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석사과정 (Sungkyunkwan University․seulgikim.tech@gmail.com)
  2. 종신회원․교신저자․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Corresponding Author․Sungkyunkwan University․shparkpc@skku.edu)



폭염, 도시열섬현상, 건설재난, 인공위성영상, 딥러닝
Heat waves, Urban heat island, Construction disaster, Satellite imagery, Deep learning

1. 서 론

최근 국내외적으로 수십 년간 급격하게 기후가 변화하며 폭염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국립기상과학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50년까지 우리나라 기온은 평년보다 1.5~2.7 °C 상승하고, 그에 따른 폭염 발생빈도는 2~6배가 증가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폭염과 더불어 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인구밀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도시열섬현상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그 결과 폭염과 도시열섬현상의 복합적인 피해는 더욱 취약한 환경으로 확대되어 사망률과 질병률으로 이어지면서 큰 위험(Kim et al., 2014)을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식생이 많은 지역에 비해서 건물 밀도가 높으며 열복사로부터 더 쉽게 달구어지는 경향이 있다. 여름철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인공 열 방출량이 증가하면 공기 흐름은 돔(dome) 형태를 이루며 밀폐된 영역 내에 열을 가두게 되고 도시열섬현상은 더욱 심각해진다. 이처럼 도시지역의 건설근로자는 열에 달궈진 철근과 콘크리트로부터 취약하며 온열질환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이에 혹서기(酷暑期)에 온열질환 및 2차 추가 건설재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도시열섬현상과 폭염의 복합적인 피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Founda and Santamouris(2017)Zhao et al.(2018)는 도시열섬현상은 높은 인구밀도와 도시화로 인해 도시민이 취약한 열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폭염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폭염은 업무 관련 상해 및 질병 발생 위험(Varghese et al., 2019)이 더 높다. Kim et al.(2016)은 옥외작업에서의 실제 근로자가 느끼는 더위체감지수를 연구하였으며, 여름철 사업장에서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일반적인 대책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최근 Kim and Lee(2020)의 연구에 따르면 열 환경에 취약한 직종을 분류하여 공간 클러스터를 식별한 결과, 건설업이 취약하므로 기상 조건을 고려한 건설 안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폭염 재난관리는 원격 탐지 및 지형 공간 분석(Kim et al., 2020c)과 같은 지표면온도 분석이 효과적이며, Kim et al.(2015)은 Landsat 7 ETM+ 위성 데이터에서 계산된 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도시열섬현상을 연구하였다. 이 밖에도 서울의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시공원과 녹지 공간이 열섬현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Kim et al., 2020a)한 사례도 있다. Ko and Cho(2020)는 Landsat 8 위성 이미지를 토대로 2017년 전주시 도시열섬현상의 핫스팟 분석을 통해 지표면온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서 Kim et al.(2020b)은 폭염 기간 LSTM 모델을 이용하여 열분포도가 높은 핫스팟 지역의 온도를 예측하였다.

최근에는 딥러닝을 이용한 연구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Lee et al.(2020)는 Landsat 8과 MODIS Terra/Aqua 의 인공위성영상 이미지를 사용하여 기계학습을 기반한 모델로 온도를 추정하였다. Vanhellemont(2020)는 Landsat 8 인공위성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LST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경망으로 LSE (Land Surface Emissivity)을 추정하였다. Kim et al.(2020c)은 Landsat 8 이미지로 LST를 도출하고 토지 피복 유형에 따른 토지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폭염과 도시열섬현상의 복합적인 관점으로 딥러닝과 LST를 함께 분석한 연구 사례는 미비하다. 또한, 열에 취약한 건설현장 환경 및 건설근로자의 위험성과 함께 고려된 사례는 더욱 부족하므로, 이를 고려한 생산체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국가에서는 폭염의 피해를 예방하고자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 Automatic Weather System (AWS)의 기상관측소로부터 온도, 습도 등의 관측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치예보모델을 만든다. 데이터 가공 소요시간은 약 2~3시간이며, 수치예보모델을 통한 분석 자료를 만드는데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다(KMA, 2018; Kim et al., 2020b). 따라서 소요시간을 줄이고 예측의 정확도를 높인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조기경보시스템에 기반이 된다면, 신속한 피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영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33 °C (국내 폭염주의보 기준) 이상의 지표면온도를 분석한 후, 현재 준공중인 건설현장 지역과 맵핑한다. 그리고 건설현장 지역에 LSTM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고 향후 24시간 온도를 예측하여, 폭염취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데이터 수집

