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박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Railway)
  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교수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Railway)
  3.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박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Railway)


표준화코드, 철도안전사상사고 유형, 철도안전사상사고 원인, 도시철도 안전
Standardized code, Casuality accident types, Casuality accident causes, Urban railway safety

  • 1. 서 론

  • 2. 선행 연구 검토

  • 3.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유형 및 원인 분류

  •   3.1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유형 분류

  •   3.2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원인 분류

  • 4. 사고유형 및 원인별 표준화 코드 도출

  •   4.1 사고유형별 표준화 코드 도출

  •   4.2 사고원인별 표준화 코드 도출

  •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5.1 결 론

  •   5.2 향후연구과제

1. 서 론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비롯하여 도로, 철도, 항공 등 교통부문 전반에 걸쳐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효과적인 사고예방대책 및 안전사고 대응체계가 미흡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같은 참사의 재발을 방지하고 안전한 교통 이용환경 조성을 위하여 국가 재난체계를 진단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려고 하는 노력이 학계, 정계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같이 안전중심의 환경변화에 따라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의 대응체계도 점검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시철도의 경우 이용객 증가에 따라 역사 내 넘어짐 사고, 승강장 발빠짐 사고, 출입문 끼임사고 등 각종 철도안전사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나, 이용객 안전을 위한 대책 및 정형화된 대응체계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화재, 충돌, 탈선 등 철도사상사고는 표준화코드 및 표준운영절차를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는 경미한 사고로 분류되어 대응체계 구축에 소극적이고 사고 발생 후 사후처리까지의 과정이 역장 및 역 직원의 주관적 판단(일부 보상문제 제외)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대응체계를 정형화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를 분석하고 사고요인 세분화를 통하여 철도안전사상사고 종류와 형태, 대상, 위치를 포함한 표준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선행 연구 검토

역사 내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 표준화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철도사고유형 표준화방안 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The Classification of Railroad Accident Types and Its Stan-dardization (Lim and Kim, 2006)에서는 「철도안전법」에 의거하여 철도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 국내․외 철도사고유형 검토 및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철도사고유형을 9개의 사고대상과 6개의 사고위치, 40개의 서로 다른 사고형태로 세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도사고의 종류, 형태, 대상, 위치를 포함한 4자리 표준화코드를 제시하고 있다. 철도사고유형을 재분류하고 이를 표준화하기 위해 표준화된 코드를 제시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열차충돌, 화재, 테러, 탈선 등 철도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사고유형을 세분화 하고 표준화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에 대한 사고유형 분류 및 표준화코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사고사례 분석을 통하여 사고요인과 원인들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별, 원인별 표준화코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표준화코드 표기방법은 선행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3.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유형 및 원인 분류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유형 및 원인 분류를 위하여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메트로 내부 상황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사고사례 4,086건에 대한 분석과 종합관제센터에 보고되는 자료 검토를 수행하였다. 분석의 세부내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Outlines of This Study

Item 

Contents

Institutes for Data

Seoul Metro, SMRT

Scope for Data

 4,086 Different Accident

Analysis TOOL

Excel 

Analysis Types

Frequency Analysis

3.1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유형 분류

사고유형 분류 항목은 사고사례 분석과 역에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되는 상황보고 자료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보고자료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넘어짐 사고의 경우 “○○○역 역장입니다. 계단을 이용하던 여객이 중심을 잃고 전도되어 무릎에 열상을 입어 병원으로 후송 조치하였습니다.”로 여객(대상), 계단(위치), 넘어짐 사고(사고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접촉충돌 사고의 경우 “○○○역 역장입니다. 승강장을 이동 중이던 직원이 승강장에 설치된 의자에 부딪혀 정강이뼈가 골절되는 부상을 입어 상태 확인 후 병원으로 후송 조치하였습니다.”로 직원(대상), 승강장(위치), 접촉충돌(사고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외 다른 사고도 위와 같이 대상, 위치, 사고형태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를 통하여 사고유형은 4개의 인적 사고대상과 9개의 역사 내 시설물 및 이동수단을 포함한 사고위치, 9가지의 사고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세부내용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Casuality Types

Item

Contents

Casuality Object

Passenger, The Public, Employer, etc.

