늦게 도달한 시편은 CSP10이다. 그리고 실리카 퓸과 MWCNT를 같이 혼입한 CSP5, CSP10 및 CSP15 혼입하지 않은 P5, P10 및 P15보다 0℃가 되는 시간이 늦어졌다. 이는 MWCNT 및 실리카 퓸에 의해 열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는 CSP10보다 저전력으로 15℃에 도달했지만 열선 정지 구간에서는 CSP10에 비해 빠르게 0℃에 도달하는 것을 보였는데, 이는 m-PCM가 혼입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CSP10의 m-PCM은 가열 구간에서 열을 흡수 및 저장하고 이를 정지 구간에서 방출하여 0℃ 도달시간이 연장되어 C보다 재가동을 지연시켜 결론적으로 총 열선 전력 소비량이 가장 적은 결과로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Fig. 6 참조).

Fig. 6. Thermal Behavior of Cement Composites with Hot Wire Thermal Energy Storage
../../Resources/KSCE/Ksce.2024.44.4.0433/fig6.png
Table 5. Comparison of Time to Reach 15℃ and 0℃ of Thermal Energy Storage Cement Composite

Reaching 15℃ Within the Heating Operation Section

Case ID

1 Cycle

2 Cycle

3 Cycle

Avg.

(kW)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Heater operation power amount

(min)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Heater operation power amount

(min)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Heater operation power amount

(min)

OPC

195(-)

205.80

170(-)

179.42

235(-)

248.02

211.08(-)

C

115(-80)

121.37

100(-70)

105.54

100(-135)

105.54

110.82(-100.26)

S

135(-60)

142.48

125(-45)

131.92

145(-90)

153.03

142.48(-68.60)

P5

165(-30)

174.14

140(-30)

147.75

165(-70)

174.14

165.34(-45.74)

P10

215(+20)

226.91

205(+35)

216.36

275(+40)

290.23

258.57(+47.49)

P15

250(+55)

263.85

235(+65)

248.08

310(+75)

327.17

279.70(+68.62)

CSP5

165(-30)

174.14

145(-25)

153.03

165(-70)

174.14

167.10(-43.98)

CSP10

130(-65)

137.20

110(-60)

116.09

110(-125)

116.09

123.13(-87.95)

CSP15

165(-30)

174.14

150(-20)

158.31

170(-65)

179.42

170.62(-40.46)

Reached 0℃ Within the Heating Wire Interruption Section

Case ID

1 Cycle

2 Cycle

3 Cycle

Avg.

(kW)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Time difference compared to OPC (min)

OPC

-

-

-

-

C

+165

+150

+145

+153.33

S

+55

+60

+50

+55.00

P5

+105

+100

+100

+101.67

P10

+45

+50

+45

+46.67

P15

+55

+65

+65

+61.67

CSP5

+75

+60

+90

+75.00

CSP10

+205

+165

+185

+185.00

CSP15

+145

+105

+135

+128.33

5. 결 론

본 연구는 외부에 노출된 시멘트 복합체의 동결로 인한 건축물 노후화 속도의 지연을 목적으로 m-PCM을 혼입하였고, m-PCM의 열에너지 흡수, 저장 및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MWCNT와 실리카 퓸을 혼입하여 강도까지 증가시켜 건축구조물의 소요강도를 만족할 수 있는 고효율 열에너지 절감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술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기존의 시멘트 복합체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인 열선을 사용하는 환경을 상정하여 보통 시멘트 복합체와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 간의 열효율을 측정하였고, 이를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해당 기준에 맞는 강도를 발현해야 하기에 휨강도와 압축강도를 위한 시편을 제작하여 측정 및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험 비교 분석 결과를 통해 PCM이 들어간 대조군에서 높은 열효율의 증가를 보여주며 MWCNT와 실리카 퓸이 들어간 대조군에서 강도 증가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학적 성능 실험인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실험을 통해 MWCNT와 실리카 퓸을 혼입한 CSP5 %, CSP10 및 CSP15의 강도가 P5, P10 및 CSP15의 강도가 10 % 이상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MWCNT는 콘크리트의 계면 이후 영역에서의 미세균열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실리카 퓸은 시멘트의 미세구조에서 수화되고 남은 잉여 CH와 2차로 반응해 C-S-H를 형성함으로써 역학적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m-PCM만 사용한 시멘트 복합체에 비해 역학적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OPC에 근접했을 뿐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건축물에 적용하려면 m-PCM의 혼입량에 따른 강도 저하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열선 실험에서 열선을 작동하였을 때 m-PCM만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는 열선을 정지하였을 때 OPC보다 느리게 온도가 감소한다. 그러나 m-PCM은 열에너지 축적 효과로 인해 열선 가동 구간에서 시편의 온도 증가 속도 또한 느려 열선 전력 소비량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C의 경우 열전도성이 높은 MWCNT를 사용하여 높은 열전도성을 가져 가장 적은 열선 전력 소비량으로 온도가 증가하지만 열전도도가 높아진 만큼 냉각되는 속도도 빠른 경향을 보여준다. MWCNT 및 실리카 퓸이 혼입된 CSP5, CSP10 및 CSP15는 OPC보다 시편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을 적게 소비하고 PCM의 열에너지 방출이 효율적으로 발현되어 열선을 중단시켰을 때 온도가 느리게 감소한다. 특히 CSP10은 OPC보다 87.95 kW 적은 전력으로도 15℃에 도달하였고, 185분이나 더 늦게 0℃에 도달하였다. 반면 CSP5 및 CSP15는 최적의 부족한 열효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MWCNT 및 m-PCM을 시멘트 복합체에 혼입하고 이에 대한 열·역학적 실험을 진행하여 m-PCM의 열에너지 흡수, 저장 및 방출에 대한 성능 및 MWCNT의 강도 및 열전도성 향상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시멘트 내에서 적정량이 아닌 m-PCM과 MWCNT의 혼입은 강도의 저하 및 열효율 감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MWCNT와 m-PCM을 혼합하는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학적, 열적, 전기효율적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열저장 시멘트 복합체의 배합비를 CSP10으로 제안한다.