Landsat 8 위성은 정량화되고 보정된 DN (Digital Number)으로 구성되며 다중 스펙트럼 이미지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는 OLI (Operational Land Imager) 및 TIRS (Thermal Infrared Sensor)를 사용하여 수집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Landsat 8 대역의 사양은 Table 1과 같다. 밴드 4, 5, 6은 각각 적색 근적외선(NIR) 및 단파 적외선(SWIR) 파장에 해당하며, 밴드 10과 11은 열적외선(TIRS) 파장에 해당한다. 공간 해상도는 4, 5, 6대역의 경우 30 m이고 10, 11대역의 경우 100 m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구광역시이므로, 경상북도지역이 포함된 Path/Row-114/36으로 선정하였다. 운량(雲量)은 0.33 %로 2020년 8월 20일 01:59 GMT (10:59 KST)에 수집되었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Landsat 8 OLI/TIRS Bands

Spectral Bands

Wavelength (μm)

Resolution (m)

Band 4-Red

0.64-0.67

30

Band 5-Near Infrared (NIR)

0.85-0.88

30

Band 6-Short Wave Infrared 1 (SWIR 1)

1.57-1.65

30

Band 10-Thermal Infrared (TIRS 1)

10.60-11.19

100

Band 11-Thermal Infrared (TIRS 2)

11.50-12.51

100

지반 측정 데이터는 Fig. 1Table 2와 같이 대구광역시 내의 선택된 ASOS/AWS의 기상관측소에서 연속형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Fig. 1. Study Region (Daegu City) with the Locations of Weather Stations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1.png
Table 2. Summary of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within the Study Region

Station

Location Name

Latitude

Longitude

ASOS 143

Daegu

35.8780

128.6530

AWS 828

Dalseong

35.6902

128.4238

AWS 845

Daegubukgu

35.9084

128.5907

AWS 860

Shinam

35.8852

128.6190

2.2 데이터 전처리 및 LST 도출

본 연구는 지형처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Python 스크립트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연구진행 프로세스는 Fig. 2와 같다.

Fig. 2. Flowchart for the Present Study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2.png

위성 이미지 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일과 함께 GeoTIFF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 중 필요한 대역(4, 5, 6, 10, 11)은 Fig. 3(a)와 같이 Python 라이브러리 earthpy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위한 래스터 형식으로 변환하였다. 이후 Fig. 3(b)와 같이 좌표 기준 시스템(CRS)을 일치시켜 형상 파일을 사용하여 연구 공간범위의 영역을 도출하였다. Fig. 4는 6번, 5번, 4번 밴드가 결합된 자연 색상의 이미지이다.

Level 1 Landsat 8 데이터는 방사측정 및 기하학적으로 보정된 영상에서 각 이미지 픽셀에 해당하는 16비트 정수 값을 가지며 DN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 LST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NDBI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가 필요하다. NDVI는 식생의 유·무를, NDBI는 건물의 유·무를 강조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해당 정규화 지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Landsat 8 Handbook (USGS, 2019)에 기초하였다. 밴드 4, 5, 6에 대한 TOA (Top of Atmosphere) 반사율 값은 Eq. (1)와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1)
$\rho_{\lambda}=\dfrac{M_{\rho}\times Q_{cal}+A_{\rho}}{\sin\left(\theta_{SE}\right)}$

$\rho_{\lambda}$는 TOA에서 스펙트럼 반사율, $M_{\rho}$은 해당 밴드의 대한 반사율 다중 스케일링 계수, $A_{\rho}$은 해당 밴드의 대한 반사율 가법 스케일링 계수, $Q_{cal}$은 해당 화소의 DN 값, 태양 표고각$\theta_{SE}$은 보정을 위한 값이다.