Casuality Location

Stair, Escalator, Train Exit, Platform, Waiting Room, Walkway, Elevator, Gate, Restroom, Screen Door

Casuality Pattern

Fall, Jam, Foot Sink, Clash, Confinement, Falls, Burns, Electric shock, Suicide

3.2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원인 분류

사고원인 분류 항목은 사고유형 항목설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하였으며 상황보고자료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넘어짐 사고의 경우 “○○○역 역장입니다. 계단을 이용하던 술에 만취한 여객이 뛰어 내려가다 전도되어 무릎에 열상을 입어 병원으로 후송 조치하였습니다.”로 여객(원인자), 직접원인(부주의), 부가원인(뛰어감)을 포함하고 있다. 끼임 사고의 경우 “○○○역 역장입니다.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던 여객이 기능장애로 에스컬레이터가 멈춰 스커드 하단에 발가락이 끼어 열상을 입고 상태 확인 후 병원으로 후송 조치하였습니다.”로 여객(원인자), 기능장애(직접원인), 부가원인(시설물 비정상 작동)을 포함하고 있다. 이외 다른 사고도 원인자, 직접원인, 부가원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를 통하여 사고원인은 8개의 직접원인과 각각 1~9개의 부가원인으로 분류 할 수 있었으며 공통원인으로 음주와 비음주 원인을 두었다. 세부 원인 분류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Classification by the Cause of Accidents

Cause

Direct cause of accident

Auxiliary accident cause

Common accident cause

Passenger staff

Negligence 

Running, Stumble, Mobile phone use, Use of stroller or cart, Forced entrance/Alight, Carrying a heavy load, Using wheel chair, Not paying attention to the heading, Losing control and fall

Drunk /  non-intoxicated

Inadequate facility

Illumination of stairs, Slope of stairs,  Narrow stairs, Width of platform and podium, Attached materials in stairs, Attached materials in hall way, Installed materials in gates

Foreign materials in station

Foreign materials in stairs, Hall way, Platform

 Others

Tripping on to others, Tipping by other’s belongings, Pushed by others, Colliding with others, Colliding with other’s belongings

Errors

Door mishandling, Facility mishandling

Intentional 

Jumping down and contacting train intentionally

Dysfunctional 

Power failure in station,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Facility failure 

Disease 

Chronic disease

4. 사고유형 및 원인별 표준화 코드 도출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 일어나는 많은 철도안전 사상사고 유형의 효율적인 관리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각 사고유형 및 원인을 코드화 할 필요가 있다. 표준화코드 도출을 위해서는 적절한 표준화 요소 및 세부 사고유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에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되는 내용을 분석하고 사고유형 및 원인 분류의 결과를 활용하여 코드화에 필요한 적절한 요소와 표준화 코드를 도출하였다.

4.1 사고유형별 표준화 코드 도출

사고유형별 표준화 코드는 Table 2에서 도출한 대상, 위치, 형태의 3가지 요소와 철도안전사상사고를 대표하는 문자를 바탕으로 표준화 코드를 도출한다. 철도안전사상사고는 영문 약자로 대표하였고 사고의 형태, 대상, 위치는 한자리 수로 표기한다. 표준화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향후 추가되는 사고대상을 고려하여 기타항목을 추가하여 확장성을 고려하였으며, 표준화 코드 예시는 Table 5와 같다.

Table 4. Standardization Code by Accident Types

Code number

P

1

1

1

Accident target

Accident location

Accident type

Classification 

Number 

Number 

Number 

Notation

P (passenger fatal accident)