References

1 
"Cunha, S., Silva, M. and Aguiar, J. (2020). “Behavior of cementitious mortars with direct incorporation of non-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after severe temperature expos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0, 117011,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9.117011."DOI
2 
"Haider, M. Z., Jin, X., Sharma, R., Pei, J. and Hu, J. W. (2022). “Enhanc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rmal energy storage concrete containing a low-temperature phase change material using silica fume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14, 125659,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21.125659."DOI
3 
"Hunger, M., Entrop, A. G., Mandilaras, I., Brouwers, H. J. H. and Founti, M. (2009). “The behavior of self-compacting concrete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1, No. 10, pp. 731-743, https://doi.org/10.1016/j.cemconcomp.2009.08.002."DOI
4 
"Jin, X., Haider, M. Z., Park, M. W. and Hu, J. W. (2023).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 developed through sol-gel process.”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3, No. 5, pp. 555-566, https://doi.org/10.12652/Ksce.2023.43.5.0555 (in Korean)."DOI
5 
"Kim, G. M., Nam, I. W., Yang, B., Yoon, H. N., Lee, H. K. and Park, S. (2019). “Carbon nanotube (CNT) incorporated cementitious composites for func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The state of the art.” Composite Structures, Vol. 227, 111244, https://doi.org/10.1016/j.compstruct.2019.111244."DOI
6 
"Kim, G. M., Yang, B. J., Cho, K. J., Kim, E. M. and Lee, H. K. (2017). “Influences of CNT dispersion and pore characteristics on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cementitious composites.” Composite Structures, Vol. 164, pp. 32-42, https://doi.org/10.1016/j.compstruct.2016.12.049."DOI
7 
"Kim, S. W., Choi, K. B. and Yun, H. D. (2010). “Effect of freeze-thaw cycles after cracking damage on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3, pp. 399-407, https://doi.org/10.4334/JKCI.2010.22.3.399 (in Korean)."DOI
8 
"Konsta-Gdoutos, M. S., Danoglidis, P. A. and Shah, S. P. (2019). “High modulus concrete: Effects of low carbon nanotube and nanofiber addi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Fracture Mechanics, Vol. 103, 102295, https://doi.org/10.1016/j.tafmec.2019.102295."DOI
9 
"Kyoung, J. H., Kim, S. M. and Hu, J. W. (2022). “Development of nanomodified snow-melting concrete using low-temperature phase-change material impregnated lightweight aggregat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2, No. 6, pp. 787-792, https://doi.org/10.12652/Ksce.2022.42.6.0787 (in Korean)."DOI
10 
"Michael, T. (2013). Supplementary Cementing Materials, 1st Edition, CRC Press. "URL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TMA) (2021). A total of 7,275,266 buildings nationwide/3.96 billion m2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5286 (in Korean)."URL
12 
"Riffat, S., Mempouo, B. and Fang, W. (2015). “Phase change material development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mbient Energy, Vol. 36, No. 3, pp. 102-115, https://doi.org/10.1080/01430750.2013.823106."DOI
13 
"Sakulich, A. R. and Bentz, D. P. (2012). “Incorporation of phase change materials in cementitious systems via fine lightweight aggrega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5, pp. 483-490,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2.04.042."DOI
14 
"Šavija, B. (2018). “Smart crack control in concrete through use of Phase Change Materials (PCMs): A review.” Recent Advances in Smart Materials for the Built Environment, Vol. 11, No. 5, 654, https://doi.org/10.3390/ma11050654."DOI
15 
"Skovajsa, J., Koláček, M. and Zálešák, M. (2017). “Phase change material based accumulation panels in combination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hermoelectric cooling.” Energies, Vol. 10, No. 2, pp. 1-18, https://doi.org/10.3390/en10020152."DOI
16 
"Zahir, M. H., Mohamed, S. A., Saidur, R. and Al-Sulaiman, F. A. (2019). “Supercooling of phase-change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used to mitigate the phenomenon.” Applied Energy, Vol. 240, pp. 793-817, https://doi.org/10.1016/j.apenergy.2019.02.04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