실제 스펙트럼 광도는 Eq. (2) 공식과 같이 메타데이터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계수 재조정 스케일링 계수를 사용해 계산하였다.

(2)
$L_{\lambda}=M_{L}\times Q_{cal}+A_{L}$

$L_{\lambda}$는 TOA에서 스펙트럼 복사량($W/(m^{2}sr\mu m)$), $M_{L}$은 해당 밴드의 대한 반사율 다중 스케일링 계수, $A_{L}$은 해당 밴드의 대한 반사율 가법 스케일링 계수, $Q_{cal}$은 해당 화소의 DN 값이다.

정규화지수인 NDVI 및 NDBI는 Eqs. (3) and (4)의 공식을 사용하여 밴드 4, 5, 6의 TOA 반사율(Eq. (1)) 값으로부터 도출하였다.

(3)
$$ N D V I=\frac{\rho_{\lambda, \text { band } 5}-\rho_{\lambda, \text { band } 4}}{\rho_{\lambda, \text { band } 5}+\rho_{\lambda, \text { band } 4}} $$
(4)
$$ N D B I=\frac{\rho_{\lambda, \text { band } 6}-\rho_{\lambda, \text { band } 5}}{\rho_{\lambda, \text { band } 6}+\rho_{\lambda, \text { band } 5}} $$
Fig. 3. (a) Original Landsat8 Imagery Data (DN) for Path/Row of 114/35 and (b) Cropped Images of the Study Region (Daegu City)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3.png
Fig. 4. Natural Color Composite Image of the Study Region (Daegu City)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4.png

LSE는 Table 3과 같이 NDVI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Table 3. Land Surface Emissivity Based on NDVI Values

NDVI Range

Emissivity ($\varepsilon$)

NDVI < -0.185

0.995

-0.185 ≤ NDVI < 0.157

0.970

0.157 ≤ NDVI ≤ 0.727

$1.0094+0.047\ln(NDVI)$

NDVI > 0.727

0.990

밴드 11 데이터에 큰 편향이 있으므로(Meng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밴드 10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LST 계산에 mono- window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밝기온도인 BT (At-Sensor Brightness Temperature)는 위성이 관측한 유효 온도이며, Eq. (5)의 공식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광도 $L_{\lambda}$를 계산할 수 있다.

(5)
$BT=\dfrac{K_{2}}{\ln\left(\dfrac{K_{1}}{L_{\lambda}}+1\right)}$

$K_{1}$ 과 $K_{2}$ 는 메타데이터 파일의 열 변환 상수이다. LST는 Eqs. (6) and (7)에 나타난 것처럼 BT를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6)
$LST=\dfrac{BT}{1+\left(\dfrac{\lambda}{\alpha}BT\right)\ln(\epsilon)}-273.15$
(7)
$\alpha =\dfrac{h c}{\sigma}$

$\lambda$는 밴드의 평균 파장($10.895\mu m$), $h=6.626\times 10^{-34}J s$은 플랑크상수(Planck’s constant), $c=2.998\times 10^{8}m/s$는 빛의 속도(velocity of light), 그리고 $\sigma =1.38\times 10^{-23}J/K$는 볼츠만상수(Boltzmann constant)이다. 온도는 켈빈(K)에서 섭씨(°C)로 변환을 위해 –273.15를 하였다.

2.3 딥러닝 기반 온도 예측 및 분석

데이터셋 구축을 위하여 기상청(KMA, 2021)에서 제공하고 있는 ASOS/AWS 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Table 2와 같이 수집하였다. 데이터셋은 전처리하여 결측변수 및 결측값을 제외하고 Table 4와 같은 변수로 구성되었다. TensorFlow/Keras Python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Fig. 5와 같은 Multistep Stacked LSTM (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개발하였다.