1. Passenger

2. Public

3. Staff

4. Other

1. Stairs

2. Escalator

3. Train Door

4. Platform

5. Waiting room and   hall way

6. Elevator

7. Gate

8. Restroom

9. Screen door

1. Fall

2. Pinch

3. Missing steps and fall

4. Collision

5. Confined

6. Fall

7. Burn

8. Electric shock

9. Suicide

Table 5. Standardization Code Examples by Accident Types

Item

Contents

P 111

Passenger falls in stairs

P 366

Staff falls in elevator

P 162

Passenger pinched  in elevator door

P 334

Staff collides with train door

P 184

Passenger collides with restroom door

P 343

Staff miss steps and a leg falls between trains

P 311

Staff falls in stairs

P 364

Staff collides with passenger in station

P 374

Staff collides with structure at gate

P 134

Passenger collides with train door

4.2 사고원인별 표준화 코드 도출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 일어나는 많은 철도안전사상사고 유형에 대하여 근본적인 예방대책 도출을 위하여 각 사고유형에 대한 원인을 코드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나의 사고유형에도 많은 원인이 존재하므로 예방대책 수립 시 동일한 사고유형이라도 사고가 발생된 원인별로 예방대책은 구별되어야 하므로 이를 포괄할 수 있는 표준화 코드가 필요하다. 표준화 방법은 원인 제공자, 직접 사고원인과 부가 사고원인을 바탕으로 표준화 코드를 도출한다. 원인자는 여객, 직원을 대표하는 영문약자로 표기하였고 직접, 부가 사고원인과 공통원인은 한자리 수로 표기한 표준화 코드를 도출하였다. 세부내용은 다음 Table 6과 같으며, 표준화 코드 예시는 Table 7과 같다.

Table 6. Standardization Code Examples by Accident Causes

Code

Number

C

1

2

3

Cause 

Big classification

Mid classification

Small   classification

Number 

Number

Number 

Notation

C

E

1. Negligence

1. Drunk

2. Non-intoxicated

1. Running

2. Missing step and a leg falls

3. Use of mobile phone

4. Lose control and fall

5. Use of stroller or cart

6. Carry a heavy load

7. Use of wheel chair

8. Forced entrance/alight

9. Not paying attention to the heading

2. Inadequate facilities

1. Brightness of stairs

2. Slope of stairs

3. Narrow stairs

4. Width of platform and podium

5. Attached material to stairs

6. Attached material to hall way

7. Installed materials at gate

3. Foreign material in station

1. Foreign material in stairs

2. Foreign material in hall way

3. Foreign material in platform

4. Foreign material in restroom

4. Disease

Disease 

5. Other

1. Tripped or pushed by others

2. Tripped by other’s belongings

3. Pushed by others  

4. Collides with other

5. Collides with other’s belongings

6. Mishandling

1. Mishandling door  

2. Mishandling facility

7. Intentional

1. Jumps down intentionally

2. Contracts with train intentionally

8. Functional failure

1. Power failure in station

2.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y

3. Facility failure

Table 7. Standardization Code Examples by Accident Causes

Item

Contents

C 113

Accident that passenger runs while drunk

E 113

Staff uses mobile phone while drunk

C 313

Accident caused by foreign material in platform by a drunk passenger

E 223

Accident by staff due to the slope of stairs while not intoxicated

C 621

Accident caused by mishandling of door by passenger while not drunk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1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메트로 철도안전사상사고 4086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사고유형 및 원인을 밝혀내고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사고유형 및 원인별 표준화코드를 도출하였다. 우선 사고유형을 분석하여 여객, 공중, 직원, 기타의 4가지의 인적대상과 계단, 에스컬레이터, 승강장 등 9개의 다양한 사고발생장소와 넘어짐, 발빠짐, 끼임 등 9개의 사고발생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대상, 위치, 형태를 포함한 4자리의 코드로 조합하여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사고유형에서 도출된 9개의 사고형태별 사고원인을 분석하여 1차 사고원인 2차 사고원인으로 도출하고 공통 원인인 음주/비음주 상태를 포함한 4자리의 사고원인별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사고유형별 원인별 표준화코드는 향후 도시철도운영자 등이 자체적으로 전산화하여 사고유형별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사고원인별로 체계적인 관리 및 예방대책 수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철도안전사상사고 감소에 대비할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5.2 향후연구과제

본 논문은 이용객 증가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지만 정형화된 대응체계가 미흡한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사고유형 및 원인별 표준화코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된 표준화코드는 단순히 운영기관에서 제공한 사고자료를 기반으로 도출된 것으로 실제 역사의 운영환경(인력, 장비 등)은 고려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기존에 철도교통사상사고의 표준화코드 또한 이 같은 운영환경을 고려하지 못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사고 대응의 주체는 역사 내에서 근무하는 직원으로 인력이 충분하지 못하면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본 논문에서 제시된 표준화코드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운영기관의 사고자료 및 조직문화, 운영환경 등을 함께 고려한 표준화코드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영기관과 정부 중심의 대응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철도기술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4RTRP- B067918-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Lim, K. K. and Kim, S. G. (2006). “The classification of railroad accident types and its standard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1D, pp. 133-140 (in Korean).Lim, K. K. and Kim, S. G. (2006). “The classification of railroad accident types and its standard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1D, pp. 133-140 (in Korean).Google Search