Fig. 5. LSTM Model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5.png
Table 4. Selected Features for the Considered Weather Stations

Station

No. of Features

Selected Features

ASOS 143

10

Air Temperature (°C), Land Surface Temperature (°C), Dewpoint Temperature (°C), Relative Humidity (%), Wind Speed (m/s), Wind Direction (deg), Precipitation (mm), Vapor Pressure (hPa), Local Pressure (hPa), Solar Radiation (MJ/m2)

AWS 828

5

Air Temperature (°C), Wind Speed (m/s), Wind Direction (deg), Precipitation (mm), Local Pressure (hPa)

AWS 845

AWS 846

4

Air Temperature (°C), Wind Speed (m/s), Wind Direction (deg), Precipitation (mm)

여러 수치 실험을 통해 선택된 최상의 모델 파라메타값은 Table 5와 같다. 이 모델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까지 10년 데이터셋의 학습을 하고, 2020년 1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데이터셋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델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학습 데이셋를 기반으로 정규화하였다. 모델은 향후 24시간 기온 예측을 하기 위하여 과거 36시간 자료를 바탕으로 구현되었다.

Table 5. LSTM Model Settings and Parameters

Parameters

Values

Loss function

Mean absolute error (MAE)

Optimizer

Adam

Learning rate

0.0001

Maximum number of epochs

100

Number of hidden LSTM layers

2

Number of neurons in each layer

50

Dropout rate (%)

20

Batch size

32

Ahead timestep (h)

24

Lag timestep (h)

36

3. 딥러닝기반 폭염취약지역 분석결과

3.1 NDVI, NDBI, LST 시각화

NDVI 및 NDBI는 Fig. 6과 같이 TOA 반사율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Fig. 6(a)에서 노란색 지역은 도시 지역, 녹색 지역은 식생지역, 빨간색은 수역을 나타낸다. 도시지역은 Fig. 6(b)의 NDBI 분포의 어두운 지역(더 높은 값)으로 더욱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Fig. 7은 열 밴드 10의 스펙트럼 광도와 센서 광도(BT)에 기초하여 계산된 LST를 나타낸다. 도시지역은 식물이 많은 지역의 기온보다 훨씬 더 높은 기온을 보였다.

Fig. 6. (a) NDVI and (b) NDBI Calculated from Landsat 8 Imagery Data After Reflectance Correction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6.png
Fig. 7. Land Surface Temperatures (LST) in °C Computed Using Band 10 Data of Landsat 8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7.png

3.2 핫스팟 지역 도출

국내의 폭염주의보 기준은 33 °C이상이므로, Fig. 8과 같이 LST가 33 °C 이상인 취약한 핫스팟 지역을 추출하여 인근 ASOS/AWS 관측소와 함께 나타내었다. Table 6은 전체 연구범위에서 계산된 NDVI, NDBI, LSE 및 LST 분포의 통계적 요약이다. 전 지역의 LST 평균값은 31.49 °C이고 표준편차(std)는 5.09 °C이다. 취약지역 통계요약은 Table 7과 같으며, 평균값 38.54 °C, 표준편차 3.39 °C인 취약지역에 대하여 LST의 급격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기온이 상당히 높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폭염과 도시열섬현상의 복합적인 피해가 가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폭염과 도시열섬의 복합적 피해가 극심할 수 있는 건설근로자에 대한 조기경보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취약구역 내 건설현장 파악과 그에 따른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구광역시 지역의 현재 준공중인 건설 현장 데이터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위도 및 경도를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Fig. 9와 같이 건설현장 총 164개소 중 17개소가 취약지역에 위치한 ASOS/AWS 관측소 반경 2 km 이내로 파악되었다.

Table 6. Statistical Summary of Calculated NDVI, NDBI, LSE, and LST Values for Daegu City

Parameter

Minimum

Maximum

Median

Mean

Std

NDVI

-0.599

0.866

0.711

0.589

0.241

NDBI

-1.808

0.543

-0.354

-0.287

0.166

LSE

0.601

0.995

0.990

0.977

0.025

LST

24.09

81.71

29.18

31.49

5.09

Table 7. Statistical Summary of Calculated NDVI, NDBI, LSE, and LST Values for Vulnerable areas (above 33 °C)

Parameter

Minimum

Maximum

Median

Mean

Std

NDVI

-0.409

0.839

0.275

0.304

0.150

NDBI

-0.845

0.543

-0.061

-0.071

0.110

LSE

0.601

0.995

0.949

0.947

0.027

LST

33.00

81.71

38.48

38.54

3.39

Fig. 8. LST (Above 33 °C) at Vulnerable Areas with Nearby ASOS and AWS Locations for Study Region with Zoomed-In Views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8.png
Fig. 9. Selected Vulnerable Construction Sites within a 2 km Radius of ASOS and AWS Locations and a Zoomed-In View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9.png

3.3 정규화지수 상관관계 분석

상관분석은 취약한 영역에 대해 도출된 NDVI, NDBI, LSE 및 LST 값 사이에서 수행되었다. 계산된 피어슨 계수 행렬은 Fig. 10에 나와 있으며, 여기서 LST는 NDVI와 LSE에 대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NDVI, NDBI, LSE 및 LST 사이의 관계는 Fig. 11과 같이 산점도 행렬을 통해 알 수 있었다. LST는 LSE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지만 NDVI와의 관계는 매우 비선형적이다.

Fig. 10. Pearson Correlation Matrix for NDVI, NDBI, LSE, and LST for Vulnerable Areas (above 33 °C)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10.png
Fig. 11. Relationships Among NDVI, NDBI, LSE, and LST for Vulnerable Areas (above 33 °C)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11.png

3.4 LSTM을 이용한 온도 예측결과

열에 취약한 건설현장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LSTM 모델의 온도 예측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된 LSTM 모델은 취약한 영역 내의 ASOS/AWS 위치의 온도 예측에 사용되었다. Fig. 12는 36시간의 과거 날씨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래 24시간 동안의 기온 예측 결과이며, 전반적으로 모든 ASOS/AWS 위치에 대해 실제 측정된 값과 거의 일치함을 보여준다. Fig. 13은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실제 값에 대한 온도예측의 회귀 이미지이며, 결정계수(r2)의 값은 모든 관측소에 대해 92 % 이상의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Table 8은 그래프를 표로 정리해놓은 최고온도, 최저온도, 평균절대오차(MAE), 중위값절대오차(MedAE), 평균제곱근오차(RMSE)이다. AWS 845 관측소를 제외하고 모든 관측소에서의 잔차는 1.66 °C이하로 도출되었다. AWS 845의 잔차가 크게 나온 이유는 ASOS 관측소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변수에 비해서 변수가 적기 때문이다. 변수가 다양할수록 기존 데이터가 정확할수록 잔차가 적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측시간은 10초 안팎으로 폭염시 취약 건설현장에 대한 효율적인 경보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는 차후 연구에서 건설근로자의 열스트레스 지수까지도 예측할 수 있는 발판의 자료가 될 수 있다.

Fig. 12. Comparison of LSTM Temperature Predictions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12.png
Fig. 13. Regression Plots of Predicted and True Temperature Values
../../Resources/KSCE/Ksce.2022.42.2.0263/fig13.png
Table 8. Residual Error (Absolute) Statistics for LSTM Temperature Predictions (in °C)

Station

Maximum

Minimum

MAE

MedAE

RMSE

ASOS 143

1.16

0.01

0.58

0.56

0.65

AWS 828

1.66

0.16

0.93

0.93

1.02

AWS 845

2.70

0.33

1.29

1.16

1.45

AWS 860

1.23

0.05

0.58

0.59

0.68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 인공위성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시열섬현상 및 폭염에 취약한 건설 현장을 식별하였다. 연구 수행은 자동화된 Python을 사용하여 데이터처리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계산 시간과 인적 오류를 줄였다. 또한, LST를 도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정규화 지수를 계산하여 식생과 도시지역인 NDVI와 NDBI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LST를 계산하고 지표면온도가 높은 취약지역을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LST가 33 °C 이상인 취약한 핫스팟 지역을 추출하였으며, 건설현장 총 164개소 중 17개소가 취약지역에 위치한 ASOS/AWS 관측소 반경 2 km 이내로 파악되었다. 폭염과 도시열섬의 복합적 피해가 극심할 수 있는 건설근로자에 대한 조기경보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취약구역 내 건설현장 파악이 필수적이므로, ASOS/AWS 기상관측소 및 취약지역 내 건설현장 자동선정 과정을 구축하였다. Multistep Stacked LSTM 기반 딥러닝 모델은 24시간의 사전 온도 예측을 위해 기상관측소 데이터에 대해 학습되었으며 잔차는 평균 1.29 °C 이내로 예측되며, 결정계수(r2)의 값은 모든 관측소에 대해 92 % 이상의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열섬현상 및 폭염으로 인한 건설근로자의 피해를 줄이고, 건설현장의 조기경보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로는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습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인간이 받는 스트레스를 나타낸 열 수치인 WBGT (Wet Bulb Globe Temperature)를 예측하고, 전국에 준공중인 건설현장을 고려하여 핫스팟 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 극한재난대응기반기술개발사업(2019- MOIS31-011) 및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으로 지원되었습니다.

본 논문은 2021 CONVENTION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Founda D., Santamouris M. (2017). "Synergies between urban heat island and heat waves in Athens (Greece), during an extremely hot summer (2012)", Scientific Reports, Vol. 7, pp. 10973DOI
2 
Kim B. C., Kang J. W., Park C., Kim H. J. (2020a).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UHI) alleviating effect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 in Seoul using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8, No. 4, pp. 19-28 (in Korean)DOI
3 
Kim D. H., Lee J. B. (2020). "Spatial changes in work capacity for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Potential regional impacts from global climate change.", Safety and Health at Work, Vol. 11, No. 1, pp. 1-9DOI
4 
Kim D. W., Chung J. H., Lee J. S., Lee J. S. (2014). "Characteristics of heat wave mortality in Korea.", Atmosphere, Vol. 24, No. 2, pp. 225-234 (in Korean)DOI
5 
Kim J. S., Lee D. G., Sung S. Y., Jeong S. G., Park J. H. (2015). "Study of vulnerable district characteristics on urban heat island according to land use using normalized index.",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5, pp. 59-72 (in Korean)Google Search
6 
Kim Y. I., Kim D. H., Lee S. O. (2020b). "Prediction of temperature and heat wave occurrence for summer season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Disaster and Security, Vol. 13, No. 2, pp. 27-38 (in Korean)DOI
7 
Kim S. Y., Lee S. J., Lee Y. W. (2020c). "Retrieval of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landsat 8 images with deep neural network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6, No. 3, pp. 487-501 (in Korean)DOI
8 
Kim Y. H., Oh I. B., Lee J. H., Kim J. H., Chung I. S., Lim H. J., Park J. K., Park J. S. (2016). "Evaluation of heat stress and comparison of heat stress indices in outdoor 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 42, No. 2, pp. 85-91 (in Korean)DOI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8). "Newsletter abnormal climate monitoring, No. 11-1360000-000072-0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pp. 1-2 (in Korean)Google Search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1). "Available at: https://data.kma.go.kr (Accessed: October 3, 2021)."URL
11 
Ko Y. J., Cho K. H. (2020).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8, No. 5, pp. 67-79 (in Korean)DOI
12 
Lee D. G., Lee M. H., Kim B. E., Yu J. H., Oh Y. J., Park J. I. (2020). "A study for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temperature using satellite imagery and machine learning models during heat wav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6, No. 5-4, pp. 1179-1194 (in Korean)DOI
13 
Meng X., Cheng J., Zhao S., Liu S., Yao Y. (2019). "Estimating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8 data using the NOAA JPSS enterprise algorithm.", Remote Sensing, Vol. 11, pp. 155-172DOI
14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2019). "Landsat 8 (l8) data users handbook",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LSDS-1574, Version 5.0.Google Search
15 
Vanhellemont Q. (2020). "Combined land surface emissivity and temperature estimation from Landsat 8 OLI and TIR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166, pp. 390-402DOI
16 
Varghese B. M., Hansen A., Nitschke M., Nairn J., Hanson- Easey S., Bi P., Pisaniello D. (2019). "Heatwave and work-related injuries and illnesses in adelaide, australia: A case-crossover analysis using the Excess Heat Factor (EHF) as a universal heatwave index.",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Vol. 92, No. 2, pp. 263-272DOI
17 
Zhao L., Oppenheimer M., Zhu Q., Baldwin J. W., Ebi K. L., Bou-Zeid E., Guan K., Liu X. (2018). "Interactions between urban heat islands and heat wave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13, No. 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